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6.13 09:44

가족의 죽음도 축복이 될 때

조회 수 182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름다운 아들 이시형 선생님의 모친 조문 편지에 참으로 마음이 숙연해지고, 조선의 땅과 조선의 어머니가 한없이 자랑스럽습니다.





덕분에 부모님을 회고하고 정리하게됩니다. 

 





 1. 3월24일에 81세로 돌아가신 아버님 :





 3월 중순  할아버지가  위독하여 급히 미국에서 들어온 손녀딸에게


 ‘왜왔냐? 먼 길을, 누워서  이쁜 너의  절을 받으니 내 죄가 얼마냐 크냐’고 고개를 저의시던  할아버지를


신영이는 아직도  다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 5월 1일에 75세로 돌아가신 어머니:





항상 저녁이면 두시간씩 묵상과 기도하셨던 어머니는


 50세 때에도 유방암수술을 하신 병력이 있었습니다.





‘나는 네 아버지 처럼 저렇게 오래 누워있고 싶지 않아,


 나는 하루만 아프다 하늘에 가고 싶어,


 내가 저녁기도 못하는 날이 하늘이 나를  부르시는 날이야’


하시던 어머니였습니다.





하루를 심하게 고통 받으시더니 결국 그날 저녁 기도를 못하셨는데


 새벽에 떠나셨습니다.





3. 51세 아들:


 


부모를 잃은 후에 느끼는 두려움은


앞으로도 행할 수많은 저의 실수와 허물 들을


어깨를 두드리며 용서하시고 격려해 주실 분이 안계시다는 것이 두렵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시절, 대부분 친구들도 만점 받는 받아쓰기 에서


 100점 맞은  시험지를 엄마에게 보여주려고 뛰어가던 기억이 납니다.


이제 그 어머니가 안계십니다.  다른 이들에게는 털어놓기 낯간지러운 


그런 사소한 성공조차  기뻐해주실 부모님이 안 계시는 것이 속살 깊이


아려옵니다.  





4. 그러나 부모님의 죽음은 단순한 소멸이 거나 단절이 아니라


좋은 자리를 후손들에게 양보하고 뒤로 물러나시는 사랑., 자식들이 직접 피 흘리지 않아도 죽음을  미리 체험하게 하시는 아름다운 교훈입니다.


 


평범한 노인의 일상적인 죽음도 그  가족에게는 삶 중에 가장 깊은 삶이 되니  슬픔 안에  축복입니다.   



  • ?
    이혜로 2008.06.13 09:44
    어버이날 겸해서 시부모님께 보약이라도 해드리려고 모시고 갔었는데,
    그즈음이 원장님 어머님께서 소천하신지 며칠 안된 줄을
    한참 후에나 알고 깜짝 놀랬더랬습니다.
    그런 슬픔 가운데서도 환자들에게 정성을 다하시는 모습 뵙고 참 감사한 마음, 존경의 마음이 들었습니다. 슬픔속에서도 축복의 의미를 찾으시니 그러실 수 있는듯 합니다. 저희에게도 죽음을 다시 생각할 수 있게 해주시니 참으로 고맙습니다.

    81세, 75세, 51세 그 밑에 부모님과 제 나이도 적어봅니다.
  • ?
    임석희 2008.06.13 09:44
    아.. 그러셨군요...
    봄에 마음의 평화를 드리고자 원장님께 선물할 책을 한권 샀었는데,
    원장님의 초연한 모습에서 굳이 그 책이 필요 없다는 것을 알았더랬죠.
    다시금, 원장님의 초연한 큰 모습에 감동받고,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갑자기... 지난 주말 세포를 공부하면서 보았던 "죽어야만한다" 라는 구절이 떠오릅니다. 삶과 죽음의 의미를 정리해 보아야겠습니다.

    마음의 평화를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4 공지 최재천 도정일 박문호가 함께 하는 북포럼 13 선완규 2008.12.04 2028
1843 공지 ScienceTimes 김우재 박사의 미르(miR) 이야기 1 고원용 2008.12.04 1989
1842 공지 사람의 장수, 기업의 장수 12.4 15:00 서울대 1 file 현영석 2008.12.04 1644
1841 공지 김원기 회원의 책 두권 7 전승철 2008.12.04 1808
1840 공지 동아일보에 난 김억중 교수님 기사 소개 4 문경수 2008.12.04 2391
1839 공지 무신론입장에서 보면, "신" 어쩌구는,, 참 난감한 폭력같기도 합니다. 6 최종희 2008.12.04 1750
1838 공지 [사진] 153회 백북스 정기모임 - 저자 안철수 강연 7 이정원 2008.12.05 2197
1837 공지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3 이중훈 2008.12.05 1710
1836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 재판 결정!, 주문 받습니다. 20 문경수 2008.12.05 2409
1835 공지 동기는 계속 부여되어야 한다 4 김원기 2008.12.05 1688
1834 공지 하하하 후기 1등 ~~ 4 장종훈 2008.12.07 1717
1833 공지 본성을 직시한다는 것 9 장종훈 2008.12.07 1684
1832 공지 반갑습니다. 그리고 2 신동찬 2008.12.08 1385
1831 공지 꿈에서 뇌과학 공부를 하다! 2 전이삭 2008.12.08 1680
1830 공지 이런글도 괜찮나요 5 김학성 2008.12.08 1566
1829 공지 [공지] 제155회 독서토론회 <뇌, 생각의 출현> (12/9, 화) 이정원 2008.12.09 1880
1828 공지 [re] 공부의 의미를 찾아준.. 어느 백북스 회원님의 '문자' 윤보미 2008.12.09 1996
1827 공지 ( )면 죽는다 3 김민정 2008.12.09 1597
1826 공지 [기사]'물질과 의식의 양면성' 강연, 장회익 서울대교수 서지미 2008.12.10 1509
1825 공지 [기사]'철학과 과학은 동반 관계다' 장회익 서울대교수 서지미 2008.12.10 15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