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집이 어렵다고 말하는 건축가와 함께한 독서토론모임 후기(3월25일)

by 이해선 posted Mar 31, 2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억중 건축학과 교수님의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강연을 듣고.





‘집을 만드는 직업을 가진 사람의 집은 어떨까?’ 라는 누구나 하게 될 궁금증을 어떻게 아셨는지 교수님의 집 소개로 강연은 시작되었다. 단무지 공장을 개조해서 만들었다는 그 집엔 교수님께서 말씀한 갈등의 치유 공간, 본인에게 힘을 주는 정적인 공간 그리고 그 공간이 주는 힘이 있었다.





사실 어릴 적 집에 대한 나의 생각은 그랬다. 굳이 집이 있을 필요가 있을까. 캠핑카를 몰고 다니며 별을 보면서 유랑하리라. 그러다 초신성이라도 발견하면 훗날 이름은 남기겠지. 웃기지도 않은 방랑 생활을 꿈꿨었다. 조금은 성장(?)을 하고 정착 생활로 돌아오면서 꿈꾸던 나의 집은 이층 천장이 유리로 되어 있어 밤새 별을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집이었다. 그래서 건축학과를 갈거라는 친구들을 볼 때마다 내 집을 지어달라고 했었다. 항상 자랑스러운 듯 말했던 미래의 내 집은 누군가로부터의 '청소는 어떻게 할 거냐'는 둥 '비가 오면 어떻게 할 거냐'는 둥의 현실적인 참견에 점차 잊혀져 갔었다. 돔이라도 있으면 어떨까?! 너무 어린 시절 이야기다.


 


지금 나를 기쁘게 하는 공간은? 최근 내가 살고 싶다고 느꼈던 집...


정발산. 그 동네는 오스트리아 여행 중에 느꼈던 그 느낌 그대로가 밀려오던 곳이었다. 자전거를 타고 산책하고 싶은 길도 있었고 앞마당 정원에 물을 뿌려주면서 놀러온 친구들을 맞이하게 되는 나의 모습도 저절로 그려졌다. 이 방 저 방에서 각자의 취향대로 놀기에 바쁜 친구들을 위해, 한쪽에선 파이를 굽고 다른 한쪽에선 얼큰한 찌개를 끓이는 나는 참 행복할거 같다.



 



집이 어렵다고 말하는 건축가.


집에 대한 교수님의 철학이 보였다. 더 이상 무슨 말이 필요하겠는가.


창문으로 보이는 가족의 모습을 그린 시구를 보고서 창문을 잘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어찌 했을까. 단지 빛이 잘 드는 창문이 아니라 나를 기다리는 가족의 마음이 전달되는 창문을 어떻게 만들까를 생각하는 그 마음이란. 강의 내내 살짝 짓는 교수님의 미소와 더불어 교수님의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따뜻함에 나도 살포시 웃을 수 있었다.



 



드디어(?) 100BooksClub 독서 토론에 처음 가고선 늦은 후기 올립니다. 100BooksClub 모임에 갈 때마다 매번 머릿속이 풍성해 지는 느낌입니다.


집 이야기를 쓰다보니 문득 박문호 박사님의 집이 떠오르네요. 처음 가던 날, 문은 열려있었고 사람들은 각자 책을 보고 글을 짓고 있었죠. 맛있는 음식이 나오자 한 곳에 모여 밤 12시가 넘도록 함께 할 수 있던 집이었습니다. 


다음 토론 모임의 현대음악사도 기대됩니다. 음악에 대한 책도 읽고 그 이야기를 나누고서 17일 백건우 선생님의 공연을 보러 가면 딱~! 일 것 같습니다. ^^

Prev 몸의 철학 몸의 철학 2008.03.31by 박문호 [공지] 4월 1일 (화) 프로젝트 써! 모임 공지 Next [공지] 4월 1일 (화) 프로젝트 써! 모임 공지 2008.03.31by 이정원

Articles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