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82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천곡동굴>


 




 


위 치 : 강원 동해시 천곡동 1004


 


개 요 : 동해시 천곡천연동굴은 총길이 1,400m의 석회암 수평동굴로서 생성시기는 4 - 5억년 전으로 추정되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시내 중심부에 자리잡고 있다. 국내 최장의 천정용식구, 커튼형 종유석, 석회화단구, 종유폭포 등과 희귀석들이 한데 어우러져 학술적 가치와 함께 태고의 신비함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내부는 종유석, 석순, 석주 등 20여 종이 2차 생성물로 구성되어 있어 지구과학에 대한 자연학습장으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또한 우주의 탄생과 동굴의 생성과정 등 동굴의 생태계 전반에 관한 이해를 돕고,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시관과 영상실이 설치되어 있다.


 







 


 







 



 


 


<환선동굴>


 




 


위 치 : 강원 삼척시 신기면 대이리 산 117



지정현황 : 천연기념물 제 178호 / 1966년 6월 15일 지정


 

개 요 :


  대이리 동굴지대는 환선굴, 관음굴, 양터목세굴, 덕밭세굴, 제암풍혈, 큰재세굴 등 6개의 동굴이 분포하며 천연기념물 제178호 지정되어 있다. 이 가운데 1996년에 환선굴 내부 개발을 추진하여 석회동굴인 환선굴을 일반인에게 공개하게 되었다.


  환선굴은 동굴 내부뿐만 아니라 덕항산, 촛대봉, 지극산, 몰미산 등으로 둘러싸여 수려한 산악 경관을 이룰 뿐만 아니라 굴피집, 너와집, 통방아등 민속자료가 풍부하여 주변 일대를 대이리군립공원으로 지정하여 각종 편의시설을 개발하고 있다.


  환선굴은 총연장 6.2km로 추정되는 동양 최대의 석회동굴로 해발 500m 지점의 산중턱에 위치하고 있으며, 폭 14m, 높이 10m의 아치형 동구(洞口)를 통해 다량의 동굴수가 유출 되고 있다. 환선굴 내부는 국내의 다른 석회동굴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종유석은 물론 여러 단계로 형성된 2차 생성물들이 집적되어 있어 동굴의 생성, 성장, 퇴화의 과정을 관찰할 수 있다. 특히 중앙광장의 옥좌대와 동굴 입구의 만리장성 그리고 도깨비 방망이는 버섯형 종유폭포는 세계 어느 동굴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환선굴만의 자랑이다.


  또한 환선굴내에는 10여개의 크고 작은 동굴호수와 6개의 폭포가 분포하고 있어 통로를 따라 걷다보면 마치 지하계곡을 탐방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특이하게도 환선굴은 바닥의 대부분이 종유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직경 40m의 거대한 중앙광장은 수만명의 인원을 일시에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백사장이 펼쳐져 있다.


  환선굴의 주 통로는 직경 15m이상의 공간을 유지하고 있어 그 웅장함은 다른 동굴과 비교할 수 조차 없을 정도이며 천정에는 무수한 종유석군이 매달려 있고 용식구와 용식공이 대규모로 발달되어 있고 곳곳에 천정으로부터 떨어지는 낙수가 신비로움을 더해준다.


  환선굴은 연중 11℃의 기온을 유지하고 있으며, 천정과 벽면을 통해 스며드는 물방울의 양으로 사계절이 뚜렷하게 구분되며 천정과 벽면의 물방울은 쉽사리 떨어지지 않고 영롱한 빛을 발하여 금광을 방불케 한다.


  환선굴내에는 관박쥐, 노래기, 꼽등이, 꼬리치레도룡뇽, 소백옆새우, 플라나리아 등 24종의 동굴 생물이 서식하고 있는데 이들 중 박쥐, 도룡뇽, 노래기, 곱등이는 개방구간에서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규 모 - 총연장 6.2㎞ / 개방구간 1.6㎞


입구 폭 14m / 높이 10m, 내부 20~100m / 높이 20~30m


기온 10℃ ~ 15℃


 




                                  


                                              환선굴 내부의 옥좌대


 


* 환선굴의 유래와 전설


  먼 옛날 대이리 마을의 촛대바위 근처에 폭포와 소가 있어 아름다운 한 여인이 나타나, 목욕을 하곤 했다. 어느 날 마을 사람들이 쫓아가자 지금의 환선굴 부근에서 천둥 번개와 함께 커다란 바위더미들이 쏟아져 나오고 여인은 자취를 감추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이 여인을 선녀가 환생한 것이라 하여, 바위가 쏟아져 나온 곳을 환선굴이라 이름 짓고 제를 올려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게 되었다. 여인이 사라진 후 촛대바위 근처의 폭포는 물이 마르고 환선굴에서 물이 넘쳐나와 선녀폭포를 이루었다.


  쏟아져 나온 바위는 지금의 환선굴 가는 길목에 남아있고 바위더미 위에는 산신당이 지어져 있다. 또한 한 스님이 도를 닦기 위해 환선굴로 들어갔으나 되돌아 나오는 것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며 사람들은 이 스님 또한 환선이라 하였다. 스님이 짚고 왔던 지팡이를 산신당 앞에 꽂아 두었는데 지금의 엄나무가 바로 그것이라고 전해지며 환선굴 내에는 스님이 기거하던 온돌터와 아궁이가 고스란히 남아있다.


 




 


                                      옥좌대를 구경하는 사람들


 


 


<무릉계곡>


 




 


위 치 : 강원 동해시 삼화동



 

개 요 :


  두타산과 청옥산을 배경으로 형성된 무릉계곡은 호암소로부터 시작하여 약 4km 상류 용추폭포가 있는 곳까지를 말한다. 넓은 바위 바닥과 바위 사이를 흘러서 모인 넓은 연못이 볼만한 무릉계곡은 수백명이 앉을만한 무릉반석을 시작으로 계곡미가 두드러지며 삼화사, 학소대, 옥류동, 선녀탕 등을 지나 쌍폭, 용추폭포에 이르기까지 숨막히게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진다.


  일명 무릉도원이라 불리우는 이 곳은 고려 시대에 동안거사 이승휴가 살면서 『제왕운기』를 저술하였고, 조선 선조 때 삼척부사 김효원이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기암괴석이 즐비하게 절경을 이루고 있어 마치 선경에 도달한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조선전기 4대 명필가의 한 분인 봉래 양사언의 석각과 매월당 김시습을 비롯하여 수 많은 시인묵객들의 시가 1,500여평의 무릉반석에 새겨있다.


 



 


<자료출처 : www.visitkorea.or.kr>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24 공지 [제 151회 정기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논어의 자치학-강형기 교수님 15 윤진희 2008.10.21 2038
1323 공지 [제 150회 정기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신의 입자를 찾아서 -이종필 박사(고등과학원)- 6 류우정 2008.09.26 1941
1322 공지 [제 148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그림같은 세상- 황경신 2 윤보미 2008.08.28 1704
1321 공지 [제 146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진중권 교수 "이미지의 생성과 변화, 디지털시대의 이미지" 13 강보라미 2008.07.28 1911
1320 공지 [제 145회 독서 토론회 현장스케치] 안여종이 들려주는 "대전 이야기" 4 류우정 2008.07.10 1878
1319 공지 [제 144회 독서 토론회]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관장과 함께 한 "페미니즘 미술사" 3 류우정 2008.06.27 1943
1318 공지 [정현종]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낭송 백은정) 5 전재영 2008.10.29 1842
1317 [정정] 번개 8/26(일) 미리하는 계족산 산책 시간 변경 임석희 2012.08.25 1867
» 공지 [정보]천곡동굴, 환선동굴, 무릉계곡 문경목 2007.11.24 1826
1315 공지 [정보]5년 뒤 이런 직업이 뜬다. 1 강신철 2008.07.15 1601
1314 공지 [정보] 교육부 "문진(問津) -학제간 융합- 포럼 운영″ 2 file 현영석 2008.07.29 1445
1313 공지 [전재] 이종상화백 독도그림 일본 전시 무산 4 현영석 2008.07.31 1700
1312 [전재] 뇌과학과 경영의 만남 1 file 현영석 2010.01.22 2154
1311 홍보 [저자 강연] 양생과 치유의 인문의학 동의보감 file 작은길 2017.04.17 100
1310 공지 [재공지] 11월 산행-정상에서 "비젼"보기(11/4, 10시) 이진석 2007.11.03 1720
1309 [장소변경]오늘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있습니다. 김양겸 2009.08.28 1536
1308 [잘 나가는 창조적 인재들, 이 강연 ‘꼭’ 듣는다]; [한의학e야기], 카버 스토리 - 이정모 2012.10.06 1827
1307 공지 [자연과학예찬] 더 이상 무엇이 필요한가? 4 임성혁 2008.02.19 1247
1306 [일상미학] 2013일상미학강좌 <손의 문화_호모 파베르의 귀환> 소개합니다! file 김지연 2013.08.28 1494
1305 모임후기 [일산백북스] 2018년 8월 나눈책은 김준태님의 [탁월한 조정자들-교보문고] 입니다. croissant 2018.08.28 2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