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80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앙일보에 실린 기사입니다.
독서 모임 분들께 여러 생각거리를 드릴 듯 해서 올립니다.
함께 꿈꾸시는 모습들이 아닐까 해서, 대덕이란 곳도 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닐까 하고도 상상되네요.
한 번 보시죠.
------------------------------

 

헌 책방이 농촌을 살렸답니다. 웬 뚱딴지 같은 소린가 싶으시지요. 유럽의 고서점 동네 24곳에 대한 순례기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생각의나무)에는 그 사례가 줄을 잇습니다. 정보화·도시화의 물결 속에서 점점 입지가 좁아졌던 서점과 농촌. 그 둘의 결합이 어떻게 부활 프로젝트가 됐는지, 신기한 일입니다.

세계 최초의 책마을은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영국의 헤이 온 와이입니다. 1962년 리처드 부스가 성을 사들여 헌 책방을 크게 연 게 그 출발이었지요. 인구가 1300명밖에 안 되는 작은 마을. 40여개의 헌책방이 모여있는 이 곳은 매년 수십만 명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적인 명소가 됐습니다. 연간 책 판매량이 100만 권이 넘고 주민 전체가 헌책방을 중심으로 생활을 꾸려간다고 합니다. 관광객이 몰리면서 기념품 가게와 음식점·호텔·민박집 등도 호황을 맞았으니까요. 헤이 온 와이의 성공을 모델 삼아 프랑스·독일·스위스 등 유럽 전역에 책마을이 조성됐습니다.

책마을은 여기저기서 선전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최초의 책마을인 베슈렐의 경우 땅값이 많이 올랐답니다. 한때 대마(大麻)를 꼬아 짜는 선박용 밧줄의 생산지로 명성이 자자했던 베슈렐은 1960년대 이후 전국적인 농촌 대탈출 바람으로 몰락일로에 놓여 있었다지요. 4만5000유로였던 500평방미터 땅이 책마을 조성 이후 10년 만에 20만 유로로 치솟았답니다. “프랑스 시골에서 이런 상승 폭은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는 게 저자인 미술평론가 정진국씨의 설명입니다.

서점 33곳이 모여있는 벨기에의 책마을 르뒤. 주민 400명인 이 작은 동네에 지난 한햇동안 20만명의 외지 사람들이 찾아왔다고 합니다. 대도시로 떠나는 청춘들을 붙잡을 묘책이 없었던 르뒤가 이제 젊은 연인들의 주말 데이트 코스로 자리잡았답니다. 서점가의 식당에는 앉을 자리도 없다니, 축하해줄 일입니다.

책마을은 도시생활에 찌든 ‘먹물’들의 도피처가 되기도 했습니다. 불안정한 고용환경과 살벌한 생존경쟁에 넌더리가 난 지식인들이 책마을로 내려와 서점을 낸 것이지요. 책에 기대 문화생활과 생계를 함께 꾸려갈 수 있으니, 그만큼 솔깃한 직업도 없었을 겁니다. 정착한 지식인들이 정체된 농촌사회에 활력이 된 것은 당연했겠지요.

고사 직전이었던 우리나라의 헌책방 문화도 꿈틀대고 있습니다. 파주 출판단지와 서울 광화문·신촌 등에서 아름다운 가게가 운영하는 헌책방이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고, 지난 2월 온라인 서점 알라딘이 ‘중고샵’코너를 만들면서 헌책 사고 팔기는 더욱 손쉬워졌지요. 새 책을 팔아 이윤을 남겨야 하는 출판사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일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헌책방을 통해 책이 ‘반짝 소모품’이 아닌 주인을 물려가며 읽을 만한 ‘가치’란 인식이 확산된다면, “갈수록 불황”을 호소하는 출판계에 보약이 되지 않을까요. 

이지영 기자
  • ?
    이병록 2008.05.16 00:03
    저도 최근에 대방역 구내 헌 책방에서 좋은 책을 몇 권 구입했습니다. 또한 새책은 금방 품절이 되곤 하는데, 옛날에 놓쳤던 책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 ?
    정영옥 2008.05.16 00:03
    책 좋아하는 우리 회원들이 한마을에 살면서
    맛있는것도 나눠먹고 스터디도 하고 음악회와 축제도 열고
    서로 책도 빌려보고 경조사도 함께하고..
    상상해봤는데 기분이 좋네요~
    그런데 지금 우리가 독서클럽에서 하고 있는 일이더군요.ㅎㅎ
    그래서 기분이 더 좋네요~ ^^"
  • ?
    김세영 2008.05.16 00:03
    그러구보니 저도 헌책방을 가본지가 참 오래되었네요. 헌책방이 주는 정겨움과 귀한책이나 새책같은 헌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쏠쏠한 법인데..그리고 정영옥 회원님의 공동체 마을..정말 기분좋은 상상입니다. *^^*
  • ?
    김세영 2008.05.16 00:03
    그러구보니 저도 헌책방을 가본지가 참 오래되었네요. 헌책방이 주는 정겨움과 귀한책이나 새책같은 헌책을 발견했을 때의 기쁨이 쏠쏠한 법인데..그리고 정영옥 회원님의 공동체 마을..정말 기분좋은 상상입니다. *^^*
  • ?
    송근호 2008.05.16 00:03
    저도 호주에서 헌책방에서 교환및 거래가 활성화 되있는 걸 보고 부럽기도 합니다.

    이석봉 대표님! 글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64 공지 김원기 회원의 책 두권 7 전승철 2008.12.04 1808
2463 공지 사람의 장수, 기업의 장수 12.4 15:00 서울대 1 file 현영석 2008.12.04 1644
2462 공지 ScienceTimes 김우재 박사의 미르(miR) 이야기 1 고원용 2008.12.04 1987
2461 공지 최재천 도정일 박문호가 함께 하는 북포럼 13 선완규 2008.12.04 2027
2460 공지 내적 에너지를 비축합시다. 1 유은희 2008.12.03 1640
2459 공지 2009년 서울 모임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9 김홍섭 2008.12.03 1734
2458 공지 Obamerica의 도전과 시련 1 file 고완히 2008.12.03 1574
2457 공지 홍석우회원님께서 20만원을 후원해 주셨습니다. 7 김영이 2008.12.03 1735
2456 공지 백북스 사랑방 : 12/16 (화) 3 이정원 2008.12.03 2410
2455 공지 총무님들이 모두 몇분이신가요 3 김학성 2008.12.02 1651
2454 공지 오늘 알라딘에서 메일이 왔는데 3 임성혁 2008.12.02 1610
2453 공지 '최종 이론의 꿈', 올해의 과학도서 선정! 16 문경수 2008.12.02 1779
2452 공지 별에 울고, 별에 웃다 20 임석희 2008.12.02 1794
2451 공지 [가입인사]반갑습니다. 3 최영준 2008.12.02 1440
2450 공지 반갑습니다 4 신건호 2008.12.02 1500
2449 공지 가입인사. 5 백진우 2008.12.02 1500
2448 공지 [현장스케치] 11월 서울모임 김홍섭 2008.12.02 1508
2447 공지 불이독서학교 여는 자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5 file 손경덕 2008.12.01 1670
2446 공지 지구 모습입니다. 1 이중훈 2008.12.01 1592
2445 공지 나는 꿈꾼다-화산과 동백섬 +뇌는없다2 이기두 2008.12.01 16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