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376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박문호 박사님의 열정적인 강의를 들으며 생각해 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정말 놀랍고 위대합니다.

한 줄도 안되는 수학공식 속에

우주의 구조가 있고 만물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으며 모든 생명의 근원인 태양의 에너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 봅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보다 더 놀라운 것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우리의 뇌가 이 위대한 이론을 생각해내고 그것을 이해한다는 사실입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요?

사자도, 독수리도, 상어도, 코끼리도 못하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할 수 잇을까요?


단지 세포들의 덩어리에 불과한 물체가 어떻게 이런 일을 해낼 수 있을까요?


정말 알 수 없습니다.


........

 


우리는 위대한 현인을 통해 또는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의 진리를 깨달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정말 그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깨달음은 신이 우리의 귀에 속삭여주었기 때문도 아니고 우주 속 어느 행성에 숨겨져 있는 비밀의 “진리문서”를 우리가 보았기 때문도 아닙니다.


그것은 우리의 뇌가 어떤 작용을 한 결과입니다. 물론 뇌의 그 작용이 “우주의 진리”를 반영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깨달음을 얻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는 문제입니다.

아니 좀 유보해야 할 판단입니다.


우리 뇌가 도대체 어떻게 작용하여 생각하고 느끼게 되는 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을때까지는 말입니다.

  • ?
    고원용 2008.01.09 09:18
    인간의 뇌가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추상적인 것을 이해하는 능력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박문호 박사님처럼 텐서 미분도 '쉽다'고 하시는 분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니지요. 그런데 아직 어떤 인간도 이해하지 못한 문제도 있습니다. '4색문제'는 결국 증명이 되었지만 컴퓨터의 도움을 받아 증명된 최초의 증명이었고 이것을 손으로 풀어서 확인할 수 있는 인간은 없습니다. http://www1.encyber.com/search_w/ctdetail.php?masterno=83665&contentno=83665 ; http://en.wikipedia.org/wiki/Four_color_theorem
    "수학적 증명은 시처럼 우아해야 하는데 이것은 전화번호부같"기 때문에 인간 뇌의 능력 한계를 슬퍼해야할까요, 아니면 컴퓨터를 사용해서 인간이 증명할 수 있는 수학의 영역이 넓어진 것을 반겨야 할까요?
  • ?
    양경화 2008.01.09 09:18
    모든 것을 떠나 그저 놀랍고 아름다울 뿐!
  • ?
    강신철 2008.01.09 09:18
    인간 인식의 범위 내에서만 진리는 밝혀지고, 인간이 갖고 태어난 감각과 인간이 만든 기술로만 세상을 느끼고 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위대한 인간들의 경이로운 연구업적에 존경을 표하고 뛰어난 직관을 가지고 태어난 천재들의 능력에 감탄할 뿐입니다. 그 정도는 아닐지라도 이 작은 뇌로 그들이 발견한 것들을 감상할 수 있는 나 자신도 신비롭습니다. 그래서 살 맛이 더 나는 것이겠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04 [현장스케치] 박문호 박사의 '특별한 뇌과학 강연' - 첫번째 시간 7 윤보미 2010.01.25 2470
1403 [현장스케치] <경북 백북스> 창립기념 강연 (4/18) 6 윤보미 2009.04.22 1735
1402 공지 [현장스케치] 11월 서울모임 김홍섭 2008.12.02 1508
1401 [현장스케치 0. ] 2009학습마라톤 2009.10.24~25 8 윤보미 2009.10.30 2107
1400 공지 [현장분위기] 146회 독서토론회 (진중권 저자 초청) 20 이정원 2008.07.25 2727
1399 공지 [현장 스케치] 앙굿따라니까야 완간 기념식 및 세미나 2 박혜영 2008.03.11 1277
1398 [행사후기] Yuri's Night Korea 2013 1 조수윤 2013.04.09 1968
1397 공지 [행사소개] 서울에서 만나는 영국 뉴로사이언스 2 file 문경수 2008.11.22 1582
1396 [해외는 지금] 오바마, 트위터·페이스북으로 국민과 통하다 이홍윤 2010.06.13 1700
1395 공지 [한밭도서관] 하성란 작가와의 북콘서트에 초대합니다. file 황선애 2008.10.13 1512
1394 [학습마라톤] 사진신청하신분(필독) 1 임석희 2009.11.07 1760
1393 [학습마라톤] 사진/셔츠판매 수익금 관련 임석희 2009.11.07 1731
1392 [학습마라톤] 다시보는 서호주사진전 _인기상 모음 임석희 2009.11.07 1764
1391 [하자센터] 자공공 아카데미 -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인문학 2 김령은 2013.03.06 1614
1390 공지 [필진]고미숙 박사님을 만나다 10 김홍섭 2007.12.07 1750
1389 공지 [필진] 12/17 - 독서클럽과 나와의 만남... 8 서윤경 2007.12.17 1466
1388 공지 [필진6기] 외나로도 생활 1년을 돌아보며...(첫번째) 13 서윤경 2008.01.28 1435
1387 공지 [필진 6기] 여행. 3 이소연 2008.01.30 1265
1386 공지 [필진 6기] 물리학을 즐기자! 8 문경수 2008.01.29 1395
1385 공지 [필독] 내일 열리는 100books 가족 한가을 대잔치 안내 사항 8 송윤호 2007.09.28 19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