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30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금일 강연을 듣고 평소 제가 느낀 생각과 많은 부분이 같아서 글을 남깁니다.


 



제가 오늘 들은 강연을 짧게 요약해 보자면 우리가 병자호란을 왜 겪었고 그것을 일으킨 중국은 지금 어떻게 앞으로 달려가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나. 그리고 우리는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로 앞축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병자호란 보단 임진왜란이 더 크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아직까지 사대주의 잔재가 남아 있는 게 그 원인이 아닌가 하고 본다.




 

이석봉 대표님의 말씀 중에 역사는 과거의 과오를 범하지 않기 위해 배워야 한다고 말을 하셨다. 간단한 진리인데도 우리는 같은 과오를 자주 범한다.


숱한 침략의 역사와 전쟁으로 인한 굴욕을 계속 겪은 것이 그 과오를 수정치 못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세계 역사를 돌아보면 강자가 모든 것을 지배하고 강자가 곧 진리이며 정의였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인간은 동물이며 동물의 세계에선 약육강식은 당연한 자연의 진리다. 인간이 동물을 탈피하고 완벽한 이성의 논리로 사는 날이 온다면 약육강식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고 먹고 자고 싸고 하는 그 순간 까지는 이 자연의 법칙을 벗어날 수 없다.





 

나는 이제 까지 안 해본 일이 없고 일찍 사회생활을 하면서 많은 사람을 보고 관찰하고 생각했다. 이성적 판단만으론 세상은 정의로워야 한다. 하지만 현실은 결코 그렇지 않다. 사마천이 사기에서 정의롭지 못한 사람이 오랫동안 잘산걸 보고 세상의 불합리를 느꼈 다면 그것은 인간을 완전히 모른데서 나온 오류라고 보고 싶다.


 


강대국 중국 역시 외세의 침입을 받고 수도가 함락되는 굴욕을 겪었다 하지만 그들은 그것을 극복하고 다음세기로의 발전을 이룩해 냈다.


우리는 어떠한가. 그렇게 많은 외침을 받은 이유를 우리 스스로 제공하지는 않았나? 그리고 우릴 침략한 적을 욕하기만 바쁜 것은 아닌가?


적을 욕하고 내분에 슬 데 없는 논쟁으로 시간을 허비하는 그 시간에 강자가 되기 위해 한 번 더 노력하는 게 더 이성적인 판단이 아닐까?




 




 

약자가 아무리 정의를 수호하고 부르짖어도 그건 한낱 돌아오지 않는 외침일 뿐이다. 역사가 그것을 증명한다.


 

세상은 강자에 의해 돌아간다. 국가간이 되었건 개인간이 되었건 똑같다. 강자가 되어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바를 이루고 정의를 구현하면 될 것이다.




   


p.s:늘 이런 좋은 강연을 들을수 있게 해주신 운영진 및 모든 회원분들게 고마울 뿐입니다.

  • ?
    송근호 2008.05.28 11:33
    최정원님 글 잘 봤습니다.
  • ?
    박찬영 2008.05.28 11:33
    데스먼드 모리스의 "털없는 원숭이 (동물학적 인간론)"을 보면 인간세상에서의 약육강식의 논리가 당연한듯 합니다. 이성에 눈을 뜬것은 길게 잡어봐야 몇천년인데 사람은 몇 백만년동안 진화 했으므로 이성과 실제 생활의 괴리가 있다고 책은 말합니다. 이성적으로 윤리적으로 살고 싶은데 그렇지 않은 사회를 분노하기 보다는 인간의 동물적 한계를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사회를 보고 이성과 윤리를 본다면 더 "객관적"(이성봉 대표님의 강연의 주요 모티브?)으로, 그리하여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수 있다고 짧게 생각해보았습니다.
    아 데스먼드 모리스의 "털없는 원숭이" 책 좋습니다. 추천~ ^^
  • ?
    이혜영 2008.05.28 11:33
    어제 토론회장의 뜨거운 열기와 토론자께서 던져주신 화두.를 되새김질 해 보게 되네요^^
    백북스 토론회에 어제까지 5번 연속갔는데, 앞으로도 쭉~ 계속 갈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던 토론회였습니다. 그런데 박문호 박사님께서 혼자만 오지 말라고 하셔서, 벌써부터 누굴 데려가나, 고민중입니다.^^;;
  • ?
    양경화 2008.05.28 11:33
    우연히 이번 주에 읽게 되었는데, <중국은 가짜다> 라는 책도 권합니다.
    BBC 기자가 15년 동안 중국 특파원으로 있으면서 쓴 책인데, 현재까지도 베일에 싸인 이 나라의 내면을 깊숙히 들여다 보고 있습니다.
  • ?
    최정원 2008.05.28 11:33
    좋은 책 추천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추천해주신 책들 꼭 보겟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04 그것 밖에 없다 3 이병은 2009.10.30 1834
2203 [뇌과학 강연 2/6] 간단 후기 + 오늘의 주 논문(PDF 링크) 2 김제원 2010.02.07 1833
2202 홍보 새책! 『대테러전쟁 주식회사』(솔로몬 휴즈 지음, 김정연·이도훈 옮김) ― 공포정치를 통한 기업의 돈벌이 갈무리 2016.04.21 1832
2201 종교에 대한 질문을 올려도 되는지요? 1 신동찬 2009.06.15 1832
2200 공지 감사합니다. 4 임해경 2007.08.13 1832
2199 김희준 선생님 칼럼-137억년 전 빅뱅으로 초대합니다 5 강혜정 2009.07.02 1831
2198 공지 [나의 학생들에게] 퍼옴 2 임석희 2008.03.19 1831
2197 켈러, 하딩과 해러웨이의 시선으로 과학기술과 젠더 들여다보기, 강좌 안내입니다 양승원 2010.03.26 1830
2196 뇌과학-등록 및 출석 확인 부탁드립니다 강혜정 2010.01.27 1830
2195 [2009학습마라톤] 하루만 참석하기 / 온천은 선택사항 윤보미 2009.10.24 1830
2194 대전국제우주대회 백북스 홍보관 설치 3 이정원 2009.10.11 1830
» 공지 금일 있은 이석봉 대표님의 강연을 듣고. 5 최정원 2008.05.28 1830
2192 공지 올해 도서목록 정리했습니다. 1 모현혜 2009.02.05 1829
2191 공지 가슴울림 12 이소연 2008.12.24 1829
2190 공지 '뇌과학공부소모임' 모임 장소 공지 2 엄준호 2007.11.07 1829
2189 서평 공모와 <감정의 분자> 1 정광모 2013.04.11 1828
2188 잠시 부재중인 오창석 총무입니다. ^_^ 5 오창석 2010.06.07 1828
2187 새벽을 마주하며... 8 홍종연 2010.05.28 1828
2186 안녕하세요.오늘 가입했습니다. 진규동 2010.01.24 1828
2185 공지 수학능력 2 이중훈 2009.02.21 1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