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8.04 08:19

대전...북카페 "이데"

조회 수 1968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뉴스메이커 > 사회











[사람@세상]‘문학적 사건’을 꿈꾸는 북카페 운영 소설가
2008 03/18   뉴스메이커 766호







소설가가 만든 북카페는 어떤 모습일까. 대전시 중구 대흥동 이공갤러리 옆에 자리 잡은 북카페 ‘이데’(042-222-4008)는 소설가 김운하(41)씨가 운영하는 아주 독특한 공간이다. 책과 음악, 커피가 어우러지고 작은 갤러리를 겸한 인테리어에서 문학적 향취가 흠씬 묻어난다. 이데가 자리 잡은 곳이 한때 대전의 문화를 상징하는 거리였다고는 하지만, 충남대 캠퍼스가 유성으로 옮겨간 후 거의 힘을 잃은 듯한 거리에 새삼 이런 공간을 만들어낸 이유는 무엇일까.

“2001년에 ‘137개의 미로카드’를 탈고한 후 심신이 지친 상태에서 마치 종적을 감추기라도 하듯 서울생활을 접고 대전으로 내려왔어요. 무슨 연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아는 문인들의 권유에 따른 것이죠.”

그는 서울에 비할 수 없을 정도의 여유가 있으면서도, 그렇다고 아주 외딴 시골도 아닌 대전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다. 그가 태어나고 자란 경북 영천의 분위기와도 흡사하다고 할까. 몇 개월 정도 머물면서 공부나 좀 하려던 당초 생각이 싹 바뀌고 말았다. 그는 시내에 마당이 있는 집을 얻어놓고 대흥동의 한밭도서관을 오가면서 책에 파묻혀 지냈다. 그것은 ‘137개의 미로카드’에서 던져놓은 무수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기도 했다.

한밭도서관을 서재삼아 드나들면서 그는 대흥동 거리에 묘한 매력을 느꼈다. 몇 안 되기는 하지만 제법 오래된 문화적 공간도 있었고, 그 사이로 역시 몇 안 되는 새로 난 갤러리들도 어색하지 않게 끼어 있었다. 도서관과 성당, 평생학습원과 학교가 적당히 섞여 있는 모습도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마침내 그는 ‘사고’를 치기로 했다. 이곳에 내 공간을 만들고, 마치 잠든 것같이 조용한 거리를 흔들어 깨우리라. 작지만 큰 문화적 사고를 치리라.

그렇게 해서 북카페 이데가 탄생했다. 삼겹살집 가게를 뜯어내고 직접 인테리어를 했다. 테라스도 만들고 평소 애장하던 소품들도 내놓았다. 거의 유일한 재산이라 할 수 있는 1만여 권의 장서 중 일부를 옮겨 작은 서재도 꾸몄다. 적지 않은 무리가 따랐으나 마음만은 즐거웠다.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고 스스로 즐기던 커피를 끓여내는 일, 꼭 지인이 아니면 어떠랴. 우연히 들러서 커피 한 잔에 담소를 나누고 가는 이들의 모습은 그를 행복하게 했다.

“서구문학, 아니 우리 현대문학에서도 카페가 새로운 경향과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였던 것처럼 이 작은 공간이 새로운 문화적 사건을 일으키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비록 그 규모는 작더라도 자주 전시회도 열고 공연도 하고 문학행사도 할 작정입니다. 이곳이 기점이 되어 이 일대가 다시 문화적 활력을 되찾는다면 더할 나위 없겠고요.”

그래서 그는 거리를 돌아다니면서도 이것저것 기웃거리느라 정신이 없다. 얼마 전 보아둔 작은 가게에 햇볕이 무척 잘 들어 책방 같은 것을 내면 좋겠다는 식의 자기만의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그것이 당장 이룰 수 없는 꿈이면 어떠랴. 그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기 그지없으니.

서울대 신문학과를 졸업한 그는 1995년 ‘죽은 자의 회상’이 ‘문학사상’ 신인상에 당선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장편소설 ‘사랑과 존재의 피타고라스’(1996) ‘언더그라운드’(1998)에 이어 ‘137개의 미로카드’를 발표했다. 그는 지금 준비하고 있는 작품을 탈고하는 대로 그간의 경향에서 탈피한 소설을 써볼 계획이라고 한다. 그간 너무 추상적이거나 존재론적인 문제들에 매달려오면서 소위 ‘평론가용’ 소설을 써온 것은 아닌지,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랑 이야기 같은 작품을 써보는 것도 좋겠지. 그는 살짝 들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북카페 이데가 대전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게 되기를 기대한다.

<대전 | 정성균 로컬리스트 eksk2225@dreamwiz.com>
  • ?
    이동선 2008.08.04 08:19
    오픈 시점부터 조금 알고 지냈지만 오늘에야 좀 이야기를 나눴지요...책을 사랑하는 마음이 통하는 멋진 분입니다^^
  • ?
    윤보미 2008.08.04 08:19
    아, 저도 이 곳 가봤어요.
    분위기 은은하고 책이 함께 하는 커피숍. ^-^

    (혹, 가보고 싶은 분은...
    대전평생교육원 뒤에 있어요. 중구청 부근 사리원면옥 근처. )
  • ?
    현영석 2008.08.04 08:19
    좋은 건수입니다. 북클럽, 북카페 북북 선을 그어서 연결합시다. 연결하면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을 것니다. "이데" 소개 내용 감사합니다. 조만간 한번 가보아야 겠습니다.
  • ?
    강신철 2008.08.04 08:19
    만권 장서 한 번 보고 싶군요. 기자단 이 집 한 번 가서 취재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84 공지 별에 울고, 별에 웃다 20 임석희 2008.12.02 1794
1983 공지 '최종 이론의 꿈', 올해의 과학도서 선정! 16 문경수 2008.12.02 1779
1982 공지 오늘 알라딘에서 메일이 왔는데 3 임성혁 2008.12.02 1610
1981 공지 총무님들이 모두 몇분이신가요 3 김학성 2008.12.02 1651
1980 공지 홍석우회원님께서 20만원을 후원해 주셨습니다. 7 김영이 2008.12.03 1735
1979 공지 Obamerica의 도전과 시련 1 file 고완히 2008.12.03 1574
1978 공지 2009년 서울 모임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9 김홍섭 2008.12.03 1734
1977 공지 내적 에너지를 비축합시다. 1 유은희 2008.12.03 1641
1976 공지 최재천 도정일 박문호가 함께 하는 북포럼 13 선완규 2008.12.04 2028
1975 공지 ScienceTimes 김우재 박사의 미르(miR) 이야기 1 고원용 2008.12.04 1987
1974 공지 사람의 장수, 기업의 장수 12.4 15:00 서울대 1 file 현영석 2008.12.04 1644
1973 공지 김원기 회원의 책 두권 7 전승철 2008.12.04 1808
1972 공지 무신론입장에서 보면, "신" 어쩌구는,, 참 난감한 폭력같기도 합니다. 6 최종희 2008.12.04 1750
1971 공지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3 이중훈 2008.12.05 1710
1970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 재판 결정!, 주문 받습니다. 20 문경수 2008.12.05 2409
1969 공지 동기는 계속 부여되어야 한다 4 김원기 2008.12.05 1688
1968 공지 하하하 후기 1등 ~~ 4 장종훈 2008.12.07 1717
1967 공지 본성을 직시한다는 것 9 장종훈 2008.12.07 1684
1966 공지 반갑습니다. 그리고 2 신동찬 2008.12.08 1385
1965 공지 꿈에서 뇌과학 공부를 하다! 2 전이삭 2008.12.08 16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