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485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드디어 독서클럽 첫 출정이다!

김억중 교수님의 저서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를 주제로 약 한 시간 반동안 진행된 저자 강연.

공간에 대하여, 건축에 대하여, 그 안의 삶에 대한 교수님의 진중한 말씀을 들으며

나는 문득 나의 집에 대해 생각한다.


두 달전 지금의 아파트로 이사온 이후 나는 바깥 날씨를 가늠할 수 없는 이 이상한 구조에 알 수 없는 몸의 변화를 체험하곤 한다. 커튼이 드리워진 내 방을 나가 현관문을 나서면, 생각지도 못했던 날씨 탓에 놀라곤 했고 달갑지 않은 감기도 철썩 몸에 붙더니 떨어지지 않는다.

어제 교수님의 말씀을 들으며 그것은 비단 나만의 느낌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자라온 집은 창문을 열면 바로 앞마당이 있었고

바람 부는 날이면 빨랫줄에 흔들리는 옷들이 보였다.

비가 오면 빗방울이 튀기며 내는 리듬이 들렸고

흙이 풍기는 계절의 냄새를 맡을 수 있었다.

 

그런 집에서 스무해가 넘게 살다 보니 내 몸은 자연스레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고,

자연의 변화가 필요한 상태가 되어버렸다. 그러나 가족들이 떠난 큰 집에서 여자 혼자 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고 결국 나는 짐을 챙겨 좁은 아파트로 이사했는데 이게 영 나에게 맞지 않는거다.

 

교수님의 말씀 중에 '건축은 우리를 속박할 수도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라는 말씀이

가슴에 꽂히는 것은 이 때문이리라.  아파트로 이사온 이후 가끔은 내 몸이 큰 빌딩속에 철제가구로 전락해 버린 듯한 느낌마저 든다. (특히 내가 사는 좁고 높은 아파트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당분간은 이곳에 머물러야 하니 어서 날씨가 풀려 맘껏 창문을 열어두길 기대하는 수밖에.


또 하나 더. 되돌아보니,

건축물에 대한 사색은 빠리의 뽕삐두 센터에서가 처음이었다.

건물이라고 보기엔 기이한 형태를 띤 그 곳은 미술이 대중과 떨어져서는 안된다는

대중과의 접근성, 투명한 벽을 통해 내부를 온전히 드러내는 대담성을 지니고 있다.

마치 미완성된 장난감 같은 박물관.

건물에 대한 사전정보가 하나도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한 사람의 마음을 느낄 수 있는 신기한 경험이었다. 그 곳에서 내가 만난 아이들은 자유롭게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어느 곳이든 마음에 드는 자리에 앉아 이야기하고, 그림 그리고, 놀고 있었다.

'건축물에도 철학이 있구나!'

 
교수님께서 소개해주신 '어사재'를 보면서 그 때의 감흥을 다시 느낄 수 있었다.

짓는 사람의, 쓰는 사람의 마음이 그대로 드러난 건축물은 어느새 또 하나 자연의 일부라고.

삶을 짓는 건축가. 김억중 교수님과의 만남은 이 시대 또 하나의 진정성을 마주한 의미있는 자리였다.  

 

참, 첫 자리임에도 웃으며 맞이해준 회원님들. 많은 이야기를 나누지 못해 아쉬웠지만 열린 자리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어요. 다음번' 현대 음악사'도 기대됩니다.

그리고 보미씨~ 여러모로 고마웠어요!
  • ?
    송윤호 2008.03.27 01:52
    이렇게 예쁜 후기도 올려주시고 정말 감사합니다. 다음 번엔 제대로 인사 드릴께요 ^^ - 송총무
  • ?
    이정원 2008.03.27 01:52
    제가 특별히 모신다고 하긴 했지만 그렇게 빨리 만나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반가웠습니다. ^^
  • ?
    정미희 2008.03.27 01:52
    생각해보니 저도 아파트로 이사오면서 출근준비 할때 창문을 열어 바깥날씨를 눈으로 가늠하는 이상한 습관이 생겼답니다. 특히 요즘같은 간절기에는 옷꺼내입기가 힘들지요. 어제 교수님 말씀 들으면서, 흔히 '의식주'라고 붙여 말하지만 '의'나 '식'말고 진정으로 '주'에 대해 생각해본게 언제인가 싶었습니다. 문을 열고 집에 들어가면 우리도 집의 일부가 되는 것인데, 마치 공기처럼 집의 가치를 모르고 살아온 것 같아요.
  • ?
    현영석 2008.03.27 01:52
    김억중교수께서 우리 집을 설계하면서 붙인 이름 무영당. 경영이 없는 것이 가장 좋은 경영.
    비우면 채워진다는 고사처럼, 무소유가 소유다는 것처럼. 좋은 경영은 그저 물 흘러가듯, 생명체가 스스로 살아가듯, 자기조직화논리로 스스로도 잘 굴러가게 해야 한다는 의미인 듯. 생명체와 경영의 통섭논리가 여기에도 적용될 둣합니다. 경영학공부를 한다는 제가 살집에 붙인 이름을 보고 건축하는 김교수님의 내공에 다시 한번 크게 놀라고 있습니다. 이런 내공으로 문학을 공간과 인간 일상 삶 속에서 관조하고 해석하여 건축 설계 한올 한올에 담을수 있을 것입니다.
  • ?
    윤보미 2008.03.27 01:52
    언니 만나서 저도 정말 반갑고 좋았어요. ^-^
    또 보아요. 선배님 ^-^
  • ?
    이나라 2008.03.27 01:52
    현교수님의 무영당. 정말 궁금합니다. 무영당에 담긴 뜻이 어떻게 살아날지요.
    김억중교수님께서는 건물을 짓는 만큼이나 이름도 정말 멋지게 붙이십니다. 서울에서의 분주한 삶을 정리하고 공주로 내려와 아버님의 뜻을 받들어 지은 집에 어사재 於斯齋 (지금여기가낙원)라는 이름을 붙여주신 것만 보아도요. 무영당도 정말 멋진 이름입니다.
    네네 보미씨 또 보아요. *^^*

  1. [알림] 4/17대전시향 콘서트(백건우 협연) 가실부운????

    Date2008.04.01 Category공지 By임석희 Views1516
    Read More
  2. [독서산행] 4월 5일 13시 "수통골" (온지당 앞에서 출발)

    Date2008.04.01 Category공지 By이진석 Views1499
    Read More
  3. [공지] 4월 1일 (화) 프로젝트 써! 모임 공지

    Date2008.03.31 Category공지 By이정원 Views1198
    Read More
  4. 집이 어렵다고 말하는 건축가와 함께한 독서토론모임 후기(3월25일)

    Date2008.03.31 Category공지 By이해선 Views1533
    Read More
  5. 몸의 철학

    Date2008.03.31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478
    Read More
  6. 책 몇 권 소개드립니다

    Date2008.03.31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842
    Read More
  7. 내 삶에 가장 긴 휴가

    Date2008.03.31 Category공지 By박성일 Views1264
    Read More
  8. 아버지의 마음

    Date2008.03.30 Category공지 By강신철 Views1294
    Read More
  9. 문태준-가재미, 낮잠

    Date2008.03.30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513
    Read More
  10. 가입인사드립니다^^

    Date2008.03.29 Category공지 By안설아 Views1108
    Read More
  11. [답사] 세연정과 동천석실

    Date2008.03.29 Category공지 By이정원 Views1407
    Read More
  12. 어렵게 씌어진 시

    Date2008.03.28 Category공지 By이명의 Views1223
    Read More
  13. 사람을 찾습니다, 함께 살아갈, 오래.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이석봉 Views1269
    Read More
  14. 김억중교수님의 발표를 들으면서.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이병설 Views1200
    Read More
  15. 가입인사에 글쓰기^안녕하세요~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국성호 Views1277
    Read More
  16. 가입 인사 겸 짧은 후기^^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박종후 Views1185
    Read More
  17. 파형을 그려서 마음을 담으면 통섭을 이룰수 있을까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전재영 Views1412
    Read More
  18. 1년만에 들려봅니다.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염일섭 Views1269
    Read More
  19. 첫번째 독서토론 -김억중 교수님과의 만남-

    Date2008.03.27 Category공지 By이나라 Views1485
    Read More
  20. 온지당 행사 살림 살이의 감동

    Date2008.03.26 Category공지 By현영석 Views136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