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5.06 19:25

학문의 축제

조회 수 1756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새로 기르는 앵무새 날개가 가지런하지 않아

조롱에 가두어 옥루를 향해 살게 하네

.........."

 앵무새가 새로 조달 되었다.

아직 어린지라 깃털이 가지런하지않다

그런 앵무새를 금롱에 가두어 버린다.

그리고는 옥루를 향해 살게한다.

앵무새는 바로 궁녀들을 의미한다.

궁녀들의 삶이 바로 "조롱에 갇힌 앵무새와 같다"는 것이다.

자유가 없고 단지 할수 있는것은 임금에 대한 이야기 뿐이다.

뿐만 아니라, 사는 방도 지정되어 있어 대궐을 향해 살게 하는등 여자의 권리도 없고,

인격도 없고, 단지 임금에 소속된 노예라고 함이 옳다,

임금에게만 소속된 인간 아닌 인간으로 살아가는 궁녀들의 정체성에 대해 노래했다.

                                                   -허부인 난설현의 시 새로읽기중

 


천문모임이 온자당으로 옮겨온후 처음 참석하는자리

독서산방이 깊은 산속의 오두막이라면 온지당은 문명과 조금은 가까운곳에 있는 느낌?

 


사모님의 정성이 담긴 맛있는 저녁,

서로 잘 알지는못해도 같은 마음으로 모인 모르는 사람들과의 즐거운 대화,

이것이 천문모임에 자꾸 오게되는 또 다른 이유 아닐까?

 


발표가 끝나고 잠시 쉬는시간,

나는 온지당의 책을 구경하다 한권의 책을 발견했다.

"허부인 난설현, 시 새로 읽기."

 


허 난설현..참 귀에 익은 이름이다.

책을 빼내어 사람이 없는곳으로 가서 공부하다 잠가기 좋은 자세를 잡고(엎드린자세)

책 중간을 펼쳤다.

그리고 눈에 들어온 시 한줄,

앞도 뒤도 모르겠다.

그냥 눈에 들어온 이 부분이 너무 맘에 들었다.

이 시의 여인네들을 생각하면 맘이 아프고 지금의 나를 보니 얼마나 자유스러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100북스의 저 정열적인 여인네들이 과연 조선시대 궁녀로써 조롱속에 갇힌 삶을

살았다면 살 수 있었을까?

이런 생각을 하며 다시 발표를 듣기위해 자리에 앉았다.


학구열에 불타는 송나리.

 

우주로 가고싶은 석희언니,

내 앞에 앉은 이혜로,정영옥,류우정씨..

저 여인네들은 아마 참을수 없는 궁금증과 갇혀지네는 답답함에

목숨을 걸고 궁궐담을 넘지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모두가 이렇게 모인 토요일 늦은밤.

배우고 싶은 마음하나로 어느누구의 간섭도 받지않고 이곳에 모두모인그녀들

 "조롱"에 갇힌 앵무새가 아닌

자유로운 "학문의 세계" 에 갇힌 우리들.

 


온지당에서의 이 순간들...

멀리서 온 새로운 만남에 반가워하고,

벅득 벅득..버글버글 말 한다디에서 눈물나게 웃으며,

팔뚝이 예쁜 여인네의 팔뚝을 궁금해 하고,

봄이 바쁜 옥순원님의 시 낭송에 벅찬 감동을 드러내기를 주저하지 않는 우리

 


아마 우리는 핵속에 같혀 나오지 못하는 세포처럼

100북클럽에 갇여 그 즐거움에 헤어나오지 못하는 현명한 인간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본다.




                                                     
  • ?
    이상수 2008.05.06 19:25
    "자유로운 "학문의 세계" 에 갇힌 우리들"
    자유로운 학문이라면 학문에 갇힌다는 것은 결국 자유로움을 뜻할 것 같습니다.

    도올 김용옥 교수는 학문을 나비의 유충에 비유하여 말한 적이 있습니다. 중국의 현자들이 그렇게 생각했다고 하더군요. 학문을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거대한 벽을 쌓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대가들의 이론들을 답습하는 것이지요. 이것을 나비의 애벌레가 고치를 쌓는 것으로 비유합니다. 계속 이렇게 학문의 고치를 쌓아가다가 언젠가는 고치를 깨고 나와 나비가 되어 훨 훨 날아가는 거지요.
  • ?
    전지숙 2008.05.06 19:25
    나비의 유충?
    학문의 고치를 쌓아가다가 나비가 되어 나온다..
    저는 그런날이 언젤가 기다려 지네요.
    이상수님의 글은 좀 생각을 많이 하게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다른사람들의 글보다 오래읽게 되고..많이 생각하게 하는것같아 좋아요. 음..정말 도를 닦으시는건 아니죠?
    저는 언제쯤 이런 생각을 하게하는 글을 써볼까요.?
  • ?
    이부원 2008.05.06 19:25
    학문의 길은 하루 하루 쌓아가는 길이요
    도의 길은 하루하루 버려가는 길이라 했던가...
  • ?
    이부원 2008.05.06 19:25
    해와 달이 가는 길을 아는 자연과학자도
    궁극적으론 은 사람이 가야 할 길을 찾아야 ....
  • ?
    전지숙 2008.05.06 19:25
    도의..길..이라.
    나쁜 여러 마음말고 또 뭘 버려야 하는걸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4 공지 생태계 원리 응용 설계 : 자동차산업 현영석 2008.12.10 1638
2483 공지 시골의사 박경철의 W를 찾아라! 6 김주현 2008.12.10 2841
2482 공지 대덕테크노밸리 도시사진 공모전.. 참가해보세요.^^ 5 file 오창석 2008.12.10 1627
2481 공지 “에드워드 윌슨 연구모임” 제안 21 엄준호 2008.12.10 2403
2480 공지 [기사]'철학과 과학은 동반 관계다' 장회익 서울대교수 서지미 2008.12.10 1575
2479 공지 [기사]'물질과 의식의 양면성' 강연, 장회익 서울대교수 서지미 2008.12.10 1509
2478 공지 ( )면 죽는다 3 김민정 2008.12.09 1597
2477 공지 [re] 공부의 의미를 찾아준.. 어느 백북스 회원님의 '문자' 윤보미 2008.12.09 1996
2476 공지 [공지] 제155회 독서토론회 <뇌, 생각의 출현> (12/9, 화) 이정원 2008.12.09 1878
2475 공지 이런글도 괜찮나요 5 김학성 2008.12.08 1566
2474 공지 꿈에서 뇌과학 공부를 하다! 2 전이삭 2008.12.08 1678
2473 공지 반갑습니다. 그리고 2 신동찬 2008.12.08 1385
2472 공지 본성을 직시한다는 것 9 장종훈 2008.12.07 1684
2471 공지 하하하 후기 1등 ~~ 4 장종훈 2008.12.07 1717
2470 공지 동기는 계속 부여되어야 한다 4 김원기 2008.12.05 1688
2469 공지 꿈꾸는 기계의 진화 재판 결정!, 주문 받습니다. 20 문경수 2008.12.05 2409
2468 공지 쉽게 설명할 수 없다면.. 3 이중훈 2008.12.05 1709
2467 공지 [사진] 153회 백북스 정기모임 - 저자 안철수 강연 7 이정원 2008.12.05 2197
2466 공지 무신론입장에서 보면, "신" 어쩌구는,, 참 난감한 폭력같기도 합니다. 6 최종희 2008.12.04 1750
2465 공지 동아일보에 난 김억중 교수님 기사 소개 4 문경수 2008.12.04 23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