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485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드디어 독서클럽 첫 출정이다!

김억중 교수님의 저서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를 주제로 약 한 시간 반동안 진행된 저자 강연.

공간에 대하여, 건축에 대하여, 그 안의 삶에 대한 교수님의 진중한 말씀을 들으며

나는 문득 나의 집에 대해 생각한다.


두 달전 지금의 아파트로 이사온 이후 나는 바깥 날씨를 가늠할 수 없는 이 이상한 구조에 알 수 없는 몸의 변화를 체험하곤 한다. 커튼이 드리워진 내 방을 나가 현관문을 나서면, 생각지도 못했던 날씨 탓에 놀라곤 했고 달갑지 않은 감기도 철썩 몸에 붙더니 떨어지지 않는다.

어제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며 그것은 비단 나만의 느낌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자라온 집은 창문을 열면 바로 앞마당이 있었고

바람 부는 날이면 빨랫줄에 흔들리는 옷들이 보였다.

비가 오면 빗방울이 튀기며 내는 리듬이 들렸고

흙이 풍기는 계절의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

 

그런 집에서 스무해가 넘게 살다 보니 내 몸은 자연스레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고,

자연의 변화가 필요한 상태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가족들이 떠난 큰 집에서 여자 혼자 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고 결국 나는 짐을 챙겨 좁은 아파트로 이사했는데 이게 영 나에게 맞지 않는거다.

 

교수님의 말씀 중에 '건축은 우리를 속박할 수도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라는 말씀이

가슴에 꽂히는 것은 이 때문이리라.  아파트로 이사온 이후 가끔은 내 몸이 큰 빌딩속에 철제가구로 전락해 버린 듯한 느낌마저 든다. (특히 내가 사는 좁고 높은 아파트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당분간은 이곳에 머물러야 하니 어서 날씨가 풀려 맘껏 창문을 열어두길 기대하는 수밖에.


또 하나 더. 되돌아보니,

건축물에 대한 사색은 빠리의 뽕삐두 센터에서가 처음이었다.

건물이라고 보기엔 기이한 형태를 띤 그 곳은 미술이 대중과 떨어져서는 안된다는

대중과의 접근성, 투명한 벽을 통해 내부를 온전히 드러내는 대담성을 지니고 있다.

마치 미완성된 장난감 같은 박물관.

건물에 대한 사전정보가 하나도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한 사람의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신기한 경험이었다. 그 곳에서 내가 만난 아이들은 자유롭게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어느 곳이든 마음에 드는 자리에 앉아 이야기하고, 그림 그리고, 놀고 있었다.

'건축물에도 철학이 있구나!'

 
교수님께서 소개해주신 '어사재'를 보면서 그 때의 감흥을 다시 느낄 수 있었다.

짓는 사람의, 쓰는 사람의 마음이 그대로 드러난 건축물은 어느새 또 하나 자연의 일부라고.

삶을 짓는 건축가. 김억중 교수님과의 만남은 이 시대 또 하나의 진정성을 마주한 의미있는 자리였다.  

 

참, 첫 자리임에도 웃으며 맞이해준 회원님들.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해 아쉬웠지만 열린 자리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어요. 다음번' 현대 음악사'도 기대됩니다.

그리고 보미씨~ 여러모로 고마웠어요!
  • ?
    송윤호 2008.03.27 01:52
    이렇게 예쁜 후기도 올려주시고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 번엔 제대로 인사 드릴께요 ^^ - 송총무
  • ?
    이정원 2008.03.27 01:52
    제가 특별히 모신다고 하긴 했지만 그렇게 빨리 만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반가웠습니다. ^^
  • ?
    정미희 2008.03.27 01:52
    생각해보니 저도 아파트로 이사오면서 출근준비 할때 창문을 열어 바깥날씨를 눈으로 가늠하는 이상한 습관이 생겼답니다. 특히 요즘같은 간절기에는 옷꺼내입기가 힘들지요. 어제 교수님 말씀 들으면서, 흔히 '의식주'라고 붙여 말하지만 '의'나 '식'말고 진정으로 '주'에 대해 생각해본게 언제인가 싶었습니다. 문을 열고 집에 들어가면 우리도 집의 일부가 되는 것인데, 마치 공기처럼 집의 가치를 모르고 살아온 것 같아요.
  • ?
    현영석 2008.03.27 01:52
    김억중교수께서 우리 집을 설계하면서 붙인 이름 무영당. 경영이 없는 것이 가장 좋은 경영.
    비우면 채워진다는 고사처럼, 무소유가 소유다는 것처럼. 좋은 경영은 그저 물 흘러가듯, 생명체가 스스로 살아가듯, 자기조직화논리로 스스로도 잘 굴러가게 해야 한다는 의미인 듯. 생명체와 경영의 통섭논리가 여기에도 적용될 둣합니다. 경영학공부를 한다는 제가 살집에 붙인 이름을 보고 건축하는 김교수님의 내공에 다시 한번 크게 놀라고 있습니다. 이런 내공으로 문학을 공간과 인간 일상 삶 속에서 관조하고 해석하여 건축 설계 한올 한올에 담을수 있을 것입니다.
  • ?
    윤보미 2008.03.27 01:52
    언니 만나서 저도 정말 반갑고 좋았어요. ^-^
    또 보아요. 선배님 ^-^
  • ?
    이나라 2008.03.27 01:52
    현교수님의 무영당. 정말 궁금합니다. 무영당에 담긴 뜻이 어떻게 살아날지요.
    김억중교수님께서는 건물을 짓는 만큼이나 이름도 정말 멋지게 붙이십니다. 서울에서의 분주한 삶을 정리하고 공주로 내려와 아버님의 뜻을 받들어 지은 집에 어사재 於斯齋 (지금여기가낙원)라는 이름을 붙여주신 것만 보아도요. 무영당도 정말 멋진 이름입니다.
    네네 보미씨 또 보아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92 이번주 인문고전읽기 모임에 많이 참석해 주세요 강신철 2010.01.15 2216
3491 공지 이번 주 토론회는 수요일 입니다! 송윤호 2004.11.08 1960
3490 공지 이번 정기토론회는 꼭....^^ 1 김달호 2009.01.20 1499
3489 공지 이번 독서토론의 방향은... 이동선 2002.07.07 3851
3488 공지 이번 10차 모임 관한 정리는 없나요? 이지희 2002.11.20 2867
3487 가입인사 이반입니다. 이반 2018.02.27 100
3486 공지 이명의 학생왈 5 박문호 2008.05.24 1810
3485 공지 이름을 불러주고 싶은 4月 9 윤보미 2008.04.28 1506
3484 공지 이렇게 연결이 되었군요. 2 박혜영 2008.04.20 1311
3483 공지 이렇게 반가이 맞아주시다니.... 양재진 2003.01.28 2629
3482 공지 이런글도 괜찮나요 5 김학성 2008.12.08 1566
3481 공지 이런 책이 왜 절판되었을까요. 6 박문호 2008.01.25 2071
3480 이런 브런치 모임이 백북스에??? 12 임석희 2013.02.05 2128
3479 공지 이런 글 5 이동선 2008.03.06 1126
3478 공지 이동훤 회원님의 독후감 게시판 활동 사례 1 이정원 2008.03.17 1253
3477 공지 이동선 사장님.. 점심~! 감사^^감사^^ 유수연 2002.08.21 3402
3476 공지 이동선 사장님 조근희 2002.07.19 3467
3475 이동선 대표님의 대전일보 칼럼 - 동화책 읽어주기 2 이정원 2013.01.09 2051
3474 공지 이동선 계룡문고 사장님 결혼식 17 박문호 2007.04.04 2392
3473 공지 이기봉 박사 발표 내용 2 박문호 2009.03.25 20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17 Next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