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억중 건축학과 교수님의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강연을 듣고.





‘집을 만드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집은 어떨까?’ 라는 누구나 하게 될 궁금증을 어떻게 아셨는지 교수님의 집 소개로 강연은 시작되었다. 단무지 공장을 개조해서 만들었다는 그 집엔 교수님께서 말씀한 갈등의 치유 공간, 본인에게 힘을 주는 정적인 공간 그리고 그 공간이 주는 힘이 있었다.





사실 어릴 적 집에 대한 나의 생각은 그랬다. 굳이 집이 있을 필요가 있을까. 캠핑카를 몰고 다니며 별을 보면서 유랑하리라. 그러다 초신성이라도 발견하면 훗날 이름은 남기겠지. 웃기지도 않은 방랑 생활을 꿈꿨었다. 조금은 성장(?)을 하고 정착 생활로 돌아오면서 꿈꾸던 나의 집은 이층 천장이 유리로 되어 있어 밤새 별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집이었다. 그래서 건축학과를 갈거라는 친구들을 볼 때마다 내 집을 지어달라고 했었다. 항상 자랑스러운 듯 말했던 미래의 내 집은 누군가로부터의 '청소는 어떻게 할 거냐'는 둥 '비가 오면 어떻게 할 거냐'는 둥의 현실적인 참견에 점차 잊혀져 갔었다. 돔이라도 있으면 어떨까?! 너무 어린 시절 이야기다.


 


지금 나를 기쁘게 하는 공간은? 최근 내가 살고 싶다고 느꼈던 집...


정발산. 그 동네는 오스트리아 여행 중에 느꼈던 그 느낌 그대로가 밀려오던 곳이었다. 자전거를 타고 산책하고 싶은 길도 있었고 앞마당 정원에 물을 뿌려주면서 놀러온 친구들을 맞이하게 되는 나의 모습도 저절로 그려졌다. 이 방 저 방에서 각자의 취향대로 놀기에 바쁜 친구들을 위해, 한쪽에선 파이를 굽고 다른 한쪽에선 얼큰한 찌개를 끓이는 나는 참 행복할거 같다.



 



집이 어렵다고 말하는 건축가.


집에 대한 교수님의 철학이 보였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창문으로 보이는 가족의 모습을 그린 시구를 보고서 창문을 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어찌 했을까. 단지 빛이 잘 드는 창문이 아니라 나를 기다리는 가족의 마음이 전달되는 창문을 어떻게 만들까를 생각하는 그 마음이란. 강의 내내 살짝 짓는 교수님의 미소와 더불어 교수님의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따뜻함에 나도 살포시 웃을 수 있었다.



 



드디어(?) 100BooksClub 독서 토론에 처음 가고선 늦은 후기 올립니다. 100BooksClub 모임에 갈 때마다 매번 머릿속이 풍성해 지는 느낌입니다.


집 이야기를 쓰다보니 문득 박문호 박사님의 집이 떠오르네요. 처음 가던 날, 문은 열려있었고 사람들은 각자 책을 보고 글을 짓고 있었죠. 맛있는 음식이 나오자 한 곳에 모여 밤 12시가 넘도록 함께 할 수 있던 집이었습니다. 


다음 토론 모임의 현대음악사도 기대됩니다. 음악에 대한 책도 읽고 그 이야기를 나누고서 17일 백건우 선생님의 공연을 보러 가면 딱~! 일 것 같습니다. ^^

  • ?
    이정원 2008.03.31 21:22
    저는 교수님 눈빛에서 모든 걸 느꼈습니다. 집에 대한 애정과 열정!
  • ?
    임석희 2008.03.31 21:22
    흠... 그 눈 빛!! 상상이 되면서도 동시에 궁금합니다. 직접 뵙지 못한 이 아쉬움~!!!
  • ?
    송윤호 2008.03.31 21:22
    자원봉사가 아닌 본격적인 클럽 회원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셨군요 ^^
    좋은 후기 고마워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24 공지 3945번 글은 삭제되었습니다. 관리자 2009.03.07 1692
1623 공지 전 바본가 봅니다.ㅡㅡ;; 3 김성엽 2009.02.25 1692
1622 '과학과 사람들'의 팟캐스트 공개 강연 -『할리우드 사이언스』 저자 강연 송치민 2014.02.12 1691
1621 [몸학 강좌] 새로운 몸삶 이론 (9월29일 개강) 미선 2013.09.16 1691
1620 홧팅... 1 김세환 2009.06.15 1691
1619 공지 [중앙일보] 뇌, 생각의 출현 "2008년 올해의 책" 문경수 2008.12.20 1691
1618 공지 비둘기 관찰 1 2 이병록 2008.06.14 1691
1617 공지 어느 시인과의 만남(118회 토론회 후) 3 엄준호 2007.05.23 1691
1616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저자 임승수입니다. 한겨레교육 분당센터에서 11월부터 <자본론> 강의합니다. 임승수 2011.10.22 1690
1615 공지 [공지]152회 독서토론회 안내(10월28일) 1 김홍섭 2008.10.28 1690
1614 공지 뇌와 생각의 출현을 공부하며 5 박민경 2009.01.05 1690
1613 공지 [11.16.운영회의] 백북스. 도약을 위한 준비. 4 윤보미 2008.11.17 1690
1612 공지 당직을 서던 새벽에 읽은 책! 8 윤현식 2008.09.21 1690
1611 공지 [여행] 16. 로마 2 : 고대 로마 제국의 심장 (완결) 11 이정원 2008.02.07 1689
1610 가입인사 4 홍종연 2009.03.31 1689
1609 공지 [기사]"필기 꼭 하고, 의문을 많이 가져라"...창의성관련 3 서지미 2009.01.23 1689
1608 공지 [탐방후기] Wow Book Festival 에 무엇이 있었나 6 윤보미 2008.09.30 1689
1607 공지 사진으로 보는 몽골 탐사여행기(6월28일) 3 박상준 2008.07.15 1689
1606 공지 [사진] 백북스 최연소회원 이주헌입니다. 9 이정원 2008.03.01 1689
1605 공지 도의 길은 하루하루 없애가는 것 3 강신철 2008.01.01 16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