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7.01 18:38

소립의 변명?

조회 수 152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상략

그러나 나의 기질적 표상은
쉬이 감동하기만 할 뿐
다가갈 용기가 없다는 것을.
선택할 용기가 없다는 것을.

하략-소립


위의 소립님의 '감동하기만 할 뿐 '이라는 느낌일 뿐 이라는 표현의 변명?에 대하여 현 하버드대 심리학과 대니얼 길버트 교수는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에서 이렇게 반박하고 있습니다.

p110~

대중음악 중에서 나를 가장 짜증나게 하는 노래 중 하나는 이런 가사로 시작된다.

"Feelings, nothing more than feelings."♪ 느낌 느낌일 뿐.

느낌일 뿐이라고? 아니, 대체 그무엇이 인간의 느낌보다 더 중요하다는 얘기일까?

전쟁과 평화가 중요한 이유도 그것이 수많은 느낌을 만들어내기 때문이지 않은가? 전쟁이 고통과 괴로움을 유발하지 않는다면 또한 평화가 기쁨을 만들어 내지 않는다면 그것이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다는 말인가? 전쟁, 평화, 예술, 돈, 결혼, 죽음, 질병, 종교와 같은 중요한 주제들 때문에 사람들은 피도 많이 흘렸고 잉크도 많이썻다.

하지만 이런 것들이 굉장히 중요한 주제인 이유는 오직 하나다.그 각각의 주제가 모두 인간 감정의 강력한 원천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우리로 하여금 들뜨고 절박하고 감사하고 절망적인 감정을 느끼도록 만들지 않았다면 인간이 그 많은 피와 잉크를 쓸 일은 없었을것이다.

이하 략.


소립님의 그 감동의 감정이 인간 행동의 강력한 원천이고 우리 인류가 흘려 온 피와 잉크의 양을 말해 준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툭~ 붙이치면 펄펄 먼지만나는 마른 가슴들이 늘어만 가는 이 사회에서

쉬이 감동하기만할 뿐...의 그 쉬 감동이 소립님과 우리의 최상 자산이 아닐까요?


  • ?
    송근호 2008.07.01 18:38
    저도 임성혁님의 의견에 동의 합니다. 저도 소시적에 순수성과 현실과의 괴리에 고민하고 있던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물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소립님이 우리의 최고의 자산이라는 말이면 대답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만 줄입니다.
  • ?
    송윤호 2008.07.01 18:38
    감정을 느낄 수 있게된 그 진화적 사건이야 말로
    인간의 생존 그 자체를 포함하여 모든 문화의 발단이 된 가장 큰 원동력 !
    임성혁 회원님. 언제나 좋은 글 좋은 리플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44 공지 '면벽침사록' 중인 사람 인사올립니다. 4 김래호 2008.06.22 1914
1943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5 최형철 2008.06.21 1744
1942 공지 100books' creators (현영석, 강신철, 박문호)에 관하여 11 박성일 2008.06.21 2544
1941 공지 5학년이 말하는 "기질적 표상" 9 윤보미 2008.06.21 2057
1940 공지 [독서산행] 6월 22일 10시 "계룡산" (학봉교에서 만나요~) 4 송나리 2008.06.21 2013
1939 공지 찾아주세요 1 백종우 2008.06.20 1410
1938 공지 [기사 스크랩]다음달에 우주 태초의 수수께끼를 풀 단서가 발견 되기를 바래봅니다. 4 임성혁 2008.06.20 1901
1937 공지 제게 너무 기쁜 일이 생겼답니다 29 file 엄준호 2008.06.19 2117
1936 공지 문경수님의 글을 읽다가 4 전지숙 2008.06.19 1932
1935 공지 [기사 스크랩] 서울대 도서관 대출 톱10 모두 소설ㆍ에세이 1 문경수 2008.06.18 1969
1934 공지 어제 프로젝트 써~! 모임의 진행 내용이 궁금합니다. 4 이해선 2008.06.18 1525
1933 공지 안녕하세요. 강연회 안내와 홍보 부탁드립니다. 2 file 노현승 2008.06.18 1681
1932 공지 비둘기 관찰 3 이병록 2008.06.17 2066
1931 공지 [공지] 6/17 (화) 오후 7시 프로젝트 써! 모임 2 이정원 2008.06.17 1640
1930 공지 책 추천드립니다 4 박문호 2008.06.16 2380
1929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6 임재용 2008.06.15 1837
1928 공지 축하합니다! (수정 완료 : 사진 & 링크) 30 문경목 2008.06.14 2254
1927 공지 비둘기 관찰 1 2 이병록 2008.06.14 1693
1926 공지 [143회 독서토론회] 문태준 시인과 함께 한 '가재미' 현장스케치 9 류우정 2008.06.13 2404
1925 공지 가족의 죽음도 축복이 될 때 2 박성일 2008.06.13 18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