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5.23 03:44

인간의 호기심

조회 수 1785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간 호기심의 끝은 도대체 어디일까요?  아마 끝이 없겠죠?


오늘 신문에 영국은 줄기세포를 추출하기 위해 핵이 제거된 동물 난자에 사람 세포의 핵을 이식하는 실험을 법적으로 허용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실렸습니다.


그 기술이야 새로울 것이 없지만 기술의 사용을 누구나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기사를 본 순간 오래 전에 본 영화 “DNA"가 생각났습니다.


자세하게 내용이 기억나지는 않지만 대략 기억을 떠올려보면...


어느 과학자가 외부와 격리된 곳에서 가장 이상적인 인간성을 가진 생명체를 만들기 위해 사람과 동물들의 DNA를 조합합니다. 과학자는 가장 이상적인 동물을 만들어냈을까요? 아닙니다. 반대로 수 많은 괴물들이 태어났지요. 좋은 점만을 지닌 생물이 아니라 오히려 야수의 힘과 포학성을 가진 괴물말입니다. 사실 당연한 결과입니다. 우리는 아직 생물 발생 비밀을 다 밝혀내지 못했습니다. 설령 미래에 발생의 비밀을 다 알게 된다 하더라도 그 과정을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통제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쥐, 고양이, 개, 양, 소 등 동물들을 복제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많은 기형 동물들이 태어나고 그들이 죽임을 당했는지 많은 사람들은 아마 모를 것입니다.


다시 영화이야기로 돌아와,

그 과학자는 괴물들의 몸에 큰 고통을 줄 수 있는 장치를 심어 그들의 야성을 통제하며 신처럼 굴림합니다. 그러나 결국 그 통제가 풀리고 그 과학자는 자신이 창조한 괴수들의 손에 죽임을 당합니다.



인류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용감하게 만이 아니라 조심스럽게 발을 내딛여야 하는 면도 분명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개인적으로 인간의 호기심은 축복인 동시에 불행의 씨앗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자꾸 듭니다.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153279

Prev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김탁환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김탁환 2010.12.14by 강신철 인간의 뇌 속을 상징화시킨 판타지 <잠꾸니 루미> Next 인간의 뇌 속을 상징화시킨 판타지 <잠꾸니 루미> 2009.04.14by 박철완
  • ?
    이상수 2008.05.23 03:44
    인간의 역사가 그렇게 흘러 온 것 같습니다. 호기심으로 인한 새로운 발견 또는 재앙. 앞으로도 인간의 호기심으로 해서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될 것 같습니다.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것이 옳든 그르든 누군가는 열게 될 것 같습니다.

    그것이 인간의 속성이고 그렇게 미래의 역사도 흘러 갈 것 같습니다.
  • ?
    엄준호 2008.05.23 03:44
    정말 그래요. 누군가는 그 상자를 꼭 열고맘니다. 아무리 막으려해도...
  • ?
    송근호 2008.05.23 03:44
    엄박사님의 말대로 무언가에 이끌리는 끌개의 파장이 아닐까요? 과학콘서트의 내용과

    오버랩 되는데 맞는가 모르겠습니다. 다시 웃는 얼굴로 뵙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4 공지 인사~ 2 이동섭 2009.01.14 1408
3543 공지 인사^^드립니다!! 1 전수현 2003.10.09 2250
3542 가입인사 인사 드립니다. 1 고물 2015.11.01 1681
3541 공지 인사 1 황희석 2003.05.25 2630
3540 공지 인문학을 통해 인문학 벗어나기? 유명하다는 원전과 고전을 보자? 7 김원기 2008.10.03 1589
3539 인문학 혹은 과학에 대한 오해의 이유, 통섭 전에 무엇을 할 것인가 - 홍성욱 1 우성범 2011.05.18 1718
3538 홍보 인문포털(가칭) 기자단 제1기 『인문쟁이』 모집 file 곤주 2015.08.26 1522
3537 공지 인문사회과학출판인 선정 "2008 올해의 책" 5 문경수 2008.12.11 1789
3536 공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4 임말희 2009.01.02 1926
3535 공지 인도양에 넘실대는 태양을 맞이하며.... 5 file 송근호 2008.02.07 1284
3534 공지 인도로 가는 또 다른 문 고재명 2003.02.21 2661
3533 인공광합성- 대체에너지 개발 2탄 file 박경호 2011.04.05 1747
3532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김탁환 1 강신철 2010.12.14 1500
» 공지 인간의 호기심 3 엄준호 2008.05.23 1785
3530 문학예술 인간의 뇌 속을 상징화시킨 판타지 <잠꾸니 루미> file 박철완 2009.04.14 2557
3529 공지 인간 없는 세상 4 박문호 2007.10.29 1553
3528 공지 익명의 후원 회원님께 감사드립니다. 4 송윤호 2008.08.15 1435
3527 공지 이해를 합니다만 . 윤석련 2002.11.22 2824
3526 공지 이필열 교수 "새만금 간척과 핵폐기장 건설" 전재 현영석 2003.07.28 2459
3525 이평래 교수님과의 뒤풀이 4 이정원 2009.08.26 19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