자유게시판

조회 수 158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것도 지난 서울 독서 토론 뒷풀이 자리에서 나왔던 이야기입니다. 전승철 회원님께서 이종필 회원님께 "수학 좀 배우고 싶다"라는 이야기를 하셨고, "미적분부터 공부해야 한다", "혼자 하기 힘들다", "그럼 같이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까?" 이런 스토리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습니다 (물론 상당한 생략과 왜곡을 거친 요약입니다만).


 


이런저런 이야기 사이로


 


"과학 무서워 하는 사람들이 와서는 힘에 겨워하거나 버거워할 수 있겠다"


 


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문제는 "더 많은 과학, 더 엄밀한 과학"과 부딪쳐 해결하는 게 정공법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만, 그래도 말랑말랑하고 심오하고 생각해볼 거리를 많이 던져주고, 읽고 나서는 자랑도 할 수 있는 인문사회 고전들을 읽어보는 것도 필요할 듯 싶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욕구와 필요가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그냥 이렇게 운을 띄워 보는 거에요.


 


어쨌거나 이 모임의 목적은 이런 겁니다.


 


"최소한의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평소에 갖고 있던 부채감(?) 혹은 민망함을 극복하고 이제 더 안 읽어도 되겠다는 안도감을 느끼자."


 


혹은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과학 책을 더 많이 보고 싶어지고 더 잘 읽을 수 있게 되자."


 


라는 것이죠.


 


 


수준과 범위는


 


"대략 대입 논술에서 출제되었거나 출제되는 수준과 범위에 해당하는 인문사회 고전들의 <원전>들"


 


정도면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잘 아는 게 딱 그 수준이어서 더 뭘 봐야 좋을지 모르겠거든요. 국문과, 철학과, 법학과를 기웃거리며 10년 간 논술 강사를 하면서 주워들은 수준이므로 매우 천박하고 얄팍합니다. 다른 분들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제안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음, 그런데 이런 모임이 필요하긴 한 건가요? ㄷㄷㄷ 원래 고전이란 마크 트웨인의 말처럼 <누구나 이야기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니까 말이죠.


 

=============================

 

고전들이라고 다 어렵거나 힘든 건 아닙니다.

 

물론 텍스트를 잘근잘근 씹어서 완전히 소화시킨다는 건 어떤 텍스트를 붙잡아도 어려운 일입니다 - (과장도 있겠지만) 아도르노와 하버마스가 헤겔 세미나를 할 때 한 학기 동안 책을 네 페이지 읽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철학 고전 텍스트를 "씹어 먹어" 본 사람은 이게 이해가 갑니다. 문제는 그렇게 읽어도 여전히 풀리지 않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거죠 ^^;;

 

그러나 모든 사람이 모든 책을 그렇게 읽어야 하는 건 아니니까요. (적절한 보조와 분담이 있으면) 소수의 저자와 책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인문사회 고전들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책들입니다. 그렇게 생각하고 읽으면 쉬워요 ^^;

 
  • ?
    이병록 2008.10.03 02:20
    세계종교사상사 같으면 다시 한 번 공부해 보고 싶은데요?. 이 모임도 서울 소모임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입니다.
  • ?
    임석희 2008.10.03 02:20
    언젠가는 시공을 넘나들수 있겠죠?
    몸은 고흥에, 마음은 대전에, 머리는 서울에...
    어떻하면.. 좋아요... 이것두 끌리는데... 헐!!!
  • ?
    전승철 2008.10.03 02:20
    김원기 회원님.. 드디어 깃발을 드셨군요.
    그날 뒷풀이때 밤을 새워 얘기하던 시간이 지금도 여운처럼 남아있습니다.
    평범하지 않은 두분과 함께 정말 재미있는 술자리였고 두분의 내공때문에 저까지 업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참으로 오랫만에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났다는 느낌입니다.
    인문학의 진수를 나눟어주신다니.. 저도 수학공부 하면서 틈틈이 엿보겠습니다.
  • ?
    서지미 2008.10.03 02:20
    언젠가는 시공을 넘나들수 있겠죠?
    몸은 대전에, 마음도 대전에, 하지만 머리는 서울에...
    어떻하면.. 좋아요... 이것두 끌리는데... 헐!!!(투)
  • ?
    전재영 2008.10.03 02:20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과학 책을 더 많이 보고 싶어지고 더 잘 읽을 수 있게 되자"
    이거 너무 재밌는 말이네요^^ 아우라가 보입니다.
  • ?
    강혜정 2008.10.03 02:20
    드디어 인문학 모임이 ㅠ.ㅠ
  • ?
    유지혜 2008.10.03 02:20
    인문학 모임.. 하게되면 꼭 참석하고 싶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4 다중지성의 정원 2011년 3분학기가 6월 27일(월)에 개강합니다! 다지원 2011.06.12 1277
2123 다중지성의 정원 2011년 3분학기 철학 강좌를 신청하세요! 다지원 2011.06.24 1282
2122 다중지성의 정원 2011년 1분학기가 1월 3일(월) 개강합니다! 다지원 2010.12.10 1515
2121 공지 다음주 독서모임 박문호 2007.05.02 1788
2120 공지 다음에 읽을 책은 무엇입니까? 유수연 2002.12.01 2925
2119 공지 다음 주 독서모임 내용 관련 1 박문호 2007.04.08 1573
2118 공지 다음 독서모임 2 박문호 2007.05.12 1916
2117 공지 다음 Offline Meeting은 5월 넷째 화요일인 5월 27일 가집니다. 2 강신철 2003.05.05 2732
2116 공지 다음 100books 발표자들 5 박문호 2007.05.29 2188
2115 공지 다음 100books 모임 날짜는 7월 24일 (목요일)입니다. 박문호 2008.07.11 1420
2114 다윈 탄생 200주년 기념 특강 <진화론은 어떻게 사회를 바꾸는가> 김창규 2009.05.12 1842
2113 공지 다시.. 구용본 2003.02.12 2591
2112 다시 올립니다. 2 이중훈 2010.03.23 1952
2111 공지 다시 새벽에 길을 떠난다 ... 1 오중탁 2003.06.30 2314
2110 다시 백북스를 찾을 날을 기대하며 4 고석범 2009.10.08 1985
2109 공지 다시 맞이하는 송구영신 7 임석희 2007.12.18 1506
2108 공지 다시 내딛는 첫걸음. 4 이소연 2007.12.29 1414
2107 공지 다마지오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스피노자의 뇌--- 1 박문호 2007.05.21 2064
2106 공지 다달이 변해가는 서울 모임 7 이병록 2008.07.29 1399
2105 닉레인의 산소 책신청받습니다. 9 김영이 2009.08.04 24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