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58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것도 지난 서울 독서 토론 뒷풀이 자리에서 나왔던 이야기입니다. 전승철 회원님께서 이종필 회원님께 "수학 좀 배우고 싶다"라는 이야기를 하셨고, "미적분부터 공부해야 한다", "혼자 하기 힘들다", "그럼 같이 공부하는 모임을 만들까?" 이런 스토리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습니다 (물론 상당한 생략과 왜곡을 거친 요약입니다만).


 


이런저런 이야기 사이로


 


"과학 무서워 하는 사람들이 와서는 힘에 겨워하거나 버거워할 수 있겠다"


 


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문제는 "더 많은 과학, 더 엄밀한 과학"과 부딪쳐 해결하는 게 정공법이라고 생각하는 편입니다만, 그래도 말랑말랑하고 심오하고 생각해볼 거리를 많이 던져주고, 읽고 나서는 자랑도 할 수 있는 인문사회 고전들을 읽어보는 것도 필요할 듯 싶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그런 욕구와 필요가 존재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그냥 이렇게 운을 띄워 보는 거에요.


 


어쨌거나 이 모임의 목적은 이런 겁니다.


 


"최소한의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평소에 갖고 있던 부채감(?) 혹은 민망함을 극복하고 이제 더 안 읽어도 되겠다는 안도감을 느끼자."


 


혹은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과학 책을 더 많이 보고 싶어지고 더 잘 읽을 수 있게 되자."


 


라는 것이죠.


 


 


수준과 범위는


 


"대략 대입 논술에서 출제되었거나 출제되는 수준과 범위에 해당하는 인문사회 고전들의 <원전>들"


 


정도면 무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가 잘 아는 게 딱 그 수준이어서 더 뭘 봐야 좋을지 모르겠거든요. 국문과, 철학과, 법학과를 기웃거리며 10년 간 논술 강사를 하면서 주워들은 수준이므로 매우 천박하고 얄팍합니다. 다른 분들의 창의적이고 실질적인 제안과 도움이 필요합니다.


 


음, 그런데 이런 모임이 필요하긴 한 건가요? ㄷㄷㄷ 원래 고전이란 마크 트웨인의 말처럼 <누구나 이야기하지만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니까 말이죠.


 

=============================

 

고전들이라고 다 어렵거나 힘든 건 아닙니다.

 

물론 텍스트를 잘근잘근 씹어서 완전히 소화시킨다는 건 어떤 텍스트를 붙잡아도 어려운 일입니다 - (과장도 있겠지만) 아도르노와 하버마스가 헤겔 세미나를 할 때 한 학기 동안 책을 네 페이지 읽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철학 고전 텍스트를 "씹어 먹어" 본 사람은 이게 이해가 갑니다. 문제는 그렇게 읽어도 여전히 풀리지 않고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다는 거죠 ^^;;

 

그러나 모든 사람이 모든 책을 그렇게 읽어야 하는 건 아니니까요. (적절한 보조와 분담이 있으면) 소수의 저자와 책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인문사회 고전들은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책들입니다. 그렇게 생각하고 읽으면 쉬워요 ^^;

 
  • ?
    이병록 2008.10.03 02:20
    세계종교사상사 같으면 다시 한 번 공부해 보고 싶은데요?. 이 모임도 서울 소모임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입니다.
  • ?
    임석희 2008.10.03 02:20
    언젠가는 시공을 넘나들수 있겠죠?
    몸은 고흥에, 마음은 대전에, 머리는 서울에...
    어떻하면.. 좋아요... 이것두 끌리는데... 헐!!!
  • ?
    전승철 2008.10.03 02:20
    김원기 회원님.. 드디어 깃발을 드셨군요.
    그날 뒷풀이때 밤을 새워 얘기하던 시간이 지금도 여운처럼 남아있습니다.
    평범하지 않은 두분과 함께 정말 재미있는 술자리였고 두분의 내공때문에 저까지 업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참으로 오랫만에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났다는 느낌입니다.
    인문학의 진수를 나눟어주신다니.. 저도 수학공부 하면서 틈틈이 엿보겠습니다.
  • ?
    서지미 2008.10.03 02:20
    언젠가는 시공을 넘나들수 있겠죠?
    몸은 대전에, 마음도 대전에, 하지만 머리는 서울에...
    어떻하면.. 좋아요... 이것두 끌리는데... 헐!!!(투)
  • ?
    전재영 2008.10.03 02:20
    "인문사회 고전을 읽음으로써 과학 책을 더 많이 보고 싶어지고 더 잘 읽을 수 있게 되자"
    이거 너무 재밌는 말이네요^^ 아우라가 보입니다.
  • ?
    강혜정 2008.10.03 02:20
    드디어 인문학 모임이 ㅠ.ㅠ
  • ?
    유지혜 2008.10.03 02:20
    인문학 모임.. 하게되면 꼭 참석하고 싶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24 [10/21목] 박문호박사님 초청 '뇌과학 시리즈 강연' 안내 1 우경아 2010.10.09 1827
2123 [잘 나가는 창조적 인재들, 이 강연 ‘꼭’ 듣는다]; [한의학e야기], 카버 스토리 - 이정모 2012.10.06 1827
2122 이기두님만^^ 4 육형빈 2013.07.14 1827
2121 공지 중요한 것을 중요하다고 아는 것이 참으로 중요하다. 11 윤보미 2009.01.02 1828
2120 공지 수학능력 2 이중훈 2009.02.21 1828
2119 안녕하세요.오늘 가입했습니다. 진규동 2010.01.24 1828
2118 새벽을 마주하며... 8 홍종연 2010.05.28 1828
2117 잠시 부재중인 오창석 총무입니다. ^_^ 5 오창석 2010.06.07 1828
2116 서평 공모와 <감정의 분자> 1 정광모 2013.04.11 1828
2115 공지 '뇌과학공부소모임' 모임 장소 공지 2 엄준호 2007.11.07 1829
2114 공지 가슴울림 12 이소연 2008.12.24 1829
2113 공지 올해 도서목록 정리했습니다. 1 모현혜 2009.02.05 1829
2112 공지 금일 있은 이석봉 대표님의 강연을 듣고. 5 최정원 2008.05.28 1830
2111 대전국제우주대회 백북스 홍보관 설치 3 이정원 2009.10.11 1830
2110 [2009학습마라톤] 하루만 참석하기 / 온천은 선택사항 윤보미 2009.10.24 1830
2109 뇌과학-등록 및 출석 확인 부탁드립니다 강혜정 2010.01.27 1830
2108 켈러, 하딩과 해러웨이의 시선으로 과학기술과 젠더 들여다보기, 강좌 안내입니다 양승원 2010.03.26 1830
2107 공지 [나의 학생들에게] 퍼옴 2 임석희 2008.03.19 1831
2106 김희준 선생님 칼럼-137억년 전 빅뱅으로 초대합니다 5 강혜정 2009.07.02 1831
2105 공지 감사합니다. 4 임해경 2007.08.13 18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