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3.24 21:14

수고 많으셨습니다

조회 수 127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말 100북스의 진화가 무서울 정도입니다. ^^

 

수유너머 동료들을 대신해서 이번 행사를 준비해주신 많은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제가 좋아하는 어느 인류학자는 이런 말을 하더군요.

자신이 뉴욕에서 페미니즘 운동을 관찰한 결과 중요한 사실 하나를 깨달았는데,

그것은 바로 '상황은 스스로 생겨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답니다.

 

정말 많은 이들이 하나의 상황을 만들기 위해서 보이지 않는 곳에 일을 하는데,

무대 위에 서 있는 자들이나, 무대 위만을 바라보는 자들은

그것을 자주 잊어먹는다는 거지요.

 

잔치음식을 주관하신 황해숙 선생님을 비롯한 주방팀,

무대 아래서 빔프로젝터를 준비하고, 촬영하고, 안내를 맡고....

지금 제가 이름을 기억하진 못하지만,

그 많은 분들의 표정을 또렷하게 기억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도 많은 배움이 있었습니다.

박문호 박사님 뇌강의야 워낙 자극적이지만,

특히 엄준호 박사님의 면역학 발표도 정말 신선했습니다.

'자기'와 '비자기'의 구별 문제는

철학하는 이들에게 가장 큰 고민거리거든요.

 

솔직히 말씀드리면, 이번 행사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보기도 했고, 새로운 벽을 느끼기도 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하나의 문장, 하나의 말의 배경을 구성하는 철학자들을 최대한 배제하고

오직 '앎'의 문제에 대해 여러 이야기를 나누고 싶었습니다만,

상대방의 지평 안에서 그 말을 이해해보려는 '해석학적 수고'를 거부하고,

즉각적 아이디어만을 얻으려 하거나,

자기 느낌을 즉각적으로 방출하는 일,

다시 한 번 사유하기를 거부하는 일은 대화를 참 어렵게 합니다.

(저희 동료 발표에 자리를 뜨셨다고 말씀하셨던 100북스의 어느 선생님이나, 대화 진행 중 일부 분위기를 거북해하며 잠시 자리를 떴던 수유너머의 동료는 이런 어려움의 표현일 겁니다.)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거짓말을 할 수가 없습니다.

사기꾼조차 자기 말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 그 진실을 드러내지요.

앎 앞에서, 공부 앞에서는 더더욱 그럴 겁니다.

앎은 지지자의 환호에 의해 입증되는 것도 아니고,

반대자의 격정에 의해 반박되는 것도 아닙니다.

이제는 조금 진지하고 차분한 대화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야기가 조금 길어졌습니다만....

이번 '앎의 향연'을 열어주시고 초대해주신 것에 너무 감사드립니다.

100북스의 성장이,

우리 사회 많은 이들에게 강한 지적 자극이 될 것을 믿습니다.

 

그럼....
  • profile
    김홍섭 2008.03.24 21:14
    서울에서 부터 먼길을 와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 ?
    이정원 2008.03.24 21:14
    고병권 박사님의 발표도 매우 인상깊었습니다.
    명쾌하고 유익한 강연이었고 생각할 거리가 많이 있었습니다.
    수유+너머와 100books가 앞으로 계속 교류할 수 있도록 많이 도와주세요. ^^
  • ?
    오영택 2008.03.24 21:14
    "세상의 모든 존재들은 거짓말을 할 수가 없다"는 말씀이
    가슴을 울립니다.
    고박사님의 강연을 듣지 못해 못내아쉽네요.
    백북스와 수유너머의 발전을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 ?
    이병록 2008.03.24 21:14
    깊히 안다는 것과 잘 발표한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고, 틀린 것이 아니고 다르다는 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도 잘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
    임석희 2008.03.24 21:14
    그 유명한 수유너머의 고수님들을 뵙게 되어, 그 말씀 듣게 되어 영광이었습니다.
    "이런 모임이 내년에도 이맘때 하나요?"라는 질문에, "저도 그러면 좋겠어요."라고 답했는데, 오랫동안 많이 배우고, 서로에게 알려주는 좋은 모임이 되면 좋겠습니다.
    "악"이란 "생각하지 않고 사는것"이라는 새로운 정의,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해 더 궁금한 게 있는데, 메일로 여쭐께요. ^^*
  • ?
    현영석 2008.03.24 21:14
    고박사님 오셔서 감사했습니다. 그리고 오랫 동안 쌓은 내공의 소리를 들을 수 있어 큰 행운이었습니다. 앞으로 더 자주 만나십시다.
  • ?
    문경목 2008.03.24 21:14
    사진기를 들고 다녔던 문경목 입니다.
    사진 찍는 동안 보았던 고병권 박사님의 시원하고 밝은 웃음을 잊지 못하고 있습니다.
    또 그 동안 궁금했었던 강의 모습을 직접 들을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기도 하구요.
    앞으로도 많은 만남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84 공지 사랑하는 아버지 12 file 박성일 2008.03.07 1304
1583 공지 [re] 또다른 책들. 2 최상준 2008.03.07 1807
1582 공지 <프로젝트 써!>꿈길을 걸어가는 오늘이 행복하다. 8 류우정 2008.03.07 1333
1581 공지 "사랑해"라는 말을 한문(문자)로만 써야만 했다면.... 7 임석희 2008.03.07 2122
1580 공지 아인슈타인이 한국인이 었다면 어떠했을까?' 3 전재영 2008.03.07 1261
1579 공지 [re] 진리 <아픈 만큼 성숙한다> 3 윤보미 2008.03.07 1182
1578 공지 누구에게나 우울한 날은 있다. The Blue day. 5 윤보미 2008.03.07 1315
1577 공지 137.3 억년에 +_1억 2천만년정도의 오차 1 박문호 2008.03.06 1320
1576 공지 기록하지 않으면 존재하지 않습니다. 14 박문호 2008.03.06 1192
1575 공지 어제 처음으로 모임에 참여했던 신입회원입니다^^ 7 천애련 2008.03.06 1137
1574 공지 이런 글 5 이동선 2008.03.06 1125
1573 공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4 윤성중 2008.03.06 1672
1572 공지 양자역학에 관한 책 소개 4 박문호 2008.03.05 1706
1571 공지 한겨레 신문을 읽다 만난 반가운 얼굴 ^^* 5 임석희 2008.03.05 1323
1570 공지 [써!]독서클럽에서 교육을 낚다. 4 복정식 2008.03.05 1151
1569 공지 프로젝트 써! 모임 후기입니다. 5 김윤정 2008.03.05 1180
1568 공지 It's Daejeon을 읽고나서요. 2 황경미 2008.03.04 1142
1567 공지 책 소개 드립니다 3 박문호 2008.03.04 1578
1566 공지 고흥군 별분양 받으세요~~ 4 전재영 2008.03.04 1279
1565 공지 개학 날 빵빵한 가방. 7 윤보미 2008.03.04 12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