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0.15 18:19

생각의 도구

조회 수 1810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각의 도구


 





* 생각도구 1 - 관찰





* 생각도구 2 - 형상화





* 생각도구 3 - 추상화


 


* 생각도구 4 - 패턴인식





* 생각도구 5 - 패턴형성





* 생각도구 6 - 유추





* 생각도구 7 - 몸으로 생각하기





* 생각도구 8 - 감정이입





* 생각도구 9 - 차원적 사고





* 생각도구 10 - 모형 만들기





* 생각도구 11 - 놀이





* 생각도구 12 - 변형





* 생각도구 13 - 통합


                       

                          (출처 : 생각의 탄생)

  • ?
    이정원 2007.10.15 18:19
    제가 좋아하는 단어들이 잔뜩 들어있네요. 저는 '실험'과 '추상적인 개념의 정량화'도 좋아합니다. 실험은 관찰의 적극적인 형태일테고, '추상적인 개념의 정량화'는 형상화와 비슷한가요.
  • ?
    양종원 2007.10.15 18:19
    10월초에 사서 지금 열심히 보고 있는데..^^ 지금 7장 보고 있는데 너무 좋은책인듯^^
  • ?
    임석희 2007.10.15 18:19
    저는 티비에서 소개해주는 거 봤거던요. 그때 뿅 갔었더랬는데......
    이렇게 빨리 만나게 될 줄이야!
  • ?
    황보영 2007.10.15 18:19
    오늘 계룡문고에 갔었는데
    출입문 바로 앞에 비치되어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어찌나 반갑던지..
  • ?
    박혜영 2007.10.15 18:19
    사진 촬영 시 피사체를 표현할 때 '관찰'은 필수 조건입니다.
    한장의 사진으로 그사람의 내면의 모습이 각인 될수 있기 때문에 촬영에 앞서 관찰은 중요한 작업입니다.
    "관찰하는것, 그 습관 하나 만으로도 배우가 될수 있다(오순한 저 관찰 중)."
  • ?
    임석희 2007.10.15 18:19
    공항에서 덜컥 샀습니다. 문득문득 떠오르는 생각들을 여백에 마구 적고 있습니다.
    아~!! 그동안 막연히 느꼈던 과학과 예술의 상관관계를 이렇게 쉽게 설명한 것을 이제서야 만나다니!!!! 너무 기쁩니다. 집으로 돌아갈때즘이면 다 읽을 수 있을 것입니다. 23일(오늘이군요!!) 모임에 참석하지 못하는 것이 너무나도 아쉽네요~!!! 대전에 계신분들, 부럽습니다. @@
  • ?
    임석희 2007.10.15 18:19
    상상하고, 또 상상하라!!!
    "생각의 탄생"을 읽다 바로 이 뜻이구나!! 했던,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어, 다음 글을 인용합니다.
    "중요한 것은 여러분의 상상력입니다. 과거의 어떤 시대에 대한 공감적 이해만이 여러분이 과거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입니다. 가만히 눈을 감고 과거에 속한 사람들의 삶과 영혼에 스스로를 일치시킬 수 있도록 마음을 집중하려 애써야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느정도으 ㅣ지식과 열렬성이 있다면, 어떤 순간 역사적 과거는 여러분의 가슴을 섬광같이 때리며 여러분 마음속에 살아 숨 쉬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과 우리와의 대조 혹은 유비에 의하여 우리 자신을 훨씬 잘 이해하게 되고 우리 자신의 삶은 순식간에 이해의 단서위에 놓이게 되는 것입니다. " - 조중걸 -

  1. No Image 07May
    by 김영이
    2009/05/07 by 김영이
    Views 2142 

    서울 2030 사랑방 오늘입니다~~ *^^*

  2. 서두르지 맙시다.

  3.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우주생물학 기획강연

  4.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오파비니아 과학강연회 2/21(금)부터 매월 1회

  5. 생후 22개월, 이주헌의 단어폭발

  6. 생활의 발견(음악)

  7. 생화학 강의하는 곳 없나요

  8. 생태계 원리 응용 설계 : 자동차산업

  9. 생물학 소모임을 백북스 공식 모임으로 재가합니다

  10. 생물학 관련 책 추천드립니다

  11. 생명이란 무엇인가 제본 신청 회원님들 보셔요^^

  12. 생명의 신비 1탄-新陳代謝

  13. 생명의 기원 문제

  14. 생명을 잉태하는 식장산

  15. 생명, 최초의 30억년

  16. 생명 최초의 30억년

  17. 생각의 벽(책 소개)

  18. 생각의 도구

  19. 샘프라스 vs. 페더러

  20. 샘프라스 vs. 페더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