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1.09 10:43

진짜 리더

조회 수 1510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해마다 연말이면 새로 임명 또는 선출되는 국가 또는 기관의 우두머리에 세인의 관심이 쏠린다. 올해도 우리나라에서 대통령 선거가 있었고 유명 기업체의 사장 선임, 공공기관장 인사, 대학의 총장 선거, 학생회장 선거 등이 있었다.

 

어찌 보면 대부분의 생명체는 모방 본능으로 인해 리더를 원하는 것 같다. 많은 생명체들이 생존과 종족의 번식을 위해 인근 유사 개체의 행동을 모방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누군가는 앞장을 서야 하고 그래야 따라오는 자가 생기게 마련이다. 특히 조류나 포유류, 영장류 등 군집을 이루고 사는 동물들은 리더를 중심으로 일사불란하게 행동하는 모습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동물의 왕국 프로그램에서 종종 방영되듯이 이리나 하이에나처럼 리더의 역할이 뚜렷이 드러나는 군집 동물들이 많다. 리더를 따라 질서정연하게 날아가는 철새 떼도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군집 동물의 예이다.


 

사람도 대표적인 군집 동물이다. 정상적인 사람들은 모이기를 좋아하고 모이면 누군가를 리더로 내세운다. 리더가 없으면 불안해한다. 군집 동물이 리더를 원하는 만큼 리더의 역할은 중요하다. 한 집단에서 리더는 소수이지만 리더의 생각과 행동은 집단 전체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그 집단의 운명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시중 서점에는 리더십에 관한 책들이 즐비하다. 이 책들 대부분이 이상적인 기업체 CEO(Chief Executive Officer)들의 자질과 특성을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예수나 공자, 노자와 같은 성인들이나 이순신이나 세종, 정조와 같은 역사적 위인들의 리더십을 CEO에 빗대어 이야기하는 책들도 자주 등장한다. 그만큼 우리는 리더의 존재에 대해 관심이 많고 자기가 속한 집단의 리더에 기대하는 바가 크다. 인간은 리더를 원하는 만큼 자신이 리더가 되기를 원하는 측면도 있다. 리더가 발휘하는 집단 통제력을 우리는 권력이라고 한다. 물론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복종형이기에 집단이 유지되지 너도나도 집단의 리더가 되고자 한다면 권력투쟁으로 인해 집단은 와해될 것이다.


 

리더에는 명목상의 리더와 정신적 리더가 있다. 이상적으로는 명목상의 리더가 정신적인 리더 역할도 겸한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지만, 우리 주변에서는 법이나 제도를 통해 선출되거나 임명된 명목상의 리더가 있어도 실질적인 리더의 역할을 못하는 예를 흔히 본다. 삼국지를 읽어본 사람이면 촉나라의 왕은 명목상 유비였지만 진짜 리더는 제갈공명과 관우였음을 부정하는 사람이 많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 현대사에서도 역대 대통령들이 명목상의 리더이긴 했지만 실질적으로 국민들의 우러름을 받고 정신적 리더 역할을 했던 사람은 아니었다.


 

흔히 우수한 리더의 덕목으로 지와 덕을 꼽는다. 조직을 이끌어갈 지적 능력이 있어야 비전을 제시하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조직에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식견과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개발할 수 있는 능력도 지적 능력이다. 조직이 가지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활용할 줄 아는 것도 지적능력이다. 한편  조직의 구성원을 자기 몸처럼 아끼고 궂은일은 자신이 솔선수범하여 처리하고 쉬운 일은 부하에게 공을 세울 기회를 주는 것은 덕이다. 또 자신이 저지른 실수를 인정할 줄 알고 도리에 어긋난 일을 지적받았을 때 부끄러워 할 줄 아는 것도 덕이다. 지덕을 겸비해야 진짜 리더라고 할 수 있다.


 

무자년 새해가 밝아온다. 새해에는 도덕적으로도 결함이 없고 능력도 탁월한 그야말로 지와 덕을 겸비한 진정한 리더가 국가의 우두머리가 되고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는 그런 해가 되기를 기원해 본다.                



[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08-01-09 17:26:27 필진에세이(으)로 부터 이동됨]
  • ?
    강신철 2008.01.09 10:43
    이 글은 마이라이프 1월호에 실린 글인데 뒷부분이 잘려서 여기에 보완된 완본을 올립니다.
  • ?
    문경수 2008.01.09 10:43
    역사를 바꾸는 리더십 입니다.
  • ?
    엄준호 2008.01.09 10:43
    저는 개인적으로 리더를 포함해 사람을 2가지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그 기준은 지성과 인간성입니다. 당연히 최고는 높은 지성과 훌륭한 인간성을 가진 사람입니다. 그리고 가장 멀리 해야할 사람은 높은 지성과 낮은 인간성을 가진 사람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교수님의 글을 읽고 제가 알고 있는 분, 모셨던 상사, 모시고 있는 상사들 중 진정한 리더를 한번 떠올려 보았습니다. 역시 많진 않네요. 더블어 저 자신도 다른 사람이 보았을 때 믿고 따를 수 있는 리더의 자질이 있는가 반성도 해 보았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 ?
    이명희 2008.01.09 10:43
    MY LIFE를 읽고 뭔가 빠진 것이 있는가? 하는 생각을 했는데....
    역시 그랬군요.
    지난번 독서산방에서 하신 말씀 중에
    교정 구석에 핀 꽃 한송이에 몰두할 줄 아신다는
    대목에서 감명받고, 공감했습니다.
    우리 사회가 발전하기위해 리더의 덕목도 중요하겠지만,
    그 리더를 받쳐주는 평범한 조직원도 업그레이드 되어야,
    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생각도 드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64 공지 안녕하세요~ 4 모현혜 2009.02.04 1514
963 공지 반갑습니다. 모두들 참 좋은 인연이기를~ 2 권완상 2008.12.31 1514
962 공지 우. 생. 순 과 100권 독서클럽 5 윤성중 2008.07.29 1514
961 공지 [공지] 감사드립니다. 100books 후원금 현황 1 송윤호 2007.09.20 1514
960 공지 슬쩍 발을 들여놓습니다. 2 장은정 2008.12.31 1513
959 공지 11월29일 연세대 복잡계 컨퍼런스 안내 1 현영석 2008.10.27 1513
958 공지 백북스를 위한 제언... 5 이부원 2008.05.07 1513
957 공지 문태준-가재미, 낮잠 3 박문호 2008.03.30 1513
956 공지 [요청]다큐멘터리 총,균,쇠 2 김홍섭 2007.10.04 1513
955 공지 아인슈타인의 꿈 필요하신 분.. 20 이제헌 2008.08.27 1512
954 "사진과 인문학" 소모임 제안 8 임민수 2012.01.01 1511
953 공지 가입인사.. 4 서애경 2008.11.23 1511
952 공지 가입인사-인간적인 삶을 위한 달음질 2 이용희 2008.10.04 1511
951 공지 사진으로 보는 몽골 탐사여행기(6월30일) 2 박상준 2008.07.20 1511
950 공지 안녕하세요 3 남윤덕 2008.05.09 1511
949 청소년들이여, 소설책을 마음껏 펼쳐라~ 1 이재민 2011.05.11 1510
948 공지 4/4 임재춘 교수님 강연 <글의 구조와 원리> 청강 기회 2 이정원 2008.04.01 1510
» 공지 진짜 리더 4 강신철 2008.01.09 1510
946 공지 독서클럽과 나와의 만남 4 이재우 2007.12.17 1510
945 공지 옥수 4 문경목 2007.12.06 15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