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2.12 01:39

배경이 전경이 될 때

조회 수 142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책을 읽다가 단순한 문장을 만난다. 처음에 당연해 보인다. 느낌 끝 자락에 무언가 걸린 듯하다. 다시 읽는다. 아! 그렇게 볼 수 있겠구나. 그런 문장은 몇 일간 기억속을 맴돌면서 사라지지 않는다.


 


기억에 희미해지기 보다는 오히려 초점이 모아지고  증폭되기 시작한다. 그 문장이 몸 동작에 묻어난다. 느낌이 한 가지 색조와 울림으로 오롯해진다. 이때부터 주위 사물이 말을 걸어오기 시작한다.





“중력은 우리가 중력에 저항하지 않으면 결코 중력을 느낄 수 없다.”


지구표면에서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중력에 저항한다. 산책하거나 의지에 앉거나 침대에 눕거나 할 때 지구와 내 몸 사이의 중력에 저항하고 있는 힘이 바로  전자기적 힘이다.


 


눈에 보이는 사물의 입체적 모습은 모두가 전자기력의 작용이다. 중력에 버티는 전자기력이 제거 되는 순간 우리는 질량중심을 향하여 자유낙하 한다.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가 알고 있다. 당연한 이 사실을 의도적으로 생각하고 또 생각해 보시라. 하루 동안 이 생각을 뇌에 가득하게 품어보라. 이 언급에 반하는 것들을 찾아보라. 예외없음을 발견하시리라.


 


이런 생각을 지속하면서 우리 앞에 전개되는 사물들을 원자의 집합체라는 관점으로 집요하게 살펴보자. 많은 것들이 확연해진다. 그러한 확연함은 순간 우리를 경이감에 전율케 한다.






암흑물질은 원자가 아닌 우리가 아직 모르는 어떤 것일 가능성이 높다.


지난 수년간 암흑물질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것이 사실로 실증될 때 우리는 다시금 놀라게 될 것이다. 그 놀라움 정도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 자연현상을 얼마나 광범위하게 잘 설명하고 있는지를 체감함에 비례한다.


 


1920년 이전에는 전 인류가 우주에는 태양이 속한 우리 갤럭시(은하수)하나 뿐일 줄 알았다. 그러나 지금은 천 억 개 이상의 은하가 존재한다. 이제는 그 숫자가 무한히 많다고 해도 별로 놀라지 않을 것이다.





 


경이감은 일상적 생각들을 해체 시킨다. 일상의 전경이 사라지면 의식되지 않았던 배경이 그 숨길 수 없는 존재를 드러낸다. 피할 길 없는 시선이 이젠 항상 숨길 수 없는 신비함을 마주하리라.





  • ?
    송나리 2007.12.12 01:39
    끝 자락 무언가 걸린 느낌... 놓치지 않는 세심함을 배우고 싶습니다.
    의도적인 관심과 생각을 통해 그것에 대한 확연함을 심어 주는 그때를 희망하며 저도 이러한 글로 표현할 수 있게 되기를...
  • ?
    이상수 2007.12.12 01:39
    어쩌면 배경이 주메인인데 항상 그것을 잊고 사는 것 같습니다. 드러난 것에 초점이 맞춰지도록 학습되었기 때문인것도 같습니다. 의식은 무의식의 전경이고 지구에 사는 우리로서는 지구가 전경이 되고 우주가 배경이 될것인데 항상 갇혀 있는 생각을 갖고 살고 있는 것 같습니다. 너무 크기 때문에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무심히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됩니다.
  • ?
    임성혁 2007.12.12 01:39
    대화 도중 친구 하나가 이런 말을 하더군요.과학으로 모든 비밀이 다 풀린다면 우리가 동경하는 신비로운 것이 다 없어지는 것이 아느냐고요.자연과학이 벋겨주는 우주의 신비에 경이로움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의 참 안타까운 고민이었습니다.인간의 고유 감각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우주의 비밀들이 하나씩 밝혀지는 것, 그 자체가 신비인데 말이지요.
  • ?
    이정원 2007.12.12 01:39
    질문은 일상적으로 지녀야 하는 것.
  • ?
    임석희 2007.12.12 01:39
    문득 궁금해지는데,
    우주의 질량 중심은 무엇이고, 어디에 있는 걸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64 공지 저기요~ 주윤성 2002.07.04 4240
663 공지 저는 지금 홍보활동중^^; 홍혜림 2002.07.02 4580
662 저도 가입인사드립니다.. 3 이준규 2009.12.17 3613
661 저도 뇌과학 모임 후기^^ 2 한정규 2009.11.08 1835
660 공지 저도 뇌에 관해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요.. 이동규 2005.05.30 1914
659 공지 저도 송년회 사진 올려봅니다. ^^ 4 오창석 2008.12.29 1770
658 공지 저도 조금 늦었지만 독서 여행에 대한 감사를... 1 송윤석 2008.11.13 1366
657 공지 저도 참여하고 싶어요 2 이하정 2008.05.13 1595
656 공지 저도 한마디 윤석련 2003.07.03 2119
655 공지 저도 회원이 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유수연 2002.07.30 3514
654 공지 저도 회원이 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될까요? 홍승철 2002.07.28 3595
653 공지 저랑 같이 참여하시죠....^^ 송윤호 2002.06.26 6344
652 저무는 해를 바라보며.... 12 홍종연 2011.01.01 1634
651 공지 저자와의 만남...근본적인 깨달음 2 윤석련 2003.03.22 2315
650 공지 저질도서가 난무하는 어린이 책 이동선 2002.07.10 3823
649 공지 저희 집에 놀러 오십시오 10 김용전 2007.11.04 1660
648 저희집 서재 벽에 걸려있는 큰 액자^^ 1 file 엄준호 2012.03.24 1521
647 공지 전 바본가 봅니다.ㅡㅡ;; 3 김성엽 2009.02.25 1692
646 공지 전국민 책읽기 운동 펼치는 도정일 교수 2 문경수 2007.10.05 2139
645 전국의 100북스회원님들은 서강대로 1 박용태 2010.03.26 19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