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315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성실, 감사, 정직의 삶을 산 나의 아버지

그 분의 애국심을 처음 느낀 것은 내가 여덟 살 되던 해였다. 내가 느림봉 위에서 놀다가 떨어져 다리를 다쳤다. 수술비 마련을 위해 온 집안이 벌집을 쑤셔 놓은 듯 했다. 그때 마침 당시 군속으로 있었던 김 아무개라는 한 동네 사람이 미군부대에서 몰래 빼낸 물건을 야행으로 운반해 주면 마차 한 바리에 만원씩 주겠다고 제의해 왔다. 일반 짐삯이 이천원이었던 그 당시, 파격적인 제의였지만 어머니의 설득에도 아랑곳 없이 아버님은 한 마디로 거절하셨다. 그 결과 온 식구들의 사랑을 받았던 애견 '베스'를 팔아 내 수술비를 마련해야 했다.

아버님이 남의 소를 빌려 장짐을 끌기 시작한 게 그분의 나이 열다섯 살 때부터였다 한다. 이른 새벽 마을 뒷길로 덜거덕거리며 지나가는 아버님의 마차바퀴 소리가 나야 비로서 새벽닭이 운다고 했다. 계절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닥치는 대로 짐을 실어 나른 대가로 마차군 강 아무개 하면 그 고을사람이면 모르는 이가 없었다.

그 덕에 부모로 물려 받은 외상술값 모두 청산하고 6남매를 키워 가면서도 농토를 넉넉히 장만하게 되었다. 다른 마차군보다도 유난히 주문이 쇄도했던 것은 그 분의 신용과 근면성 때문이었다. 짐 주인이 원하는 시간 원하는 장소에 한 치도 어김없이 짐을 실어다 주었고 조금이라도 부정한 짐은 아무리 높은 삯을 불러도 결코 응하지 않았다.

그 분이 처음 마련한 땅은 조상을 모실 묘지였다. 그 분에게는 논이나 밭보다도 선친을 모실 묘자리가 더 급했던 것이다. 선조가 모은 그 많은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자식에게는 빚만 유산으로 남기고 가신 자신의 아버님을 그토록 극진히 모시는 그 분의 마음을 아무도 이해하지 못했다. 그 분이 늘 입버릇처럼 뇌이시던 말씀이 생각난다.

"부모가 못나고 자식이 아무리 잘나도 잘난 자식이 있는 건 못난 부모라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 분은 성실한 국수주의자였고 갈 데 없는 단군의 후예였다. 내 민족 이외의 것은 모두 달갑지 않게 여기던 그 분, 교과서에서 배운 것도, 누구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것도 아닌 데 그 분의 고집은 남다른 것이었다.
여름내 기껏 땀 흘려 지어 놓은 곡식을 턱없는 명목으로 끼니꺼리도 남기지 않고 착취해 가던 일본인들을 평생 미워하셨다.
6.25동란 때 강보에 싸인 채 논바닥에서 죽어가는 갓난애의 처참한 모습, 징병에 끌려 갔다 장질부사에 걸려 돌아 온 자기 형님이 약도 제대로 써보지 못한 채 죽어가는 모습은 그 분을 철저한 반공주의자로 만들기에 충분하였다.
미 군정하에서 날뛰던 자들의 소행이 아니꼬와 서양인들까지도 싸잡아 미워할 수밖에 없던 그 분, 그 분에게 소중한 것은 우선 식구들이었고 그 다음이 마을 일이었다. 길흉을 가리지 않고 온갖 대소사에 빠짐없이 찾아가 축하하고 위로함에 아낌이 없었다. 동네 공동부역에 당신이 몸이 불편해 몫을 못하게 되면 일군을 사서라도 몫을 해내게 하셨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토록 부드럽기만 해 보이시던 아버님이 자식들에게는 엄하셨다. 노력 없이 얻는 이익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취한 것은 무엇이든 엄하게 꾸짖으셨고 필요이상의 사치는 조금도 용납함이 없으셨다. 그 분에게는 도대체 남에게 비난 받는 일은 최대의 수치였던 것이다. 한 편 피땀으로 맺힌 돈이었지만 자녀의 교육비에는 후하셨다.
가슴에 늘 스며 있던 희망은 후손의 영광이었기 때문이다.

성실과 노력 끝에는 밝은 미래가 있음을 몸으로 직접 실천해 보이셨고 뭇사람의 귀감이 되셨다. 애초부터 배움이 없었기에 '애국'이라는 단어조차 그분에게는 생소하고 어찌 보면 사치스런 표현일지도 모른다. 주어진 운명에 불평하지 않고 자기를 존재케 한 모든 것에 다
만 감사하며 묵묵히 미래를 향해 평생을 일구어 오셨을 뿐이다.
자손의 영광과 이웃의 안녕만을 기원하시며 자신을 돌아볼 틈도 없이 그렇게 세월을 다 보내셨다.

농자, 인생의 반려인 소(牛)와 함께 아련히 지나간 날들을 쟁기날 끝에 묻어버리고 이제는 초라해진 노구를 이끌고 땅거미를 길게 드리우며 지는 저녁 해를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다가 가신다.






  • ?
    강신철 2008.03.08 02:26
    1982년 아버님 영전에 바친 글입니다.
  • ?
    임석희 2008.03.08 02:26
    (아직은 잘 알지 못해서)가끔씩(만) 엿보이는 강교수님의 모습인 것 같습니다.
    강단, 소신, 정직... 이런 모습들요. 오랜만에 아버님과의 해후에 편안한 시간을 보내신것 같구요. "영원한 삶이란 살아있는 자의 마음속에 남아 있는 것"이라는, 이제 갈 날만을 기다리신다는 어는 분의 가르침이 새삼 떠오릅니다. 열심히 살아야겠습니다...
  • ?
    신소영 2008.03.08 02:26
    글을 읽는데 눈물이 흐릅니다. 학력과 지식으로 견줄수 없는 감동과 신념이 보입니다.
    가슴이 살아나는 듯 합니다. 좋은 글 올려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
    주용성 2008.03.08 02:26
    글에서 강교수님의 아버지에 대한 마음을 느낄 수있네요. 더 이상은 제 형편 없는 글솜씨로는 표현 할 수 없네요.
  • ?
    이병록 2008.03.08 02:26
    <12편의 가슴시린 편지>는 부자지간을 소재로 다룬내용인데, 북방쇠찌르레기가 전한 소식은 새를 통해서 서로를 확인하는 원병오 박사 부자의 얘기가 압권이지요
  • ?
    복정식 2008.03.08 02:26
    가슴으로 전해지는 느낌을 어떻게 글로 표현해야 할지 모르겠네요. 잔잔한 물결처럼 가슴에 울려퍼지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4 현장스케치 [빅히스토리 프로젝트 대전 ] 첫 모임 현장스케치 file 박순필 2016.06.13 1652
2843 공지 [글연습1] 글쓰기, 그리고 부딪히기 11 문경목 2008.04.17 1654
2842 공지 쪽지가 도착했습니다~ 2 육형빈 2008.12.23 1654
2841 '축의 시대'를 읽고 출판사에 보낸 편지 3 이병록 2012.08.15 1654
2840 오늘은 호주 학습탐사 대원들이 돌아오는 날~ 1 윤보미 2009.08.22 1655
2839 "신의 이름으로" 책 관련 이정모 2011.06.11 1655
2838 [10월9일개강] 네그리/하트의 『제국』 읽기!(총괄강의 조정환) 다지원 2011.10.03 1655
2837 공지 새내기 질문 3 임성혁 2007.06.22 1656
2836 공지 [글연습3] 아파트 재공사 이야기 2 문경목 2008.04.18 1656
2835 공지 피서철, 무슨 책을 읽고 있습니까? 9 file 김영이 2008.08.07 1657
2834 공지 '책을 읽지 않을 권리'도 생각하게끔/한겨레 4 이동선 2008.08.29 1657
2833 [참여연대 아카데미 오픈특강]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과의 대화 file 느티나무지기 2010.08.17 1657
2832 2011년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가을강좌 개강 느티나무지기 2011.08.03 1657
2831 안녕하세요~~ 4 최성환 2013.01.14 1657
2830 [안내] Yuri's Night Korea 2013 참가하실분? 3 임석희 2013.03.15 1657
2829 공지 라오스와 베트남, 배낭여행을 떠나며.... 8 이명희 2008.02.27 1658
2828 공지 노트만들기 놀이 14 이혜로 2008.03.21 1658
2827 공지 '음악광' 고이즈미 전 일본 총리 전문가급 음악평론서... 2 이동선 2008.05.13 1658
2826 공지 '붕어빵 서점'과 책의 위기/조선일보 1 이동선 2008.10.11 1658
2825 공지 한국경제 올해의 책 20選에 <뇌 , 생각의 출현> 1 문경목 2008.12.23 16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