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4.29 08:36

개두릅나무 vs 개가죽나무

조회 수 3466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나는 나무를 좋아한다.

나는 꽃을 좋아한다.

나무의 푸르름... 꽃의 어여쁨... 을 좋아한다기 보다

나무와 꽃이 가지고 있는 이름, 의미, 특색을 알아가기 좋아한다.

 

지난 주말 경주에 다녀온 남편이 오랜만에 나무에 관련된 얘기를 꺼내 놓는다.

개두릅, 개가죽나무 알아?

경주에서 어떤 나무를 보고 한 분은 개두릅나무, 또 한 분은 개가죽나무 라고 하셨단다.

바로 이 나무다.

.


 

나무나 꽃은 자고로 모습도 모습이지만 그만의 향기, 촉감을 접해야 더 정확하련만...

이 사진 한 장 가지고... 흠..

 

개두릅나무

개두릅은 엄나무 새순을 말하는 것으로(엄나무를 개두릅나무라고도 함)

엄나무는 가지에 무지막지한 가시가 나 있다.

 

개가죽나무

국어사전을 보면 개가죽나무는 가죽나무의 잘못이라고 나온다.

가죽나무라는 것이 가짜+죽나무라는 뜻으로 참죽나무의 대응되는 말이고,

그러니 가죽나무란 말 자체에 '개'라는 뜻이 들어있다 하겠다.

알고 보니 가죽나무는 못 먹고 참죽나무는 먹는단다.

내가 어렸을때 할머니가 따다 주셔서 먹었던 가죽나물은 가죽나무 잎이 아니라 참죽나무 새순이었던거다.

또하나 재밌는 사실은 참죽나무를 중잎나무라고도 부르는데,

참죽나무 잎을 중이 많이 먹는 잎이라 해서 붙여진거란다.

 

그럼 저 나무는 무엇일까?

사실 저 나무 알기엔 사진 한 장으로 턱없이 부족하다.(사실 모르겠다 --;)

그래서 따뜻한 봄날 나들이 갔다가 저런 나무를 보면 어떤 나무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해보자.

 

1. 가지 끝에 나는 새순  

- 엄나무(개두릅나무),두릅나무,참죽나무,가죽나무,옻나무 등등..

- 참죽나무 새순은 다른 나무에 비해 좀 더 갈색을 띠고 아주 독특한 향이 있음.

 

2. 줄기

- 가시  有 : 두릅나무, 개두릅나무(엄나무) 

          無 : 옻나무, 가죽나무, 참죽나무

- 색깔 : 옻나무, 가죽나무 는 회백색, 참죽나무 빤질한 고동색

 

과연 저 나무의 이름은 무엇일까..

 

 
  • ?
    임석희 2008.04.29 08:36
    영주씨와 함께였다면, 그자리에서 승부가 가려졌겠어요. ^^*
    조만간 왕성한 활동복귀를 기다립니다~
    향기와 촉감으로 가려진다는 것은 비단 식물의 경우에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듯합니다.
    영혼의 향기와 촉감으로 구별되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
  • ?
    송윤호 2008.04.29 08:36
    오래간만에 게시판에서 뵈니까 너무 좋네요 ^^
    육아에 신경쓰시느라 그런거지요? ^^
    아 ~ 조만간 식물분류연구방 사람 만나면 사진 보여주고 물어봐야겠습니다.
  • ?
    황해숙 2008.04.29 08:36
    영주씨 저가 잠시 착각 했구요 일반적으로 불리는 두릅과 참두릅 개두릅(엄나무과) 사진에본것은 참두릅이였어요 두릅과개두릅은 가시가 있고 참두릅은 가시가 없거든요 그날 사진속 주인공은 가시가 없었고 민가에 울타리로도 심어저 있는걸 보고 왔어요 영주씨 올려 줘서 고마워요
  • ?
    박용태 2008.04.29 08:36
    위의 사진은 개가죽(가죽)나무이구요 엄나무 순의 맛을 알고 난 뒤부터 두릅나물은 있어도 거들떠 보지도 않습니다. 다래순,오이나물,고추나물 지금이 한창이구요 같이 버무려서 먹으면 맛이 좋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24 책의 절판은 곧 절망? 4 김양겸 2010.11.12 1965
1723 공지 소립 회원 근황 2 문경수 2006.11.19 1966
1722 공지 [알림] 10월 9일 (화) 127회 토론회 안내 6 송윤호 2007.10.08 1966
1721 공지 CEO들 '공부 외도' 열풍/중앙일보 3 이동선 2008.06.11 1966
1720 조중걸 박사님의 저서들 3 file 강신철 2010.08.16 1966
1719 8월 시민문화강좌 (대전동방문화진흥회) file 황인칠 2010.08.14 1967
1718 공지 제비야 네가 옳다 2 양경화 2007.05.15 1968
1717 공지 대전...북카페 "이데" 4 이동선 2008.08.04 1968
1716 공지 [알림] 7월 16-17일 경주 답사 여행 신청하세요. 송윤호 2005.07.01 1969
1715 공지 [기사 스크랩] 서울대 도서관 대출 톱10 모두 소설ㆍ에세이 1 문경수 2008.06.18 1969
1714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4. 1 file 서지미 2010.02.11 1969
1713 강신주님의 철학얘기 - 다음을 기대하게 만드네요.. 1 조명주 2010.05.03 1969
1712 [대학교과서 읽기 모임 5회] 인체 생리학 (부산/영남) 정광모 2011.08.16 1969
1711 공지 홀로 등반 6 한현철 2007.04.16 1970
1710 공지 신희섭 박사님 뇌강연---전자통신연구원 대강당--- 박문호 2007.06.08 1970
1709 공지 6월 10일 강연 문태준 시인과의 만남 그 후기 4 최정원 2008.06.12 1970
1708 [행사후기] Yuri's Night Korea 2013 1 조수윤 2013.04.09 1970
1707 공지 오늘 토론회가 열립니다. ^^ 송윤호 2004.12.14 1971
1706 1 이 때는 우주년의 여름과 가을이 바뀌는 가을개벽기 5 전영만 2009.08.22 1971
1705 [소개] 6/15 조지 스무트 박사님의 대전 강연 6 임석희 2009.06.14 19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