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15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번 천문우주 모임의 공부 주제는 “세포의 춤”이었다.

 


1. 바위는 나비로 날아오른다.


첫 강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주에서 발견된 물질, HCN 그리고 CH2O.


HCN은 5개 모이면, 유전자에 들어있는 아데닌이 되고, CH2O는 6개가 모이면 포도당이된다. 내 몸을 이루는, 생명체의 구성인 단백질과 포도당.


우주에 있는 물질은 그것으로 인해 만들어진 우리 이외의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을 암시한다. 또, 아주 아주 오래전 그 물질로 인해 지구상의 생명체가 탄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나는 한 가지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을 만났다.


우리가 흔히 분류하는 방식으로 볼 때, 화학원소로 구성된 어떤 분자, 즉 HCN과 CH2O는 엄연한 무생물이다. 그런데, 나는 생물이잖아? 어떻게 같을 수가 있어?


그런데,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과 최근 화학실험실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그 HCN와 CH2O는 나와 동일한 존재다. 다만, 생명이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을 뿐.


 


일단, 생명체가 그 두 가지 물질에서 기인한다고 보자. 그러면, 어느 순간에 이상한 질문에 부딪힌다.


"그렇다치면, 어떻게 무생물에 생명력이 부과되는 것일까???@@ "



 


이것이 7차 천문우주모임에서 공부하던 중 떠오른 충격적인 질문이었다. 나와 무생물을 동일시해야 하는 것을 바로 내 눈앞에서 인정할 수도 없고, 인정해야만 하는 그런 순간과 맞닥트리게 된 것이다.


 



우연인지 박성일 원장님께서 쉬는 시간에 내 앞으로 오셨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질문을 던졌다. “원장님, 지금 설명으로 치면, 내 몸을 구성하는 이 물질들은 분명 무생물인데, 어떻게 생명이 있는 저와 같을 수 있죠? 만약 같다면, 어떻게 같아지요?”


박성일 원장님의 대답은 너무 간단했다.


“당연히 같은 존재지. 같은 물질이지. 무생물이나 생물이라는 것의 차이가 없는거지.”


 


헉!


내가 무생물이고, 내 몸의 어떤 분자구조가 생물이라는 믿기 어려운 말이 맞다고 주장하시는 이분이 의사선생님 맞으신가???


아니! 어떻게??? 내가 질문을 던지긴 했어도, 이게 어떻게 말이 되느냐 말이야???



 


이어지는 원장님과의 대화.


“내 손에서 떼어낸 미세한 세포는 생물인가? 아닌가? 생명이 있는가? 아닌가?”


“세포... 움직이니까.... 생명이 있겠죠. 생물이죠.”


“당연하지, 생명이 있지. 생물이지. 자, 그럼, 그 분자는 생물이야? 아니야?”


 


끙... 머릿속이 복잡하다. ‘분명 생명에서 나온것이니, 생물체라고 답해야하는데, 어떻게 화학구조식인 HCN과 CH2O가 생명치라고 답할 수 있어??’


난 표정이 일그러졌다. 잠시 생각한 후 얼버무리듯 대답한다.


“생명이라고 답해야하는데, 인정하기가 어려워요. 그들은 분명 무생물인데...”


“아니, 어떻게 그게 무생물이야? 자네 몸에서 나온건데!!!”



난 지지않고 말한다.


“그럼, 화학물질이야 그렇다 치고, 화학원소만으로 구성된 금속은...알루미늄같은 금속도 생물이게요?”


“그럼, 당연하지!”


헉@@ 이런 말도 안되는 대화를 하고 있다니!!


“그건 말이 안돼요. 내 몸속에서 나간 건 그나마 어떻게 동의한다고 해도, 금속 덩어리가 어떻게....???”


“금속은 아주 안정화된 상태에 있는거야. 만약에 금속이 활성화된다면?”


“그럼, 탄소의 전자껍질이 외곽으로 이동해서 활성화되는 것처럼요?”


“그렇지, 활성. 그 말을 생각해봐. 그때가 바로 생명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는 순간이야.”


멍~~~해진다.


안정화된 탄소 C가 불안정한 들뜬 상태의 C가 되는 순간. 화학 반응을 하기 위해 네 개의 팔을 뻗는 것. 그때가 바로 의식이 들어가는 시점이라니...


“의식은 그래도 동물이나 식물같은 생명체에만 있어야...하지 않나요?”


질문을 하긴 했는데, 점점 복잡해진다. 혼란스러운듯하면서도 정리가 되는 듯하다.



“동식물과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 역시, 동식물에 의식이 있다는 것이군요!”


잠시 멍한 사이, 다른 회원이 던진 말이다.


“유레카. 바로 그거야. 동식물에도 의식이 있어. 의식이 인류의 전유물은 아니야. 의식에 대한 개념이 바뀌어야해요. 지금까지의 개념으로 말하는 의식은 인간의 우월성에 입각한,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혹은 조금 더 양보해서 최근엔 동식물까지 확대해서 생명체가 가지는 거라고 보는데, 결코 그렇지 않아요.”




그래, 그렇다 치자. 모든 무생물이 들뜬 상태가 될 때 의식이 생기는 순간이라면,


“그럼, 의식은 에너지인가요?”


“물질이지. 의식도 물질에서 나오는거지. 대칭이 파괴되는 것. 그것이 의식이야.”


“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물질은 빛으로, 빛은 에너지. 그럼, 의식이란... 에너지?? 그래서, 안정된 상태가 에너지를 받아서 활성화될때 그때가 의식이 생기는 시점?”



지금의 대화가 이번 월드사이언스 포럼에서 에델만이 주장한 “물질에서 상상력으로”라는 강연과 비슷하다는 말씀과 더불어, 원장님은 끝으로 하나의 그림으로 설명을 마무리 해 주셨다. 에델만에게 보여주었더니, 바로 핵심을 집었다며 싸인 받았다는 원장님의 그림.


 


에델만의 사인이 그려져 있다는 그 그림.(앞의 사진을 참조하세요)




 


어떤 힘에 의해 바위(무생물)가 움직이면(에너지를 얻어 반응하면), 종국에는 나비가 될 수 있다.(의식의 탄생, 무생물의 생물로의 전환) 이것이 그림을 요약한 한 문장이다.


 



“의식의 개념을 새로 정립하고, 인간의 우월성을 탈피하면, 얼마나 자유로와지는지!


우리가 종국에는 이것에 도달해야 합니다.”


이것이 짧은 원장님의 마지막 말씀이었다.



 


충격적인 짧은 10분의 강연.


아직은 100% 몸으로 마음으로 느껴지지 않지만, 의식이라는 것이 에너지 활동에 기인한다는 것, 그렇다면 물질과 영혼은 어쩌면 같은 존재라는 것.


 


결론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무언가 충격 속에서 건져진 깨닳음은 있는 듯하다.


놀다가... 그리고, 공부를 하다가... 무언가 깨닳기.


이것이 바로 내가 백북스클럽의 천문모임에 열광하는 이유가 아닐런지! ^^*



  • ?
    이정원 2008.05.22 14:49
    댓글을 달아서 제목과 댓글수를 구분해야겠어요. ㅎㅎ
  • ?
    윤보미 2008.05.22 14:49
    그날 옹기종기 무슨 이야기하는지 처음부터 듣지 못해서 매우 궁금했었는데,
    이런 이야기였군요! 안그래도 궁금한 마음에 어제부터 영교시 수업을 읽고 있다는..

    그날의 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해요. ^-^
  • ?
    이병록 2008.05.22 14:49
    한 수 배웠습니다.
  • ?
    이상수 2008.05.22 14:49
    영교시 수업 2편이네요. 임석희님이 주인공 이세요. ^^
  • ?
    류우정 2008.05.22 14:49
    그 순간! 박성일 원장님과 임석희 회원간 대화식 수업이 오고간 그 10분간...
    아마 저는 다른 회원분들과 대화중이었던 것 같네요.
    이렇게 글로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생동감 넘치는 대화속에 "의식"에 대한 개념설명!!
    저는 100북스와 함께 평생 학습을 통해 자유로워지고 싶습니다.
  • ?
    박용태 2008.05.22 14:49
    궁금해서 물어 봅니다.
    전자의 들뜬상태에 대해서는 알겠는데 탄소의 들뜬 상태라...
    지난번 공부모임에 가지 못해서 전자의 들뜬상태와 탄소의 들뜬상태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아시는 분 부탁 드립니다.
    또하나 우주와 생명의 탄생에 대해 공부하다 보니 나도 모르게 환원주의자가
    되는것 같습니다. 나는 환원주의자 일까?
  • ?
    임성혁 2008.05.22 14:49
    잘 보았습니다.좋은 대화 좋은 글 고맙습니다.
  • ?
    장현도 2008.05.22 14:49
    감동..그 자체입니다.
    아직 모든 내용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차차 풀어가야 할 소중한 숙제를 제게 주신 것 같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
    정영옥 2008.05.22 14:49
    “의식의 개념을 새로 정립하고, 인간의 우월성을 탈피하면, 얼마나 자유로와지는지!"
  • ?
    임석희 2008.05.22 14:49
    엄준호 박사님께서 모자라는 부분을 덧붙여주셨습니다. 꼭 함께 읽어보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4 뇌-인지과학 심포지움을 다녀와서 - 1 조장희 박사님의 강연 1 지석연 2010.03.29 2030
2063 공지 뇌-생각의 출현을 읽고(세포버전의 메트릭스) 3 신동찬 2009.01.12 1528
2062 뇌,생각의출현 3 최경희 2009.07.16 2237
2061 뇌(과학) 지상주의 문화에 대한 반성: 최근 출간된 해외서적들과 관련된 생각 5 file 이정모 2011.08.29 2200
2060 공지 뇌! 유현숙 2005.05.13 1822
2059 공지 뇌 신경망 촬영 -기사 2 임성혁 2009.03.17 1929
2058 공지 뇌 생각의 출현을..... 4 안수영 2008.11.29 1540
2057 공지 뇌 생각의 출현을 읽다가... 5 김학희 2008.10.31 1581
2056 공지 뇌 생각의 출현에 나오는 도표요~ 2 방문자 2008.10.27 1471
2055 공지 뇌 생각의 출현 을 읽고 질문... 3 이홍연 2009.02.19 1724
2054 공지 뇌 생각의 출현 북포럼 "오늘 7시 30분입니다." 2 문경수 2008.12.16 1595
2053 농식품부 귀농교육 소개-대전 file 김미숙 2011.04.02 1758
2052 공지 놀라워라 조근희 2002.07.05 3779
» 공지 놀다가, 그리고 공부를 하다가...(첫번째) 10 임석희 2008.05.22 1915
2050 논쟁이 어려운 이유 2 공문환 2011.05.22 1568
2049 공지 논리문제 6 육형빈 2007.11.09 1555
2048 논리는 꿈을 현실로 만드는 힘 3 이중훈 2010.06.15 1900
2047 공지 논리가 좋아 - 바르셀로나의 한 호텔방에서 7 이정원 2008.12.31 2015
2046 공지 노트만들기 놀이 14 이혜로 2008.03.21 1655
2045 노은도서관 살아있는 책과 만나다 운영(12.09.22 토 14:00 ~ 16:00) file 윤상수 2012.09.05 16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