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689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爲學日益 爲道日損(위학일익 위도일손)

 


학문의 길은 하루하루 쌓아가는 것

도의 길은 하루하루 없애가는 것

 


노자의 도덕경 48장에 나오는 말이다. 2007년을 보내면서 우리 100권 독서클럽이 성인이 된 듯한 뿌듯한 심경으로 새해를 맞는다. "학습독서 공동체"임을 표방하고 4대 행동강령을 선포했다. 그동안 우리가 스스로 발견하고 구축한 정체성을 만천하에 알린 것이다.

 

"학습독서"를 지향하면서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이 있다. 학습독서를 지향한다고 해서 지식을 쌓는데 급급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어렸을 때는 선생님이 가르쳐 주는 것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새로운 것을 하나하나 배워나간다. 지식을 쌓아가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 배운 것을 소화하여 자기 것을 만들어나갈 줄 알아야 한다.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것은 道이지 識이 아니다. 더구나 學은 더더욱 아니다. 學은 道를 얻기 위한 과정에 불과하다. 책을 열심히 읽는 것, 뭔가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 자체도 아름다운 일이지만 배우는 데 머물러서는 안 된다. 책을 읽은 결과로 지식을 얻는 것 또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의 하나이긴 하지만 지식을 얻는 데 그쳐서도 곤란하다. 진정으로 우리가 원하는 것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러 사고의 틀이 바뀌고, 그 바뀐 사고에 따라 행동으로 나타나야 비로소 道에 이르렀다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도를 추구하기 위해 하루하루 없애야 할 것은 무엇일까? 

 


무식, 편견, 오해, 오만, 이분법적 사고, 독단, 고집, 쓸데 없는 두려움, 공포... 심지어 우리가 지금 진리라고 믿도 있는 것 조차도 새로운 깨달음에 이르면 과감히 버릴 줄 아는 용기, 다 버리고 나도 공포도 없고 두려움도 없다면 그야말로 궁극적 道의 경지에 이르렀다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도 그 궁극의 도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다. 그렇다고 불가지론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갈릴레오, 뉴튼, 아인슈타인,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에 이르는 과학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참진리의 끝이 없음을 일찌기 간파한 장자의 생각이 옳았음을 증명해 준다.

 


따지고 보면 참 진리에 이르는 길이 무한하고 도를 추구하는 여정이 끝이 없기에 인생은 더욱 살맛나는 것이 아닌가? 인간이 공부해야 할 것이 유한하다고 가정해 보라. 그처럼 무미건조한 일이 또 어디 있겠는가?

 


새해 들어 우리 독서클럽은 더욱 성장할 것이다. 아니 무한히 성장할 것이다. 다만 그 성장이 단순히 회원수의 증가, 지식의 축적에 머무르지 말고 도에 이르는 길로 이어지고, 나아가 깨달음이 자기 가정에서, 일터에서, 사회에서, 세계 무대에서 행동으로 나타나 생명체로서 우주에 가치를 부가하는 인물이 많이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 ?
    엄준호 2008.01.01 08:22
    올 한해 마지막 시간까지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아니 이제 2008년이 되었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임석희 2008.01.01 08:22
    언젠가 제가 존경하는 한 분이 이런 말씀 해 주신 구절이 생각납니다.
    "알고 모르고의 차이는 백지 한 장(종이 앞뒤) 차이지만,
    그것을 실천하고 아니고는 천지(하늘과 땅) 차이지."

    늘... 어떻게 하면 그 깨닳음을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지 고민하는 중입니다.
    구체적인 행동 방식으로 이어질때, 머리와 가슴이 이해한 것을 몸이 이해하고 그것을 표현해낼 때, 그것이 진정한 앎의 길일 것입니다.
  • ?
    이명희 2008.01.01 08:22
    강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수행은 비워가는 훈련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삶의 과정에 시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얻는 것 보다 버리는 일의 중요함을 조금씩 알아 갈 때에 있는 것 같은데도...
    아직 얻으려는 욕구가 많이 남아있는가 봅니다.

  1. 3945번 글은 삭제되었습니다.

  2. 전 바본가 봅니다.ㅡㅡ;;

  3. No Image 12Feb
    by 송치민
    2014/02/12 by 송치민
    Views 1691 

    '과학과 사람들'의 팟캐스트 공개 강연 -『할리우드 사이언스』 저자 강연

  4. No Image 16Sep
    by 미선
    2013/09/16 by 미선
    Views 1691 

    [몸학 강좌] 새로운 몸삶 이론 (9월29일 개강)

  5. 홧팅...

  6. [중앙일보] 뇌, 생각의 출현 "2008년 올해의 책"

  7. 비둘기 관찰 1

  8. 어느 시인과의 만남(118회 토론회 후)

  9. No Image 22Oct
    by 임승수
    2011/10/22 by 임승수
    Views 1690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저자 임승수입니다. 한겨레교육 분당센터에서 11월부터 <자본론> 강의합니다.

  10. [공지]152회 독서토론회 안내(10월28일)

  11. 뇌와 생각의 출현을 공부하며

  12. [11.16.운영회의] 백북스. 도약을 위한 준비.

  13. 당직을 서던 새벽에 읽은 책!

  14. [여행] 16. 로마 2 : 고대 로마 제국의 심장 (완결)

  15. 가입인사

  16. [기사]"필기 꼭 하고, 의문을 많이 가져라"...창의성관련

  17. [탐방후기] Wow Book Festival 에 무엇이 있었나

  18. 사진으로 보는 몽골 탐사여행기(6월28일)

  19. [사진] 백북스 최연소회원 이주헌입니다.

  20. 도의 길은 하루하루 없애가는 것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