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552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시작 하기 전. <숨은 그림 찾기>

 

 

 















 

 

 

위 사진에 모두 들어가 있는 것은?        ^-^            ( 윤보미?  말고.. . )



 

 

책!

 


제목  <신라 -입문과정->  316페이지의 책.

 


이 책은 박문호 박사님께서 고향인 경주에 대해 애정을 갖고 모은 자료를 편집한 책입니다.

이 책은 입문과정으로 신라를 공부하기 위해 필요한 대부분의 자료가 집결되어 있습니다.  

 







경주로 출발하기 전 박문호 박사님께서는 함께가는 모든 회원에게 이 책을 나누어 주셨습니다.


경주로 가는 봉고차 안에서 단 10분의 쉼도 없이 이 책을 읽어가며 공부를 했지요.

 





우리는 <학습공동체>니까 !

 

 










 

경주를 보는 눈을 열어준 이 책은 여행 내내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하였습니다.

 

 



3년전에도 박사님과 100북스 회원들이 경주를 답사했었습니다.




3년전 경주답사  자료 링크   (클릭) -사진은 보이지 않지만. 그때의 분위기를 느껴보세요.

 

 






덧붙여




신라와 관련하여 박문호 박사님께서 추천하시는 책 목록

 





신라의 역사-1, 2 이종욱 (신라 초기 역사에 대한 새로운 해석/*****)


고대문명교류사-정수일(한반도 고대문화교류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는 역작/*****)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2 권-석굴암/3 권-불국사) (재미있고 자세한 내용이 많음/****)


화랑세기로 본 신라인 이야기-이종욱 (학계에 논란이 많은 책이지만 신라를 이해하는데 도움이됨/요즘 인기있는 소설 신라의 여인“미실”과도 관련이 있음/****)


   


로마문화 왕국, 신라 -요시미즈 츠네오(이런 책이 있었다니/*****)


천년의 왕국 신라-김기홍(기초자료/**)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한국 역사연구회(기초자료/*)


신라 상고사 연구-강종훈(신라사에 심도 있는 학습서/***)


한국민족의 형성과 기원1-한림과학총서(현재우리의 뿌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실크로드를 달려온 신라왕족-정형진(재미있고, 과연 그럴까 하는 의문이 생기지만 신라사를 이해하는 한 가지 시선임에 분명한 책/*****)


샤먼의 코트-안나 레이드(화랑세기의 풍습을 생각나게 하는 내용이 많음/시베리아 사먀니즘에 관한 자료가 많음/****)


문명의 실크로드-정수일(간략하면서 잘 된 책/***)


능으로 가는 길-강석경(이런 책이 있었다니/*****)


신라최초의 고승들-신종원(기초 자료/***)


   


화랑-이종욱(기초자료/***)


한국불교조각의 흐름-강우방(기초자료/***)


경주남산-신영훈(남산에 관한 책은 10 권이상 있음, 각자 취향대로 선택/***)


샤먼이야기-양종민(신라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시베리안 청동기 문화 그리고 샤먼/***)


티벳에서 온 편지-김영종(재미있음, 기마인물 토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신라금관-김병모(신라금관의 전문가/신라와 시베리아 샤먼과의 관계를 이해/*****)


살아있는 가야사 이야기-박창희(기초자료/***)


새로읽는 삼국사기-정구복 편저(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기초서적/***)


   


(3 권 만 추천 하라면-->로마문화 왕국, 신라/신라역사1,2/능으로 가는 길)









 

 

 

학습 탐사 시작!  ^-^




















 

 

4월 26일 다녀간 곳

 

 









1.  도곡 선생님댁

 

 


 






 

 


2. 무열왕릉

 

 











 

 

 


 

 

 

3. 황룡골

 


 
















 

 

 

4월 27일  다녀간 곳

 





4.  분황사 모전석탑










 

 

 

5. 황룡사지










 

 

 

 

6. 국립 경주 박물관










 

 

 

7. 천마총

 





 

 (천마총에서는 내부에서 사진촬영이 금지되어있었습니다. )

 


 천마총에서는 다량의 유리제품과 말과 관련된 유물이 발굴되었습니다.

 


 유리제품- 일본의 한 역사학자는 이 유리제품를 '로만글라스'라고 칭하며

            로마와 신라가 직접적으로 교역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라고 해석하였습니다.

 


 말과 관련된 유물- 예로부터 유목민은 말과 밀접한 관계가 있지요.

                         유목민인 흉노족, 그리고 신라. 연결고리가 조금 보이시나요? ^-^

 

 

 






8. 신라역사과학관 

 

 


 

 

 사진출처 - 신라역사과학관 홈페이지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hit1325/140041709855

 

 

9. 선덕여왕릉








 

 

 

10. 능지탑지








 

 

 

 

 

11. 나정

 










 

 

12. 박영호 선생님 댁

 

  • ?
    임석희 2008.05.06 01:13
    무식하게도 "모전석탑"의 의미를 처음 알았답니다. 하긴, 처음 알게 된 것이 이것 하나뿐이겠습니까만은....
    모(모방할때 모), 전(벽돌을 쌓는다는 뜻), 석탑(돌탑)
    즉, 벽돌을 쌓아서 만든것이 중국 양식인데, 그걸 모방해서 우리는 벽돌이 아닌 진짜 돌로 그런 모습으로 만든 것입니다. 그리하여, 모전석탑.
    이젠 안 외워도 될 것 같습니다. ^^*
    국사시간에 다 이렇게 배웠더라면, 내 머리가 암기로부터 좀 더 자유로왔을 터인데.. ^^
  • ?
    윤보미 2008.05.06 01:13
    그러게요.
    고구려, 백제, 신라에 문화에 대해 객관식 문제로 풀었던 교육과정도 그렇고...
    유물 하나 하나에 얽힌 뜻도 그렇고...

    이제와서 보니 아쉬운 구석이 너무도 많은 공부시간들.
  • ?
    윤보미 2008.05.06 01:13
    사진찍어주느라 정작 본인은 단체사진에서 한 컷씩 얼굴을 비추는 이정원 회원님 감사. ^-^

    첫날 점심과 숙박, 도곡선생님
    첫날 저녁식사, 박영호 선생님
    둘째날 아침식사, 오대산 한의원 김세환 원장님
    둘째날 점심식사, 장정민 회장님

    모두 감사감사.
  • ?
    이병록 2008.05.06 01:13
    분황사 모전석탑을 보고 조선시대 실학자인 박제가의 <북학의>가 생각났습니다. 박제가는 우리조선의 길이 좁고, 수레를 이용하지 않으며, 가난한 것이 생산보다는 물류의 문제점이 있다는 것, 농경국가 국민들이 쇠고기를 좋아하는 것 등 여러가지를 지적하였는데, 그 중 하나는 벽돌을 이용하면 튼튼하고 손쉽게 성을 쌓을 수 있는 데도 굳이 어렵게도 돌을 이용하는 것을 비판하였습니다. 벽돌을 모방하여 돌을 쌓은 분황사탑을 보니 벽돌보다 돌을 좋아했던 것이 단지 조선만이 문제가 아니라 그 역사가 훨씬 더 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 ?
    이상수 2008.05.06 01:13
    3년전 경주에 갔던 기억이 떠오르는 군요. 경주에서 언젠가 다시 한번 오리라 마음먹었던 기억이 새록 새록 떠 오릅니다. 언젠간 다시 갈 기회가 있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04 공지 <공감의 심리학>, <뇌와 창조성>,<통섭> 으로 설교를 2 박성일 2007.05.06 1936
2503 공지 [기사]번호이동성과 노마디즘 1 문경수 2004.07.22 1936
2502 공지 어느 고수(고병권 박사)와의 만남 후에 2 엄준호 2007.09.18 1935
2501 드디어 강의 후기라는 걸 올리네요~ 구진홍 2010.04.19 1934
2500 초정밀 뇌지도 1 이중훈 2010.03.14 1934
2499 백북스를 소개하는 재미 2 임재용 2009.05.31 1933
2498 공지 책 '꿈꾸는 기계의 진화' 의 독서리뷰를 받습니다. 3 김주현 2007.05.15 1933
2497 196차 강연 후기 11 김윤정 2010.08.25 1932
2496 말하기 기술 1 이중훈 2009.07.13 1932
2495 공지 문경수님의 글을 읽다가 4 전지숙 2008.06.19 1932
2494 공지 '오늘' 11 이동선 2008.05.19 1932
2493 공지 과학과 예술에 대한 어떤 대화 5 임석희 2008.05.11 1932
2492 공지 그저 맡기면 된다. 문경수 2005.08.24 1932
2491 공지 [알림] 7월 12일 화요일 73회 토론회 안내 송윤호 2005.07.11 1932
2490 요르단 사진 5: 페트라 2 현영석 2010.08.13 1931
2489 [과학강좌] 과학과 사회의 인터페이스 손경덕 2009.09.30 1931
2488 <불량직업잔혹사> 이중훈 2009.09.22 1931
2487 신영복 교수님의 강의, 마음에 깊이 남네요. 1 김민희 2009.06.10 1931
2486 ‘문학인과의 만남’ 조정권 시인 - 행사 진행 순서 김형렬 2012.10.11 1930
2485 공지 책소개: 인문학 스터디, 마크 헨리, 라티오, 2009 이중훈 2009.01.28 19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