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548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국 쓰촨성(四川省)은 전체 면적의 58%가 고원 산지이며 평원은 5%에 불과하다. 특히 서부는 티베트 고원과 이어지는 험난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유비가 세운 촉(蜀)나라가 이곳에 있었고, 유비와 장비가 세상을 떠난 곳도 이 지역이다.

쓰촨성 광위안(廣元)에는 젠먼관(劍門關)이라는 군사 요새가 자리잡고 있다. 협곡 사이에 높다란 성벽이 우뚝 솟아 있는데 통로는 너비 7m에 불과하다. 삼국시대 촉나라 장수 강유(姜維)는 병사 3만명으로 위나라 10만 대군을 여기서 격퇴시켰다. 당나라 때는 반군을 무찔렀고, 20세기에는 중국 공산당 홍군의 승전지다.

당나라 때의 시선(詩仙) 이백은 쓰촨성의 험난한 지리와 젠먼관의 역할에 대해 '촉도난(蜀道難)'이라는 시를 남겼다. '검각은 우뚝뾰쪽 높이 솟아/한 사람이 관문 막으면 만 사람도 관문 뚫지 못하네/촉으로 가기가 푸른 하늘 오르기보다 어려워라/몸 추켜세우고 서쪽 바라보며 길게 탄식하네….' 과거를 부정하려 했던 마오쩌둥(毛澤東)마저도 찬탄했다는 작품이다.

쓰촨에는 주자이거우(九寨溝)나 황룽 오채지, 샹글리라 같은 자연유산들이 즐비하다. 세계문화유산인 두장옌(都江堰)은 옛 사람의 지혜를 배울 수 있는 곳이다. 2천200여년 전 홍수에 시달렸던 이 마을 사람들은 인공 관개 수로를 조성했다. 대나무로 짠 바구니에 돌을 채우고, 나무로 삼각대를 만들어 떠받쳤다. 강물을 조절하면서 배가 다닐 수로는 유지시킨 것이다. 

쓰찬성 일대에 엄청난 강진이 덮쳤다. 이백이 '촉도난'에서 '땅 무너지고 산 부서져 장사 죽으니/하늘 사다리 돌계단 길이 겨우 열렸네'라고 읊은 것은 단순한 시적 표현만이 아니라, 지진이 발생했던 곳이라는 의미는 아니었을까. 두장옌시에서도 인명 피해가 막대하다고 한다. 유비와 제갈량이 다녔던 촉도와 젠먼관은 무사한지 궁금하다.                                                               부산일보  박병곤 수석논설위원

----------------------------------------------------------------------------

 


 * 중국쓰촨성 대지진에 가슴아파하며 심사정의 '촉잔도권' 과 이백의 시 '촉도난'을 함께 실어봤습니다.


 






심사정 沈師正, 1707~1769 : 자는 이숙(頤叔). 호는 현재(玄齋)이며  정선 과 더불어 18세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이다. 하늘 오르기보다 어렵다는 촉으로 가는 길(촉도)을 조선의 화가가 그렸다. 위 그림은 8미터에 이르는 대작 〈촉잔도권〉(蜀棧圖卷) 일부.


                                                                                                          


 


 

蜀道難    촉도난


 


                                                                     李 白  이 백


 


        噫 戱 危乎高哉
        희우희 위호고재


         아이쿠
        
아찔하게 높고도 험하구나
!


 

        蜀道之難 難於上靑天
        촉도지난 난어상청천

0 추천 0 비추천
Facebook Twitter Google Pinterest KakaoStory Band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
    양경화 2008.05.17 22:12
    이 글을 보니 가슴이 뭉클해집니다. 시가 백 마디 말보다 더 절절하군요.
    알고나니 더 마음 아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4 168회 정기강연회 안내(6월23일 (화) 19시, 장소확인바람) 김홍섭 2009.06.22 1735
1803 [현장스케치] <경북 백북스> 창립기념 강연 (4/18) 6 윤보미 2009.04.22 1735
1802 공지 홍석우회원님께서 20만원을 후원해 주셨습니다. 7 김영이 2008.12.03 1735
1801 공지 약 2년간의 백북스 활동으로 바라보는 지금의 백북스 4 문경목 2008.11.30 1735
1800 공지 2008년에도 교차로는 독서클럽과 함께 하겠습니다. 5 김주현 2007.12.28 1735
1799 공지 지식네트워크 선포식 참석 후에.... 13 송윤호 2007.10.18 1735
1798 그래도라는 섬이 있다 - 김승희 2 정남수 2013.02.26 1734
1797 무더위를 날리는 Cambrian Explosion Song! 4 문경수 2011.07.21 1734
1796 부끄럽습니다. 우성범 2011.05.17 1734
1795 땀과 땅 1 이중훈 2010.07.20 1734
1794 공지 2009년 서울 모임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9 김홍섭 2008.12.03 1734
1793 진중권 전 중앙대겸임교수 새책출간기념강연회 안내 1 file 이동선 2009.11.04 1733
1792 [이정원의 문화산책]베네치아서 만난 '성모의 승천' 4 최병관 2013.03.07 1732
1791 백북스회원이라면 꼭 봐야 할 동영상은 이런 것이겠죠. 2 조종암 2011.03.18 1732
1790 11월23일 서울백북스 강연 11월28일(일요일)강연으로 대체 2 박용태 2010.11.22 1732
1789 뒤풀이 오시는 길 test file 연탄이정원 2010.11.23 1731
1788 발가벗겨진 느낌 이병록 2010.07.19 1731
1787 [학습마라톤] 사진/셔츠판매 수익금 관련 임석희 2009.11.07 1731
1786 공지 리벳의 실험 후속편.. 3 file 장종훈 2009.01.03 1731
1785 공지 회원이 되고 싶습니다.. 4 신현숙 2008.03.02 17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