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억중 건축학과 교수님의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강연을 듣고.





‘집을 만드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집은 어떨까?’ 라는 누구나 하게 될 궁금증을 어떻게 아셨는지 교수님의 집 소개로 강연은 시작되었다. 단무지 공장을 개조해서 만들었다는 그 집엔 교수님께서 말씀한 갈등의 치유 공간, 본인에게 힘을 주는 정적인 공간 그리고 그 공간이 주는 힘이 있었다.





사실 어릴 적 집에 대한 나의 생각은 그랬다. 굳이 집이 있을 필요가 있을까. 캠핑카를 몰고 다니며 별을 보면서 유랑하리라. 그러다 초신성이라도 발견하면 훗날 이름은 남기겠지. 웃기지도 않은 방랑 생활을 꿈꿨었다. 조금은 성장(?)을 하고 정착 생활로 돌아오면서 꿈꾸던 나의 집은 이층 천장이 유리로 되어 있어 밤새 별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집이었다. 그래서 건축학과를 갈거라는 친구들을 볼 때마다 내 집을 지어달라고 했었다. 항상 자랑스러운 듯 말했던 미래의 내 집은 누군가로부터의 '청소는 어떻게 할 거냐'는 둥 '비가 오면 어떻게 할 거냐'는 둥의 현실적인 참견에 점차 잊혀져 갔었다. 돔이라도 있으면 어떨까?! 너무 어린 시절 이야기다.


 


지금 나를 기쁘게 하는 공간은? 최근 내가 살고 싶다고 느꼈던 집...


정발산. 그 동네는 오스트리아 여행 중에 느꼈던 그 느낌 그대로가 밀려오던 곳이었다. 자전거를 타고 산책하고 싶은 길도 있었고 앞마당 정원에 물을 뿌려주면서 놀러온 친구들을 맞이하게 되는 나의 모습도 저절로 그려졌다. 이 방 저 방에서 각자의 취향대로 놀기에 바쁜 친구들을 위해, 한쪽에선 파이를 굽고 다른 한쪽에선 얼큰한 찌개를 끓이는 나는 참 행복할거 같다.



 



집이 어렵다고 말하는 건축가.


집에 대한 교수님의 철학이 보였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창문으로 보이는 가족의 모습을 그린 시구를 보고서 창문을 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어찌 했을까. 단지 빛이 잘 드는 창문이 아니라 나를 기다리는 가족의 마음이 전달되는 창문을 어떻게 만들까를 생각하는 그 마음이란. 강의 내내 살짝 짓는 교수님의 미소와 더불어 교수님의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따뜻함에 나도 살포시 웃을 수 있었다.



 



드디어(?) 100BooksClub 독서 토론에 처음 가고선 늦은 후기 올립니다. 100BooksClub 모임에 갈 때마다 매번 머릿속이 풍성해 지는 느낌입니다.


집 이야기를 쓰다보니 문득 박문호 박사님의 집이 떠오르네요. 처음 가던 날, 문은 열려있었고 사람들은 각자 책을 보고 글을 짓고 있었죠. 맛있는 음식이 나오자 한 곳에 모여 밤 12시가 넘도록 함께 할 수 있던 집이었습니다. 


다음 토론 모임의 현대음악사도 기대됩니다. 음악에 대한 책도 읽고 그 이야기를 나누고서 17일 백건우 선생님의 공연을 보러 가면 딱~! 일 것 같습니다. ^^

  • ?
    이정원 2008.03.31 21:22
    저는 교수님 눈빛에서 모든 걸 느꼈습니다. 집에 대한 애정과 열정!
  • ?
    임석희 2008.03.31 21:22
    흠... 그 눈 빛!! 상상이 되면서도 동시에 궁금합니다. 직접 뵙지 못한 이 아쉬움~!!!
  • ?
    송윤호 2008.03.31 21:22
    자원봉사가 아닌 본격적인 클럽 회원으로서의 활동을 시작하셨군요 ^^
    좋은 후기 고마워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4 자랑스런 과학자 표태수박사 소개(2)...동아일보(2005년기사) 서지미 2009.11.06 1784
1043 [학습마라톤] 사진신청하신분(필독) 1 임석희 2009.11.07 1760
1042 [학습마라톤] 다시보는 서호주사진전 _인기상 모음 임석희 2009.11.07 1764
1041 [학습마라톤] 사진/셔츠판매 수익금 관련 임석희 2009.11.07 1731
1040 온지당에 다녀왔습니다 5 함보현 2009.11.08 1788
1039 짧은 시간동안 느낀 오늘의 후기 3 양초순 2009.11.08 1735
1038 저도 뇌과학 모임 후기^^ 2 한정규 2009.11.08 1834
1037 묵점 기세춘 선생은 어떤 분인가? 2 강신철 2009.11.09 2090
1036 백북스 177회 정기모임 안내(11월 10일 19시) 김홍섭 2009.11.09 1835
1035 책으로 울린 "골든벨" 3 임석희 2009.11.09 1985
1034 학습마라톤 현장사진 2 file 최정윤 2009.11.11 2040
1033 제19회 희망의인문강좌 - 홍기빈과 함께 읽는 폴라니 2 손주영 2009.11.12 1918
1032 발표 예정자 박문호 2009.11.13 2073
1031 건강. 2(독소의 습격 해독 혁명 ) 이중훈 2009.11.13 2128
1030 영어 동화책 읽히면 이런 효과가 2 이중훈 2009.11.16 2139
1029 [오마이뉴스-휴머니스트 공동 특별강좌]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김창규 2009.11.17 2116
1028 왜 인간인가 - 인류가 밝혀낸 인간에 대한 모든 착각과 진실 한정규 2009.11.17 2181
1027 김명남님 글 4 이중훈 2009.11.18 2038
1026 꽃에게 4 양초순 2009.11.19 2018
1025 이정모 교수님의 "뇌과학의 함정과 인지과학(?)" 강연 안내 7 김미선 2009.11.19 2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