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4.15 22:42

과꽃-김영태, 벽제-이성복

조회 수 1842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꽃 / 김영태


  
 


          과꽃이 무슨


          기억처럼 피어 있지

 


          누구나 기억처럼 세상에


          왔다가 가지


          조금 울다가 가버리지

 


          옛날같이 언제나 옛날에는


          빈 하늘 한 장이 높이 걸려 있었지


 








             벽제/이성복





벽제. 목욕탕과 공장工場 굴뚝. 시외버스 정류장 앞, 중학생과 아이 업은 여자.


벽제. 가보진 않았지만 훤히 아는 곳. 우리 아버지 하루종일 사무를 보는 곳.


 


벽제, 외무부에 다니던 내 친구 일찌기 죽어 그곳에 갔을 때 다른 친구 하나는


화장장 사무장事務長. 모두 깜짝 놀랐더라는 뒷얘기.


 


내가 첫 휴가 나왔을 때 학교에서


만난 그 녀석, 몰라보게 키가 크고 살이 붙어 물어봤더니 <글쎄, 몸이 자꾸


좋아지는구나>하던 그 녀석. 무던히 꼿꼿해 시험 보면 면접面接에서 떨어지곤 하던


녀석. 큰누님은 시집가고 어린 동생들, 흔들리던 살림에도 공부 잘하다가


腎臟炎. 그날, 비 오던 날 친구들 모여 한줌 한줌 뼈를 뿌릴 때 <진달래꽃 옆에


뿌려주면 좋아하지 않을까> 친구들, 흙이 되기 전에 또 비 맞는 그 녀석 생각하고,


울음 소리…… 벽제.


 


오늘 아침 우리집 집수리 하는 사내, 우리 아버지 벽제 피혁공장皮革工場에


다니신다니까 <벽제가 우리 고향이에요. 아저씨한테 잘 말씀드려 우리 아이 취직 좀


시켜주세요. 가죽 공장은 힘든다던데……> 그리운 고향 벽제.


 


너무 가까우면 생각도 안 나는 고향.


 


음식점과 잡화점, 자전거포 간판이 낡은 나라. 무꽃이 노랗게


텃밭에 자라나고 비닐 봉지 날으는 길로 개울음 소리 들려오는.


 


벽제. 이별하기 어려우면 가보지 말아야 할, 벽제. 끊어진 다리.

 

 

  • ?
    전지숙 2008.04.15 22:42
    과꽃..
    올해도 과꽃이...하는 노래가 생각이 납니다.
    당신의 사랑이 걱정이다..란 꽃말처럼
    한잎한잎 꽃잎을 떼어내면서 상대방의 사랑이 더 컸으면 하는 바램을 담은 꽃이라 그런걸까요?
  • ?
    류우정 2008.04.15 22:42
    삼촌을 생각했다. 동해 대진 방파제에 뿌려진 삼촌을 생각했다.
    어제 <프로젝트 써!> 모임. 중간 쉬는 사이 박문호 박사님의 시 이야기가 시작됐다.
    백북스 홈페이지에 올리신 과꽃/김영태 와 벽제/이성복 으로 물꼬를 트셨다.

    나는 오후의 기억을 되짚어 본다.
    연소배가스동 실험실에서 나와 연구 1동으로 가는 길.
    나는 삼촌을 생각했다.

    밤샘으로 무뎌진 내가 시간 간격의 오류를 범하지는 않았을까...
    모임이 끝나 기숙사 방으로 돌아오자마자 컴퓨터를 켜고 홈페이지에 접속했다.

    오후의 기억
    과꽃과 벽제를 만나고
    길에서 삼촌을 생각했다. 가족을 생각했다. 나를 생각했다. 그 다음을 그려봤다.
    천문우주 모임에서 양자역학 수업을 듣고 존재가 왜 존재하느냐에 대해 어렴풋이 알게 되면서
    길에서 존재의 부재를 떠올렸다.
    존재는 우주로 돌아갈 것이고, 기억으로 이어지다 소멸되는 것일거란 생각을 했다.

    오후의 기억은
    박사님의 시 이야기 내내 나와 함께 했다.
    시를 잘못 이해하지는 않았구나 라고 생각했다.
    -
    처음으로 임종을 지켜본 분이 삼촌이기에 이럴땐 삼촌을 떠올립니다. 어제 박사님의 이야기가 이어지는 내내 내 느낌을 말할까말까 망설였고 오늘은 댓글을 달까말까 망설였습니다. 백북스에서는 누구 하나의 이야기도 놓칠 수가 없습니다. 듣다보면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져 말없는 수다쟁이가 되곤 합니다.
  • ?
    이정원 2008.04.15 22:42
    류우정 회원이 모임 때 말로 안 하고 글로 표현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프로젝트 써> 모임에서 박문호 박사님의 '시 감상론'을 듣는 내내 즐거웠습니다.
    다시 한 번 새로운 문고리를 잡은 느낌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84 공지 CEO들 '공부 외도' 열풍/중앙일보 3 이동선 2008.06.11 1966
2583 공지 [알림] 10월 9일 (화) 127회 토론회 안내 6 송윤호 2007.10.08 1966
2582 공지 소립 회원 근황 2 문경수 2006.11.19 1966
2581 책의 절판은 곧 절망? 4 김양겸 2010.11.12 1965
2580 요르단 사진 1: 암만 3 현영석 2010.08.13 1965
2579 공지 박경철님이 이야기하는 조중걸님.. 4 김세영 2009.01.19 1965
2578 공지 '자유의지'라는 환상 1 엄준호 2009.01.06 1964
2577 5.14(금)이미지메이킹과인간경영 C.R.C오픈세미나에 초대합니다 김기욱 2010.05.11 1963
2576 공지 독서대학 설립의 꿈 8 강신철 2008.01.07 1963
2575 공지 운영자 모든 분 감사합니다... 차인환 2005.11.16 1963
2574 공지 독서토론(뮤지킹)에서 다뤘던 내용 관련 기사... 서윤경 2005.02.17 1963
2573 공지 서울시내 대학교 100북스 홍보 8 김홍섭 2008.07.30 1962
2572 '중년의 뇌' 책 잘 받았습니다 37 현영석 2011.03.31 1961
2571 제3회 백북스 뇌.인지과학 심포지엄 현장스케치(사진) 신양수 2011.03.08 1961
2570 "책장 넘어가는게 아깝더군요" 시골의사 박경철님 멘트 1 현영석 2010.10.23 1961
2569 100books 트윗모임 개설했습니다. 강신철 2010.08.16 1961
2568 백북스의 본질은 무엇입니까 4 박용태 2011.05.15 1960
2567 공지 좋은 책 추천 좀 해주세요. 10 송송이 2009.03.05 1960
2566 공지 [기사] 판타지, 일본소설, 만화... 대학생 독서편식 8 윤보미 2009.02.14 1960
2565 공지 (주)온누리한글예슬 창업 설명회-충남대 정원수 교수 3 file 이동선 2008.01.23 19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