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46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위키피디아 사용 해보셨습니까?

사이트 홍보 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용과 취지가 좋아서 선택하고 몇 글자 적습니다.

 

 

한국어 위키피디아는 안통한다?


 


인터넷 강국으로 불리는 한국이지만, 위키피디아는 한국에서 고전하는 모습이 뚜렷하다.


 


한국어 위키피디아(ko.wikipedia.org)는 ‘위키백과’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23일 현재 5만9857개의 표제어만 담고 있고, 사이트 등록자는 3만2600명에 불과하다. 영어판의 각각 40분의 1과 190분의 1에 불과하다. 일본어판에 비해서도 크게 뒤진다. 일본어 표제어 수는 48만 5000개로 독일어(73만8000개), 프랑스어(64만8000개)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지미 웨일스도 한국에서 위키피디아가 고전하는 상황을 자세히 알고 있고,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었다.

 

-한국에서 위키피디아가 널리 확산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매우 흥미로운 질문입니다. 우리도 많은 논의를 해봤습니다. 첫 번째는 이미 인터넷 사용에 익숙해진 한국인들은 이제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로 많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위키피디아는 웹사이트 기반이어서 휴대폰에 적용시키기가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또 한가지 이유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웹사이트가 있기 때문입니다.”

 

-네이버의 지식검색 말씀인가요?

 

“맞습니다.”

 

기자가 지식검색은 정보의 부정확성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고 하자, 그는 고개를 끄덕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앞서 인터넷이 확산됐기 때문에 위키피디아 모델이 소개돼도 그다지 열광적인 반응이 없었다고 봅니다.

 

반면 다른 나라의 경우 위키피디아가 소개됐을 때는 대부분 인터넷 사용 초기였고, 그래서 반응도 뜨거웠죠. 한 두 명이 위키피디아에 열광하면 바로 10명의 열광자를 만들고 이들은 또 100명의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식의 확산 과정을 거쳤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도 사용자 수가 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인터넷 인구가 많기로 유명한 한국에서도 반드시 위키피디아 이용을 늘릴 겁니다.“

 

그런데, 한국에서 위키피디아가 부진한 다른 이유로는 전문직 종사자들이 지식의 기부 활동에 소극적이고, 사회 전반의 전문화 수준이 낮으며, 협업 문화가 성숙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샌프란시스코= 호경업 산업부 기자 hok@chosun.com

 

 

 

위키피디아는 본래의 취지가 참 맘에 든다. 협업과 공유. 그리고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개방성. 앞으로 우리가 추구해야할 공동체의 모습이라고 생각된다.

 

반대로 위키피디아와 다른 형태의(별도의 전문가들이 편집을 담당하고 맡아서 운영되던) 백과사전 사이트는 그 종적을 감춘 사례도 있다.

 

개방해야 살아남는다. 끊임없이 수용하고 수정하고 받아들이고 발전하는 것이 살아남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런 사례와 더불어 100권 독서클럽도 협업과 공유, 그리고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개방성이 참 반갑게 와 닿는다. 또 많은 사람들에게 더 개방이 될수록 더욱 더 많은 사람이 참여를 할 것이고 발전이 가속될 될 것이라 생각하니 무척이나 기대된다.

 

2008년 4월 26일 문경목

 

  • ?
    김지원 2008.04.27 01:19
    네이버가 확실히 전문성이 떨어지긴 하지만, 정확한 전문지식을 간곡히 원하지 않고서야 대부분 다 무난하게 해결해주기 때문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닌가 합니다. 까페 블로그까지 수많은 자료들이 있으니 위키가 들어오기가 힘든 게 당연하네요.
    ....컴퓨터를 유난히 관심 많았던 제 지인은 위키 라는 이름 자체부터 좋아하긴 하던데.^^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24 공지 박문호 박사님 <뇌, 생각의 출현> 북 포럼회 스케치!!! 1 김창규 2008.12.24 1373
2523 공지 [공지] 12/23 (화) 백북스 정기모임 및 송년회 오늘입니다 이정원 2008.12.23 1524
2522 공지 한국경제 올해의 책 20選에 <뇌 , 생각의 출현> 1 문경목 2008.12.23 1658
2521 공지 쪽지가 도착했습니다~ 2 육형빈 2008.12.23 1653
2520 공지 첫 인문학 학습 모임 후기 정광모 2008.12.22 1554
2519 공지 실명인증 송송이 2008.12.22 1647
2518 공지 과학사 서적 추천 5 신효섭 2008.12.21 3092
2517 공지 성탄제 4 김학성 2008.12.21 1621
2516 공지 [가입인사] 100 Books Club? 김종성 2008.12.21 1439
2515 공지 오른쪽 '현재 동시 접속자'에서... 3 육형빈 2008.12.20 1656
2514 공지 [중앙일보] 뇌, 생각의 출현 "2008년 올해의 책" 문경수 2008.12.20 1691
2513 공지 가입 인사 드립니다. 3 임병곤 2008.12.20 1578
2512 [re] <뇌, 생각의 출현> 올해의 책 투표 1 file 김세영 2008.12.20 1501
2511 공지 복잡계 관련 책들 소개 1 장종훈 2008.12.20 1633
2510 공지 인사드립니다 2 박경 2008.12.19 1523
2509 <뇌, 생각의 출현> 올해의 책 투표 18 이정원 2008.12.18 1824
2508 공지 회사 메일 안에.... 2 윤현식 2008.12.18 1789
2507 공지 [사진] <뇌, 생각의 출현> 북포럼 4 이정원 2008.12.18 1745
2506 공지 [제 155 정기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뇌 생각의 출현-박문호 박사님 9 윤진희 2008.12.18 2048
2505 공지 이상적인 인간 임성혁 2008.12.17 16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