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2.12 01:39

배경이 전경이 될 때

조회 수 142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을 읽다가 단순한 문장을 만난다. 처음에 당연해 보인다. 느낌 끝 자락에 무언가 걸린 듯하다. 다시 읽는다. 아! 그렇게 볼 수 있겠구나. 그런 문장은 몇 일간 기억속을 맴돌면서 사라지지 않는다.


 


기억에 희미해지기 보다는 오히려 초점이 모아지고  증폭되기 시작한다. 그 문장이 몸 동작에 묻어난다. 느낌이 한 가지 색조와 울림으로 오롯해진다. 이때부터 주위 사물이 말을 걸어오기 시작한다.





“중력은 우리가 중력에 저항하지 않으면 결코 중력을 느낄 수 없다.”


지구표면에서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중력에 저항한다. 산책하거나 의지에 앉거나 침대에 눕거나 할 때 지구와 내 몸 사이의 중력에 저항하고 있는 힘이 바로  전자기적 힘이다.


 


눈에 보이는 사물의 입체적 모습은 모두가 전자기력의 작용이다. 중력에 버티는 전자기력이 제거 되는 순간 우리는 질량중심을 향하여 자유낙하 한다.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가 알고 있다. 당연한 이 사실을 의도적으로 생각하고 또 생각해 보시라. 하루 동안 이 생각을 뇌에 가득하게 품어보라. 이 언급에 반하는 것들을 찾아보라. 예외없음을 발견하시리라.


 


이런 생각을 지속하면서 우리 앞에 전개되는 사물들을 원자의 집합체라는 관점으로 집요하게 살펴보자. 많은 것들이 확연해진다. 그러한 확연함은 순간 우리를 경이감에 전율케 한다.






암흑물질은 원자가 아닌 우리가 아직 모르는 어떤 것일 가능성이 높다.


지난 수년간 암흑물질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것이 사실로 실증될 때 우리는 다시금 놀라게 될 것이다. 그 놀라움 정도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 자연현상을 얼마나 광범위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체감함에 비례한다.


 


1920년 이전에는 전 인류가 우주에는 태양이 속한 우리 갤럭시(은하수)하나 뿐일 줄 알았다. 그러나 지금은 천 억 개 이상의 은하가 존재한다. 이제는 그 숫자가 무한히 많다고 해도 별로 놀라지 않을 것이다.





 


경이감은 일상적 생각들을 해체 시킨다. 일상의 전경이 사라지면 의식되지 않았던 배경이 그 숨길 수 없는 존재를 드러낸다. 피할 길 없는 시선이 이젠 항상 숨길 수 없는 신비함을 마주하리라.





  • ?
    송나리 2007.12.12 01:39
    끝 자락 무언가 걸린 느낌... 놓치지 않는 세심함을 배우고 싶습니다.
    의도적인 관심과 생각을 통해 그것에 대한 확연함을 심어 주는 그때를 희망하며 저도 이러한 글로 표현할 수 있게 되기를...
  • ?
    이상수 2007.12.12 01:39
    어쩌면 배경이 주메인인데 항상 그것을 잊고 사는 것 같습니다. 드러난 것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학습되었기 때문인것도 같습니다. 의식은 무의식의 전경이고 지구에 사는 우리로서는 지구가 전경이 되고 우주가 배경이 될것인데 항상 갇혀 있는 생각을 갖고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너무 크기 때문에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무심히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됩니다.
  • ?
    임성혁 2007.12.12 01:39
    대화 도중 친구 하나가 이런 말을 하더군요.과학으로 모든 비밀이 다 풀린다면 우리가 동경하는 신비로운 것이 다 없어지는 것이 아느냐고요.자연과학이 벋겨주는 우주의 신비에 경이로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의 참 안타까운 고민이었습니다.인간의 고유 감각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우주의 비밀들이 하나씩 밝혀지는 것, 그 자체가 신비인데 말이지요.
  • ?
    이정원 2007.12.12 01:39
    질문은 일상적으로 지녀야 하는 것.
  • ?
    임석희 2007.12.12 01:39
    문득 궁금해지는데,
    우주의 질량 중심은 무엇이고, 어디에 있는 걸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4 공지 [제 151회 정기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논어의 자치학-강형기 교수님 15 윤진희 2008.10.21 2038
1323 공지 [제 150회 정기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신의 입자를 찾아서 -이종필 박사(고등과학원)- 6 류우정 2008.09.26 1941
1322 공지 [제 148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그림같은 세상- 황경신 2 윤보미 2008.08.28 1703
1321 공지 [제 146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진중권 교수 "이미지의 생성과 변화, 디지털시대의 이미지" 13 강보라미 2008.07.28 1911
1320 공지 [제 145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안여종이 들려주는 "대전 이야기" 4 류우정 2008.07.10 1877
1319 공지 [제 144회 독서 토론회]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관장과 함께 한 "페미니즘 미술사" 3 류우정 2008.06.27 1943
1318 공지 [정현종]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낭송 백은정) 5 전재영 2008.10.29 1841
1317 [정정] 번개 8/26(일) 미리하는 계족산 산책 시간 변경 임석희 2012.08.25 1867
1316 공지 [정보]천곡동굴, 환선동굴, 무릉계곡 문경목 2007.11.24 1826
1315 공지 [정보]5년 뒤 이런 직업이 뜬다. 1 강신철 2008.07.15 1601
1314 공지 [정보] 교육부 "문진(問津) -학제간 융합- 포럼 운영″ 2 file 현영석 2008.07.29 1445
1313 공지 [전재] 이종상화백 독도그림 일본 전시 무산 4 현영석 2008.07.31 1700
1312 [전재] 뇌과학과 경영의 만남 1 file 현영석 2010.01.22 2154
1311 홍보 [저자 강연] 양생과 치유의 인문의학 동의보감 file 작은길 2017.04.17 97
1310 공지 [재공지] 11월 산행-정상에서 "비젼"보기(11/4, 10시) 이진석 2007.11.03 1720
1309 [장소변경]오늘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있습니다. 김양겸 2009.08.28 1536
1308 [잘 나가는 창조적 인재들, 이 강연 ‘꼭’ 듣는다]; [한의학e야기], 카버 스토리 - 이정모 2012.10.06 1827
1307 공지 [자연과학예찬] 더 이상 무엇이 필요한가? 4 임성혁 2008.02.19 1239
1306 [일상미학] 2013일상미학강좌 <손의 문화_호모 파베르의 귀환> 소개합니다! file 김지연 2013.08.28 1494
1305 모임후기 [일산백북스] 2018년 8월 나눈책은 김준태님의 [탁월한 조정자들-교보문고] 입니다. croissant 2018.08.28 1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