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0.29 18:16

인간 없는 세상

조회 수 1553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영원히 남는 것이라곤 우주 공간으로 퍼져가는

 

전자 신호 정도일 뿐.

 

=======================================================

 

인간 없는 세상…앨런 와이즈먼|랜덤하우스

“인류가 지구에서 사라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 책(원제 ‘The World Without Us’)이 매력적인 건 이 도발적인 상상력 탓이다. 하지만 ‘기발한 상상’에 그쳤을 질문을 인류에게 던지는 ‘묵직한 울림’으로 바꿔놓은 것은 다양한 시공간과 학문을 넘나드는 저자의 꼼꼼한 취재와 열정, 명징하면서도 서정적인 문체, 그리고 인간과 지구의 관계에 대한 깊은 통찰력이다.







‘인간 없는 세상’의 모습은 어떠할 것인가. 인류와 함께 없어질 것들은 무엇이고, 인류가 남길 유산은 무엇인가. 책은 이 같은 질문들의 해답을 찾아 떠난 지적 모험이다. 미국의 유명 저널리스트인 저자는 폴란드-벨로루시 국경의 원시림, 아프리카 탕가니카 호수, 키프로스섬 바로샤, 하와이 킹맨 환초(環礁), 한국의 비무장지대 등 세계 곳곳을 둘러봤다. 그리고 그곳에서 만난 진화생물학자·지질학자·고고학자·박물관큐레이터·환경운동가 등 다양한 사람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담아냈다.

저자가 그려낸 ‘인간 없는 세상’의 연대기에 따르면 인간이 사라진 바로 다음날, 자연은 ‘집 청소’부터 하기 시작한다. 곰팡이가 벽을 갉아먹고, 빗물은 못을 녹슬게 하고 나무를 썩게 한다. 우리가 살던 집들은 50년이면 대부분 허물어진다. 인간이 사라진 이틀 뒤면 습지와 강을 메워 만든 도시 뉴욕의 지하철은 물에 잠길 것이다. 20년 후엔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 대통령이 “이 시대 최고의 토목공사”라고 말한 파나마 운하는 막혀버리고 남북 아메리카는 다시 합쳐진다. 300년 후 세계 곳곳의 댐들이 무너지고, 삼각주 유역에 세워진 휴스턴 같은 도시들은 물에 씻겨나가 버린다. 1000년 후 인간이 남긴 인공구조물 가운데 제대로 남아있는 것은 영불해협의 해저터널뿐이다.

그러나 인간의 또다른 ‘유산’들이 있다. 인간세상이 18세기부터 과배출한 이산화탄소가 인류 이전 수준으로 떨어지려면 10만년이 걸린다. 태평양을 쓰레기장으로 만들고 있는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데는 몇 천년, 몇 만년이 걸릴지도 모른다. 납이 토양에서 전부 씻겨나가려면 3만5000년, 크롬은 그 두 배의 기간이 소요된다. 인류가 남긴 약 3만개의 핵폭탄의 플루토늄이 자연 상태의 배경 복사 수준이 되려면 25만년쯤 걸린다. 그러고도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441개의 핵발전소와 싸워야 한다.

결국 저자가 미래의 ‘인간 없는 세상’이라는 가정을 통해 되새기고자 하는 것은 오늘날의 ‘인간 있는 세상’이다. 수많은 사례들을 통해 아프게 드러나는 건 지금까지 인류가 지구와 다른 생명체들에게 얼마나 엄청난 짓을 저질렀는가라는 사실이다. 한 이론에 따르면 인류가 신대륙에 도착할 때마다 마주친 동물들은 전멸당했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킬러 본능’만이 아니라 멈출 줄 모르는 ‘탐욕의 본능’이다. 이로 인해 우리는 의도하지 않더라도 다른 존재에게 필요한 무언가를 치명적으로 박탈해버리는 수가 있다는 것이다.







사정이 이렇다면 인간이 사라진다고 세상이 안타까워할까? 오히려 안도의 한숨을 쉬지 않을까. 저자는 인간의 부재를 아쉬워하는 생물이라곤 이, 진드기, 바퀴벌레, 쥐같이 인간에 기대 살았던 동물들뿐이라고 말한다. 인간이 사라지면 오히려 수많은 생명체가 지구상에 번성할 것이라는 지적은 그래서 뜨끔하다.

그렇다고 이 책이 독자들의 두려움만을 키우는 종말론적 계시록은 아니다. 저자는 답사의 중간중간 상처 입은 지구의 경이로운 치유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생명의 요람인 바다는 인류가 하늘에다 뿜어낸 탄소를 흡수하고 있고, 핵발전소 사고로 오염된 체르노빌에서도 생명은 왕성히 살아나고 있다. 저자는 특히 동족이 원수가 되어 싸우던 지옥에서 수많은 생물들로 넘쳐나는 천국으로 변한 비무장지대에서 희망의 근거를 찾는다. 한국어판 서문에서 비무장지대 방문 경험이 “사람과 사람, 그리고 사람과 자연이 화해하게 할 수 있다는 꿈을 꾸게 했다”라고 밝혔다.

저자는 인류가 지구를 파괴하면서까지 부여잡으려고 애쓴 것들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 묻는다. 뭇 생명체들이 그러하듯 인간이라는 생물종도 언젠가는 사라질 것이다. 인간이 사라진 뒤 영원히 남는 것이라곤 우주 공간으로 퍼져가는 전자 신호 정도일 뿐. “창공은 영원히 푸르고,/ 대지는 장구히 변치 않으며 봄에 꽃을 피운다./ 그러하나 사람아,/ 그대는 대체 얼마나 살려나”라는 이백의 시가 울림을 갖는 건 이 때문이다.

어찌 보면 이 책은 ‘영리한 책’이다. 환경문제를 새로운 시각으로 제시해 지적 자극과 재미를 동시에 준다. ‘인간 없는 세상’을 상상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며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이 책이 “딱딱하기 쉬운 과학 논픽션의 새로운 전범을 제시했다”는 미국 현지 매체들의 극찬을 받은 이유다. 그들의 말을 빌려 모처럼 좋은 책의 전범을 보여주는 책을 만났다고 말하면 과찬일까. 이한중 옮김. 2만3000원

〈김진우기자 jwkim@kyunghyang.com〉
  • ?
    문경수 2007.10.29 18:16
    아침 조간신문을 급히 넘겨보다 이 기사를 발견하고 가방에 챙겨 넣고 지하철에서 봤습니다. 호기심과 자연 사랑이 그를 환경전문 기자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평생 단 한번도 특정 언론사에 적을 두지 않고 프리랜서를 고집한다는 저자의 말을 듣고..저의 지난 2년간의 기자생활을 되돌아 보게 합니다. 저자의 폭넓은 취재력과 문제의식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기사를 보고 아련하게 느껴지는 느낌의 실체를 말로 표현하고 싶었는데.. 박사님께서 명쾌하게 풀어주셨네요. 이 문장을 보니 월요일 아침의 시작이 새롭습니다.! 이 문장을 외우기로 했습니다.!!

    영원히 남는 것이라곤 우주 공간으로 퍼져가는
    전자 신호 정도일 뿐.
  • ?
    이정원 2007.10.29 18:16
    인류가 사라지고, 지구가 불타고, 태양이 죽어도..
    영원히 존재하는 게 있다 하는군요.
  • ?
    박혜영 2007.10.29 18:16
    '그것 밖에 없다.' 라는 말이 실감이 남니다.
  • ?
    임성혁 2007.10.29 18:16
    어제 ...어디서 봤더라,했는데 이제 기억이 나네요.수개월전 신문에서 봤네요.저 사진하고...///여기 올려진 내용만 보아도 이책 역시 지엽적이지 않고 전체를 아우르는 총괄적인 좋은 책이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4 공지 인사~ 2 이동섭 2009.01.14 1408
3543 공지 인사^^드립니다!! 1 전수현 2003.10.09 2250
3542 가입인사 인사 드립니다. 1 고물 2015.11.01 1677
3541 공지 인사 1 황희석 2003.05.25 2630
3540 공지 인문학을 통해 인문학 벗어나기? 유명하다는 원전과 고전을 보자? 7 김원기 2008.10.03 1589
3539 인문학 혹은 과학에 대한 오해의 이유, 통섭 전에 무엇을 할 것인가 - 홍성욱 1 우성범 2011.05.18 1718
3538 홍보 인문포털(가칭) 기자단 제1기 『인문쟁이』 모집 file 곤주 2015.08.26 1518
3537 공지 인문사회과학출판인 선정 "2008 올해의 책" 5 문경수 2008.12.11 1789
3536 공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4 임말희 2009.01.02 1926
3535 공지 인도양에 넘실대는 태양을 맞이하며.... 5 file 송근호 2008.02.07 1284
3534 공지 인도로 가는 또 다른 문 고재명 2003.02.21 2661
3533 인공광합성- 대체에너지 개발 2탄 file 박경호 2011.04.05 1747
3532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김탁환 1 강신철 2010.12.14 1500
3531 공지 인간의 호기심 3 엄준호 2008.05.23 1785
3530 문학예술 인간의 뇌 속을 상징화시킨 판타지 <잠꾸니 루미> file 박철완 2009.04.14 2556
» 공지 인간 없는 세상 4 박문호 2007.10.29 1553
3528 공지 익명의 후원 회원님께 감사드립니다. 4 송윤호 2008.08.15 1435
3527 공지 이해를 합니다만 . 윤석련 2002.11.22 2824
3526 공지 이필열 교수 "새만금 간척과 핵폐기장 건설" 전재 현영석 2003.07.28 2459
3525 이평래 교수님과의 뒤풀이 4 이정원 2009.08.26 19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