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3.24 21:14

수고 많으셨습니다

조회 수 127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말 100북스의 진화가 무서울 정도입니다. ^^

 

수유너머 동료들을 대신해서 이번 행사를 준비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좋아하는 어느 인류학자는 이런 말을 하더군요.

자신이 뉴욕에서 페미니즘 운동을 관찰한 결과 중요한 사실 하나를 깨달았는데,

그것은 바로 '상황은 스스로 생겨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답니다.

 

정말 많은 이들이 하나의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일을 하는데,

무대 위에 서 있는 자들이나, 무대 위만을 바라보는 자들은

그것을 자주 잊어먹는다는 거지요.

 

잔치음식을 주관하신 황해숙 선생님을 비롯한 주방팀,

무대 아래서 빔프로젝터를 준비하고, 촬영하고, 안내를 맡고....

지금 제가 이름을 기억하진 못하지만,

그 많은 분들의 표정을 또렷하게 기억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많은 배움이 있었습니다.

박문호 박사님 뇌강의야 워낙 자극적이지만,

특히 엄준호 박사님의 면역학 발표도 정말 신선했습니다.

'자기'와 '비자기'의 구별 문제는

철학하는 이들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거든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이번 행사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보기도 했고, 새로운 벽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하나의 문장, 하나의 말의 배경을 구성하는 철학자들을 최대한 배제하고

오직 '앎'의 문제에 대해 여러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습니다만,

상대방의 지평 안에서 그 말을 이해해보려는 '해석학적 수고'를 거부하고,

즉각적 아이디어만을 얻으려 하거나,

자기 느낌을 즉각적으로 방출하는 일,

다시 한 번 사유하기를 거부하는 일은 대화를 참 어렵게 합니다.

(저희 동료 발표에 자리를 뜨셨다고 말씀하셨던 100북스의 어느 선생님이나, 대화 진행 중 일부 분위기를 거북해하며 잠시 자리를 떴던 수유너머의 동료는 이런 어려움의 표현일 겁니다.)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거짓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사기꾼조차 자기 말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그 진실을 드러내지요.

앎 앞에서, 공부 앞에서는 더더욱 그럴 겁니다.

앎은 지지자의 환호에 의해 입증되는 것도 아니고,

반대자의 격정에 의해 반박되는 것도 아닙니다.

이제는 조금 진지하고 차분한 대화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야기가 조금 길어졌습니다만....

이번 '앎의 향연'을 열어주시고 초대해주신 것에 너무 감사드립니다.

100북스의 성장이,

우리 사회 많은 이들에게 강한 지적 자극이 될 것을 믿습니다.

 

그럼....
  • profile
    김홍섭 2008.03.24 21:14
    서울에서 부터 먼길을 와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
    이정원 2008.03.24 21:14
    고병권 박사님의 발표도 매우 인상깊었습니다.
    명쾌하고 유익한 강연이었고 생각할 거리가 많이 있었습니다.
    수유+너머와 100books가 앞으로 계속 교류할 수 있도록 많이 도와주세요. ^^
  • ?
    오영택 2008.03.24 21:14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거짓말을 할 수가 없다"는 말씀이
    가슴을 울립니다.
    고박사님의 강연을 듣지 못해 못내아쉽네요.
    백북스와 수유너머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
    이병록 2008.03.24 21:14
    깊히 안다는 것과 잘 발표한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고, 틀린 것이 아니고 다르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도 잘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
    임석희 2008.03.24 21:14
    그 유명한 수유너머의 고수님들을 뵙게 되어, 그 말씀 듣게 되어 영광이었습니다.
    "이런 모임이 내년에도 이맘때 하나요?"라는 질문에, "저도 그러면 좋겠어요."라고 답했는데, 오랫동안 많이 배우고, 서로에게 알려주는 좋은 모임이 되면 좋겠습니다.
    "악"이란 "생각하지 않고 사는것"이라는 새로운 정의,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더 궁금한 게 있는데, 메일로 여쭐께요. ^^*
  • ?
    현영석 2008.03.24 21:14
    고박사님 오셔서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오랫 동안 쌓은 내공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 큰 행운이었습니다. 앞으로 더 자주 만나십시다.
  • ?
    문경목 2008.03.24 21:14
    사진기를 들고 다녔던 문경목 입니다.
    사진 찍는 동안 보았던 고병권 박사님의 시원하고 밝은 웃음을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그 동안 궁금했었던 강의 모습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기도 하구요.
    앞으로도 많은 만남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64 공지 책소개: 인문학 스터디, 마크 헨리, 라티오, 2009 이중훈 2009.01.28 1930
2663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1 김종헌 2009.01.28 1518
2662 공지 오쇼의 마음.. 이부원 2009.01.28 1596
2661 공지 뇌와 마음 (Mind) 이부원 2009.01.27 1726
2660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1 강호구 2009.01.27 1434
2659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3 조태윤 2009.01.27 1567
2658 공지 가입인사 드립니다. 4 지석연 2009.01.25 1631
2657 공지 힘없는 사람들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3 강신철 2009.01.25 3840
2656 공지 가입인사 올립니다 3 안진웅 2009.01.25 1549
2655 공지 설 명절 잘 보내십시요. 3 임성혁 2009.01.25 1672
2654 공지 가입 인사드립니다~ 2 한정규 2009.01.24 1591
2653 공지 책소개: 질병은 문명을 만든다, 헨리 지거리스트, 몸과 마음, 2005 이중훈 2009.01.24 2100
2652 공지 31일모임참가신청 3 김영철 2009.01.23 1667
2651 공지 마우나케야 천문대 4 문경수 2009.01.23 1948
2650 공지 [기사]"필기 꼭 하고, 의문을 많이 가져라"...창의성관련 3 서지미 2009.01.23 1689
2649 공지 첫 논문이 나왔습니다 ^^ 12 장종훈 2009.01.23 1865
2648 공지 책 전시회가 있네요,『CJ 그림책 축제』 송은경 2009.01.22 1649
2647 공지 [기사]"깊이 있고 다양한 독서를 하라"..창의성관련 1 서지미 2009.01.22 1790
2646 공지 [펌글] 홍대용의 담헌서 4 강신철 2009.01.22 1991
2645 공지 [공지] 뇌과학과 동서 정신의학의 만남 보도자료 1 file 선완규 2009.01.22 18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