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2.04 03:55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조회 수 1419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읽은 책들의 공통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가 "믿음"이라는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 그렇고, 루이스 월퍼트의 '믿음 엔진'이 그렇다. 그 밖에도 생명공학, 심리학 관련 서적들 등, 특히 종교관련 서적들이 공통적으로 '믿음'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쓰여진 책들이다. 

 우리 인간은 무언가 믿고 싶어하는 성향이 있고, 그것은 어찌보면 생명체로서 다양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한 방편이고 우리 삶의 일부이다. 우리가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신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사건과 물체 등이 있겠지만, 여기서는 논의의 대상을 인간관계에 국한시키고자 한다.

 인간관계의 대부분은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 믿음이 깨어지면 배신감을 느끼고 인간성에 대해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인간은 만나는 순간부터 믿음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그것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우리는 사람에 대해 믿음을 쌓아간다. 가족들간의 믿음, 직장 동료들과의 믿음, 친구와의 믿음, 애인과의 믿음, 스승과 제자간의 믿음...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믿음의 종류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순진할수록, 사회경험이 부족할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이러한 인간관계에 대한 믿음의 강도는 높은 것 같다. 남을 잘 믿는 사람을 우리는 보통 '순수'하다고 한다. 순수하다는 말은 어리석다는 말하고도 통한다. 대개 이 순수한 부류의 사람들은 무턱대고 남들을 믿었다가 배신당하고 손해보는 한이 있어도 일단 사람을 잘 믿는다. 나도 남을 잘 믿는 부류에 속한다. 그런데 이 믿음 속에는 기대심리가 들어있다. 믿어 준 댓가로 뭔가를 기대하는 것이다.

 믿음에는 관성이 있어서 쉽게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일단 어떤 사람에 대한 믿음이 쌓이면 그 사람이 어떤 비난을 받을 짓을 하더라도 쉽게 믿음을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직접 그 믿음에 반하는 경험을 해야 비로소 믿음을 거두어들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믿음의 관성은 나하고 직접 관련도 없는 사회적 인사에 대한 믿음에서도 나타난다. 요즈음 이모 대통령 후보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믿음도 온갖 네거티브에도 불구하고 식을 줄을 모른다. 자신의 이해관계에 직접 연관이 적을수록 이 믿음의 관성은 강하게 나타나는 것 같다.

 언제부터인가 나는 다른 사람을 쉽게 믿기는 해도 기대는 하지 않는 버릇이 생겼다. 믿었다가 배신을 당하더라도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 상할 일도 없고, 또 기대를 크게 하지 않으니 믿었다가 손해볼 일이 생겨도 그리 치명적이지 않아서 쉽게 지나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사람들을 모두 불신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사람들의 진심을 믿어 주되 그 믿음에 대한 댓가로 아무것도 기대를 하지 않을 뿐, 사람을 믿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달리 말하면, 타인에 대한 믿음에 상응하여 사랑이든 우정이든 재물이든 내가 줄 수 있는 만큼 주고 아무런 댓가를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살면서부터 세상사람들이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도 마음을 상하지 않게 되고, 배신감을 느끼는 횟수가 대폭 줄어든 것 같다. 기대하지 않는만큼 마음이 편해진 것이다.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한번 해볼만한 게임이 아닌가?
  • ?
    이명희 2007.12.04 03:55
    예, 맞는 말인 것 같습니다.
    계산적인 눈으로 보면 바보같은 짓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아마도 행복해지는 첩경인 듯 합니다.
    바라지 않으면 단순해지고 소박해지며 .... 등등
    아마도 저절로 행복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너무 좋은 말씀입니다.
    주되 준 줄을 모르고, 하되 한 줄을 모르고, 그냥 그렇게 하라!
  • ?
    임성혁 2007.12.04 03:55
    이것 역시 있는걸 있는 그대로...마음 속으로 주관적으로 키우지 말고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볼 줄 아는 것은 참 중요한듯 합니다.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 ?
    이나영 2007.12.04 03:55
    교수님 말씀에 공감백배 입니다. ^^ 그런데 기대하지 말자고 숱하게 다짐을 해도 가끔은 안될 때가 있어요. 매번 다치면서도 저도 모르게 자꾸만 기대하게 되는거 있죠. 아~ 저도 이제는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는 게임에 참여해 봐야겠습니당.
  • ?
    이상수 2007.12.04 03:55
    "사랑은 찬란한 오해에 편승한 착각" 이라는 법정 스님의 <무소유>에서 읽었던 말이 생각납니다. 원래 그 사람은 그 사람일 뿐인데 혼자 착각하고 나선 나중에 그럴줄 몰랐다느니 하는 말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냥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고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愛人者 人恒愛之
    敬人者 人恒敬之

    그냥 사랑하면 서로 사랑하는 사회가 될것 같습니다.
  • ?
    문경목 2007.12.04 03:55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주는 것. 그게 바로 사랑. 아주 좋은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4 [인체기행]뇌를 알고 가르치자..네이버기사 서지미 2009.04.09 1766
1303 [인지과학으로 여는 21세기] 3회 세미나 안내-/2010/12/11/토/10:30/ 서울대 file 이정모 2010.12.09 1461
1302 [인문학강좌] 우리는 이미지로부터 무엇을 원하는가 백다현 2011.01.31 1606
1301 [인권연대]2019 기획강좌 "세상을 바꾸는 힘, 교육" file 인권연대! 2019.09.20 291
1300 [이정원의 문화산책]베네치아서 만난 '성모의 승천' 4 최병관 2013.03.07 1732
1299 공지 [이보디보] 과학의 아름다움.... 1 이진석 2007.08.25 1347
1298 공지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 물리학상의 `우주배경복사` 문경수 2006.10.25 1952
1297 공지 [의학]인체기행..식도,9초면 통과한다 서지미 2009.03.23 2133
1296 공지 [의견수렴] 백북스 회칙(가안) 6 강신철 2009.02.02 2170
1295 공지 [의견] 대전/대덕이 과학기술과 사회정치변화의 근원지이다. 2 현영석 2003.04.19 2395
1294 공지 [음악] 하인리히 쉬츠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 2 file 이정원 2007.12.29 1947
1293 공지 [음악] 중요한 서른여덟개의 피아노협주곡 1 이정원 2008.04.15 1414
1292 [우주축제] 백북스부스 현장 사진 -1 12 윤보미 2009.10.14 2093
1291 공지 [요청]다큐멘터리 총,균,쇠 2 김홍섭 2007.10.04 1513
1290 [오마이뉴스-휴머니스트 공동 특별강좌] 다시, 민주주의를 말한다 김창규 2009.11.17 2116
1289 [오늘밤10시_KBS1] 과학스페셜 "사이언스오디세이 - 외계생명체" 5 문경수 2013.01.10 2078
1288 공지 [오늘] 독서클럽 산행 실시 합니다.! 2 문경수 2007.08.19 10181
1287 [역자특강]켄윌버의 ILP (2014.3.4.(화) 오후 7시~10시, ㈜학지사 강의실, 서교동) 1 한국정신과학학회 2014.02.28 1720
1286 공지 [여행] 캐년랜즈 3 2 이정원 2007.10.18 1806
1285 공지 [여행] 캐년랜즈 2 3 이정원 2007.10.17 19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