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453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돈 많이 벌수록 행복 더 느낀다"


 


美서 연구 결과 발표…"소득만이 절대기준 될 수 없어" 반박도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미 펜실베이니아대 워튼스쿨의 경제학 교수인 벳시 스티븐슨(Stevenson)과 저스틴 울퍼스(Wolfers)가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그렇다(Yes)"이다.



 


이들은 세계 각국에서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해 '돈 많은 나라 국민들이 더 행복하고, 그 중에서도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일수록 더 행복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6일 보도했다. 기존의 통념은 남태평양의 섬나라 바누아투, 히말라야의 소국(小國) 부탄 같은 나라들이 각종 행복지수 조사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데서 나타나듯이 "기본적 생활만 충족되면 행복은 소득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들은 각국의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과 '삶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미국·노르웨이·뉴질랜드 등 소득 수준이 높은 나라의 국민들은 삶에 대한 만족도도 대체로 높았다. 반면 아프가니스탄·에티오피아 등 가난한 나라는 국민들의 만족도도 낮았다.



 


이들은 또 "한 나라 안에서도 돈 많은 사람이 더 행복하다"고 주장했다. 한 예로 미국의 경우 한 해 가구 소득이 25만 달러(약 2억5000만원)를 넘는 사람의 90%가 자신의 삶에 매우 만족해 했지만 연소득 3만달러(약 3000만원)가 안 되는 사람 중에선 42% 만이 만족했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사회과학의 고전이 된 '이스털린의 역설(Easterlin paradox)'에 대한 정면 도전이다. 1974년 당시 펜실베이니아대 경제학 교수였던 리처드 이스털린은 2차 대전 후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룬 일본에서 삶에 대한 만족도는 더 낮아졌다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 성장만으로 국민이 더 행복해지지는 않는다"는 '이스털린의 역설'을 제창했다. 행복은 상대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 핵심인 '이스털린의 역설'은 이후 '인간의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이라는 근거로 많이 쓰였다.



 


현재 서던 캘리포니아대 교수인 이스털린은 NYT 인터뷰에서 "부자 나라 국민이 더 만족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는 것은 소득 외에 문화 차이, 의료 개선 등 여러 조건이 반영된 결과"라며 "장기간에 걸친 꾸준한 경제 성장에도 같은 기간 국민의 행복 수준은 그리 나아지지 않은 미국과 중국 등의 사례로 볼 때 소득만이 행복의 절대 기준은 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태훈 기자 libra@chosun.com


 


 


"돈 많이 벌 수록 행복 더 느낀다" 기사를 읽고


 


놀라운 연구 결과다. 그 동안 돈이 행복과 상관이 없다고 알고 있었는데 돈이 행복과 상관이 있다니.



 


현재 우리 사회는 돈에 관련된 문제들이 여기저기 생기고 있다. 이런 문제들이 행복과 연관된 이유에서 일까? 아니면 전혀 상관 없는 일일까?



 


강도나 도둑, 사기 등의 사회적 범죄를 보면 돈과 연관된 사건들이 많다. 단지 범죄자 그 사람만의 성격만이 문제가 있다고 볼 수도 없다는 것이다. 과연 돈 때문에 행복이라는 것에 차질이 생겨 불행이라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닐까?



 


아직 단정적으로 판가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 동안 우리가 특별한 근거도 없이 돈없어도 행복하다 라는 한쪽에서 보는 시각을 벗어나야 한다고 생각한다.

 


2008년 4월 20일 문경목

  • ?
    송윤호 2008.04.20 21:52
    이석봉 대표님께서 좋은 책들을 추천해 주셨군요.
    무엇이든 한 쪽에서만 보면 실체를 보기 힘든 법이겠지요.
    항상 상하좌우 모든 방향에서 문제를 보는 노력을 함께 합시다. 경목군 ^^
  • ?
    국성호 2008.04.20 21:52
    이 개념은 이미 맑스의 자본론에서 전제조건이였던거 같네요^
    우선 맑스의 기본사상은 철학적으로 유물론을 정립하고 경제학적으로 자본주의를 분석한 뒤 해방을 현실화 하기 위한 혁명론 입니다~
    인간은 정신과 신체 두 측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더 인간적인 측면은 정신이지만 더 기본적인 측면은 물론 신체라고 볼 수 있겠죠,, 즉 생물학적으로 생존해야만 더 높은 차원의 사회적인 인간으로서 존재할 수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 바로 이 점을 전제로 해서 맑스는 진정한 상부구조(문화, 정신, 인간주의)의 실현을 위해 경제적 토대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토대에서 물질적 생산력이 고양되면 사회주의는 필연적으로 된다는 것이 맑스의 모토랍니다.
    인간이 아무리 정신적인존재로서 존엄성 어쩌구 해도 인간 그 이전에 동물임을 철저히 인정해야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44 공지 4/4 임재춘 교수님 강연 <글의 구조와 원리> 청강 기회 2 이정원 2008.04.01 1510
943 공지 타인에게 말걸기 5 윤보미 2008.02.22 1510
942 공지 옥수 4 문경목 2007.12.06 1510
941 백북스 빌리지를 생각하며.... 1 김홍주 2013.02.14 1509
940 공지 가입인사 드립니다. 4 박종훈 2009.01.21 1509
939 공지 [퍼옴]모두에게 과학정신이 요구된다 - 독서가 가장 현실적인 대안 임석희 2008.12.31 1509
938 공지 [기사]'물질과 의식의 양면성' 강연, 장회익 서울대교수 서지미 2008.12.10 1509
937 공지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5 배명혜 2008.10.31 1509
936 공지 박목월-'영원永遠' 탐구의 시학(1)-그는 누구인가? 4 전재영 2008.04.14 1509
935 [번개] 7/18 (수) 대전예술의 전당에서... 임석희 2012.07.18 1508
934 회원 스스로의 자정노력 우성범 2011.05.22 1508
933 공지 [현장스케치] 11월 서울모임 김홍섭 2008.12.02 1508
932 공지 [8월 2일] 산행스케치 5 윤보미 2008.08.04 1508
931 공지 한국최초우주인 이소연씨 100권독서클럽 뒤풀이 참여 사진 4 문경목 2008.04.11 1508
930 공지 가입인사 드려요..^^ 4 오창석 2008.11.17 1507
929 공지 공부방게시판에 소모임 게시판을 추가했습니다. 1 김영이 2009.01.14 1506
928 공지 이름을 불러주고 싶은 4月 9 윤보미 2008.04.28 1506
927 공지 나도 제대로 된 그런 송년회를 즐겨보고 싶다... 7 임석희 2007.12.29 1506
926 공지 다시 맞이하는 송구영신 7 임석희 2007.12.18 1506
925 공지 호주를 탐사하는 다섯 전사들에게 詩를 보냄 2 박성일 2007.09.08 15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