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1.20 07:24

별세계에 빠지다.

조회 수 1486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초등학생 시절, 학교에서 단체로 갔던 모 과학관에는 거대한 별자리 교육용 돔이 있었죠. 왜, 천정이 거대한 반구형 스크린으로 되어 있고 학생 떼가 둘러앉은 후 이윽고 불을 끄면 영상으로 다닥다닥 박힌 수많은 별들을 쏘아 주는.. 그것. 당시 어렸던 제가 그것을 보고 느꼈던 첫 감상이 뭐였던 줄 아십니까?

'흥, 저렇게 별이 많이 보인다고? 뻥치네.' 

^^;;;;;

네, 저는 그다지 순수하지 않았던 학생이었던 겁니다..먼 옛날 공기가 깨끗했던 시절에야 어땠을지 모르겠지만, 아니 백 보 양보해서 문명이 발달하지 않은 어느 낙후된 지역은 저 별의 반쯤은 보일지도 모르지만.. 내가 맨날 올려다 보는 대한민국의 하늘에 기껏해야 별은 스무 개 남짓.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살아 왔습니다. 그 이상의 별 볼 일 없다.. 뭐 그런 다소 시니컬한 자세였지요. 그런데, 그게 아니었던 겁니다. 저는 그제, 제가 '이만큼은 보이겠지'라고 상상했던 것의 딱 두 배쯤 되는 양의 별들을 보고 왔습니다. 내 눈으로 보이는 것만 믿겠다.. 그게 얼마나 오만한 자세였는지요.

 




제가 엊그제 처음으로 다녀온 독서산방이란 곳은, '내가 매일매일 같은 하늘을 이고 살아 왔던 것이 맞는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될 정도로 충격적으로 많은 별이 존재하는 곳이었습니다. 사방이 프라이팬의 테두리마냥 야트막한 산으로 둥글게 둘러싸여, 지상의 빛으로부터 확실하게 차단된 그 곳은 그야말로 촘촘한 별빛에 매혹되기에는 천혜의 조건을 갖춘 곳이었습니다. '하늘이 열렸다'고 표현하시더군요. 구름 한 점 없이 그처럼 많은 것들을 아낌없이 보여주는 것이, 매일 있는 당연한 모습은 아니었던가 봅니다. 서울에서 모진 비를 맞으며 여러 시간 달려간 정성을, 하늘이 굽어살피신 모양입니다. ^^

 




저희 서울팀이 상당히 늦게 도착해 버린지라 거의 두 시간 가까이 강의가 지연되어 버리는 불상사가 있었습니다. 사실 당연히 먼저 시작하실 줄 알았는데, 먼 동네에서 오는 처음 오는 회원(접니다 ^^;)을 위해서 특별히 끈기있게 기다려 주셨다는 말씀을 듣고 몸둘 바를 몰랐다지요.. 여러분들의 따스한 마음 잊지 않겠습니다.

 




드디어 소문난 명강의, 박문호 박사님의 강연이 시작되었는데..

이를 어찌하면 좋습니까 거의 알아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제가 무식하다는 것은 익히 알고 있었고, 애초에 흐름만 잡아내고 뼈대만 추려 내면 되는 거지..라고 가볍게 생각하며 참석했습니다만 천문학에 상당한 조예를 이미 갖추신 분들이 많이 계셨고.. 수준의 격차가 하도 심하야 어찌할 수 없었습니다. 박사님께서는 한 컵의 모래를 퍼담아 주셨는데, 그 중에서 네댓 알 정도 손바닥에 쥐었을 것 같다는 것이 솔직하려나요.. 중간중간 보여 주시는 어여쁜 영상들이 자괴감에 빠진 저를 위로했습니다. 그 중에서 여러 색깔의 보석같던 형형색색의 별들을 한 페이지에 모아 둔 사진과, 펑펑 폭발하듯 이글거리는 태양의 동영상이 특히 기억에 남더군요. 그 밖의 여러 가지 단편적으로 이해한 지식들과 함께..(중력은 무자비하다! 는 것은 확실히 기억합니다 박사님..)

 




이론에서 참패를 당한 저와 같은 사람은 실전에서 감동을 대대적으로 맛봐 주어야 합니다. 네, 별이 풍부하게 흩뿌려진 하늘이 저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었습니다. 그래, 난 별 보러 왔지. 이론이야 까짓 거 나중에 채우면 되는 거지..시력이 안 따랐지만 눈에 힘을 힘을 주면서 어떻게든 하나라도 더 보려고 용을 썼습니다.

 




그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토성과 금성이었습니다. 금성도 일식(월식?)현상이 나타난다는 것도 처음 알았고, 그 반달 모양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것이 꼭 보석 같아서 너무나 예뻤습니다. 토성은 그야말로 무슨 애기 반지같더군요! 사진이나 그림에서는 항상 엄청 크게 표현되어서 그런지 좀 투박한 느낌을 갖고 있었는데, 파인더 속에 있는 그것은 어찌나 앙증맞던지.. 완전히 반해 버렸습니다.

 




그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 이틀이 지난 지금, 그 때 느꼈던 그 감동들이 다시는 맛보지 못할 비현실적인 환상처럼 아득하게 느껴집니다. 그 날 만나뵈었던 수많은 따스한 분들의 온정과, 박문호 박사님의 믿을 수 없을 정도의 강렬한 열정, 우리가 추울까 배고플까 끊임없이 염려하시며 보살펴 주시던 사모님의 배려, 그리고 자면서 놀면서 그냥 앉아만 오기에도 너무나 힘들었던 그 머나먼 길을 내내 잠도 못 자고 운전해 주셨던 문경수 회원님, 차 안에서 어리버리한 초보 회원을 위하여 100북스에 대한 브리핑에 수고해 주신 주현씨와 혜영씨.. 그들은 자신있게 예고하더군요. '빠져들면 헤어나지 못할 거에요.' 네, 절대 아니라고 할 수가 없겠군요..

 




이 자리를 빌어 신경써 주시고 수고해 주신 여러분들께 깊이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근데 저, 토성이 너무너무 갖고 싶은데, 어찌해야 하죠? ^^

  • ?
    이상수 2007.11.20 07:24
    처음나오셔서 힘든 일정이셨을 텐데.. 좋은 느낌을 가지고 돌아가신 것 같아 조금 먼저 활동한 사람으로서 기분이 좋아지네요. 세상에는 지평선 위 하늘의 반구가 별로 뒤덮인 곳도 있더군요.

    그나저나 혜경씨가 아니라 혜영씨 일것 같은데요. ㅋㅋㅋ
  • ?
    김민경 2007.11.20 07:24
    앗 이런 실수를 ^^ 수정합니다.
  • ?
    이정원 2007.11.20 07:24
    처음 나오셔서 힘든 일정을 소화하시고 후기까지 남겨주셨네요. ^^
  • ?
    김민경 2007.11.20 07:24
    네, 게시판에 글을 남겨 보고 싶어도 고수님들의 내공에 눌려 절대 엄두가 안 나는 수많은 위축된 초보회원들에게 자신감을 주기 위하야 ^^ 감히 용감하게 끄적였습니다..
    '무식해도 당당하게! 저런 애도 글 쓴다 용기를 내자!'버전이랄까요 ^^
  • ?
    조동환 2007.11.20 07:24
    야간 근무라 못가서 너무 아쉬웠습니다. 여러사람의 글을 보니 그날의 열기가 느껴집니다.
    참고로 가정용 플라네타리움(글 초입에 쓰신 별자리투영기)도 시중에 나와있습니다.
  • ?
    문경수 2007.11.20 07:24
    좁은 차를 장시간 타느라 고생 많았습니다. 함께 가자고 연락 주셨을 때 너무 반가웠습니다. 다음 모임에도 함께 하길 바랍니다.
  • ?
    김민경 2007.11.20 07:24
    앗 저야 그저 감사하지요 ^^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 ?
    송윤호 2007.11.20 07:24
    제가 적극 초청해놓고 정작 만나지는 못했네요 ~
    그래도 독서클럽에 빠져들고 계신 이상 ~ 자주 뵙는건 시간 문제 ~
    짧다고 하는 인생이지만 달리는 자에겐 많은 것을 안겨줄 시간들이니 ~
    앞으로 오래오래 뵙지요 ~
    고생하셨습니다. 고생한 만큼 즐거우셨다니 별님께 감사드려요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87 웹 마스터에게 박용태 2010.05.07 1840
3486 진해 사랑방'10.05.04 결과 보고<사진 첨부> 2 file 김상철 2010.05.07 2281
3485 포인트 1 박주희 2010.05.06 1693
3484 백북스 일정용 구글 캘린더 하나 만들어주시죠. 경민수 2010.05.06 1877
3483 주환이네 텃밭에서 쑥개떡을 공수해 갑니다. 17 박영재 2010.05.06 1981
3482 [참여연대]아카데미 5월 개강강좌에 초대합니다. 느티나무지기 2010.05.03 1847
3481 강신주님의 철학얘기 - 다음을 기대하게 만드네요.. 1 조명주 2010.05.03 1969
3480 공동철 이중훈 2010.05.02 2569
3479 철학 vs 철학 ; '그러니까/고로/따라서' vs '그러나/그럼에도 불구하고' 1 지석연 2010.05.02 2001
3478 철학강의 후기... 장용범 2010.05.02 1835
3477 백북스회원 평산선생(음악치료)의 공연안내 1 file 박성일 2010.05.01 1972
3476 철학vs철학 1 file 박용태 2010.05.01 1838
3475 철학강의 들으며 이렇게 행복할 수 있다니 6 문건민 2010.05.01 1940
3474 책구하기-세포라는 대우주 2 박혜진 2010.05.01 2373
3473 안녕하세요. newbie 인사드려요~ 김은주 2010.04.29 1900
3472 아름다움은 왜 진리인가 1 이중훈 2010.04.29 2172
3471 충전하러 왔어요. 1 임재용 2010.04.29 1789
3470 회원탈퇴 1 김가은 2010.04.28 2382
3469 안녕하세요 가람 입니다 5 가람 2010.04.28 1811
3468 금요대중강좌 - 디지털 혁명의 빛과 그늘 르네 2010.04.27 18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217 Next
/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