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2.04 03:55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조회 수 1419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읽은 책들의 공통적인 주제 가운데 하나가 "믿음"이라는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이 그렇고, 루이스 월퍼트의 '믿음 엔진'이 그렇다. 그 밖에도 생명공학, 심리학 관련 서적들 등, 특히 종교관련 서적들이 공통적으로 '믿음'이라는 단어를 중심으로 쓰여진 책들이다. 

 우리 인간은 무언가 믿고 싶어하는 성향이 있고, 그것은 어찌보면 생명체로서 다양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한 방편이고 우리 삶의 일부이다. 우리가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신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사건과 물체 등이 있겠지만, 여기서는 논의의 대상을 인간관계에 국한시키고자 한다.

 인간관계의 대부분은 믿음을 전제로 한다. 그 믿음이 깨어지면 배신감을 느끼고 인간성에 대해 회의를 느끼게 된다. 인간은 만나는 순간부터 믿음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그것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우리는 사람에 대해 믿음을 쌓아간다. 가족들간의 믿음, 직장 동료들과의 믿음, 친구와의 믿음, 애인과의 믿음, 스승과 제자간의 믿음...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믿음의 종류는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순진할수록, 사회경험이 부족할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이러한 인간관계에 대한 믿음의 강도는 높은 것 같다. 남을 잘 믿는 사람을 우리는 보통 '순수'하다고 한다. 순수하다는 말은 어리석다는 말하고도 통한다. 대개 이 순수한 부류의 사람들은 무턱대고 남들을 믿었다가 배신당하고 손해보는 한이 있어도 일단 사람을 잘 믿는다. 나도 남을 잘 믿는 부류에 속한다. 그런데 이 믿음 속에는 기대심리가 들어있다. 믿어 준 댓가로 뭔가를 기대하는 것이다.

 믿음에는 관성이 있어서 쉽게 방향이 바뀌지 않는다.  일단 어떤 사람에 대한 믿음이 쌓이면 그 사람이 어떤 비난을 받을 짓을 하더라도 쉽게 믿음을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직접 그 믿음에 반하는 경험을 해야 비로소 믿음을 거두어들이기 시작한다. 이러한 믿음의 관성은 나하고 직접 관련도 없는 사회적 인사에 대한 믿음에서도 나타난다. 요즈음 이모 대통령 후보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믿음도 온갖 네거티브에도 불구하고 식을 줄을 모른다. 자신의 이해관계에 직접 연관이 적을수록 이 믿음의 관성은 강하게 나타나는 것 같다.

 언제부터인가 나는 다른 사람을 쉽게 믿기는 해도 기대는 하지 않는 버릇이 생겼다. 믿었다가 배신을 당하더라도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마음 상할 일도 없고, 또 기대를 크게 하지 않으니 믿었다가 손해볼 일이 생겨도 그리 치명적이지 않아서 쉽게 지나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렇다고 사람들을 모두 불신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사람들의 진심을 믿어 주되 그 믿음에 대한 댓가로 아무것도 기대를 하지 않을 뿐, 사람을 믿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달리 말하면, 타인에 대한 믿음에 상응하여 사랑이든 우정이든 재물이든 내가 줄 수 있는 만큼 주고 아무런 댓가를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게 살면서부터 세상사람들이 실망스러운 모습을 보여도 마음을 상하지 않게 되고, 배신감을 느끼는 횟수가 대폭 줄어든 것 같다. 기대하지 않는만큼 마음이 편해진 것이다.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한번 해볼만한 게임이 아닌가?
  • ?
    이명희 2007.12.04 03:55
    예, 맞는 말인 것 같습니다.
    계산적인 눈으로 보면 바보같은 짓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아마도 행복해지는 첩경인 듯 합니다.
    바라지 않으면 단순해지고 소박해지며 .... 등등
    아마도 저절로 행복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너무 좋은 말씀입니다.
    주되 준 줄을 모르고, 하되 한 줄을 모르고, 그냥 그렇게 하라!
  • ?
    임성혁 2007.12.04 03:55
    이것 역시 있는걸 있는 그대로...마음 속으로 주관적으로 키우지 말고 있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볼 줄 아는 것은 참 중요한듯 합니다.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 ?
    이나영 2007.12.04 03:55
    교수님 말씀에 공감백배 입니다. ^^ 그런데 기대하지 말자고 숱하게 다짐을 해도 가끔은 안될 때가 있어요. 매번 다치면서도 저도 모르게 자꾸만 기대하게 되는거 있죠. 아~ 저도 이제는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는 게임에 참여해 봐야겠습니당.
  • ?
    이상수 2007.12.04 03:55
    "사랑은 찬란한 오해에 편승한 착각" 이라는 법정 스님의 <무소유>에서 읽었던 말이 생각납니다. 원래 그 사람은 그 사람일 뿐인데 혼자 착각하고 나선 나중에 그럴줄 몰랐다느니 하는 말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냥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고 사랑하는 마음을 키우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愛人者 人恒愛之
    敬人者 人恒敬之

    그냥 사랑하면 서로 사랑하는 사회가 될것 같습니다.
  • ?
    문경목 2007.12.04 03:55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주는 것. 그게 바로 사랑. 아주 좋은 얘기라고 생각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84 공지 joy 7 강장미 2008.09.23 1414
3683 공지 [프로젝트 써!] 게시물 분류 작업 완료 보고 3 이정원 2008.03.14 1416
3682 공지 위대한 역사의 감흥에 빠져보시지요(아테네에서 100북스까지) 2 전재영 2008.04.13 1417
3681 공지 대전시향콘서트(백건우 협연) 100books회원 찰칵찰칵 11 문경목 2008.04.19 1417
3680 공지 감각계발을 통한 두뇌혁명 정우혁 2008.10.18 1417
3679 공지 [135회 독서토론회]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현장 스케치 2 문경목 2008.02.23 1417
3678 공지 [공지]147회 독서토론회 오늘 입니다.(08.12) 김홍섭 2008.08.12 1418
3677 [뉴스] 비둘기, 먹이 줄 사람 알아본다 변정구 2011.06.25 1418
» 공지 아무것도 기대하지 마라 5 강신철 2007.12.04 1419
3675 공지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승건 2008.05.11 1419
3674 공지 다음 100books 모임 날짜는 7월 24일 (목요일)입니다. 박문호 2008.07.11 1420
3673 공지 가입 인사드립니다 4 윤치영 2008.11.20 1420
3672 공지 [스피노자의 뇌] 독서토론을 예약합니다. 4 이진석 2007.11.06 1421
3671 공지 집으로 가는 길. 6 임석희 2008.01.30 1421
3670 공지 [추천]대전시민이 함께 읽을 책 1 강신철 2008.09.17 1421
3669 공지 가입인사 여기에 쓰는 것 맞나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5 조경은 2008.10.11 1421
3668 Non-rocket spacelaunch 박경호 2011.03.17 1421
3667 공지 131회 독서 토론회 현장 스케치 1 박혜영 2007.12.25 1422
3666 공지 2007 과학기술뉴스 TOP 10 2 임성혁 2007.12.20 1423
3665 6월을 기다리며... 4 임석희 2012.05.21 14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