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10.13 07:53

좋으면 그저 하는 것이다

조회 수 202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좋으면 그냥 하는 것이다





이독(耳讀)이란 귀로 책을 읽는다는 말이다. 우리는 눈으로 책을 읽는다. 소위 目讀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시각장애인이나 나이가 들어 시력이 감퇴되면 눈으로 책을 읽기가 힘들어진다. 물론 점자로 책을 읽는 방법이 있지만, 연로하신 분들에겐 점자를 새로 익히기도 힘들뿐더러 점자로 된 책을 구하기도 쉽지 않다. 선진국에서는 글자를 읽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오디오 북이 진즉 발달이 되어 있다. 다행히 요즈음 우리나라에도 오디오 북이 다양하게 출간되고 있고 카톨릭 재단에서도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오디오 북을 제작하여 무료로 빌려주고 있다고 한다. 


일전 100권독서클럽 독서토론회에서는 93세의 원로 철학자 정종 박사님을 모셨다. 중학교 때 ‘무솔리니의 전기’를 처음 읽게 된 것을 계기로 독서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고, 일본인 이시마루가 쓴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를 읽고 철학을 전공하기로 결심했다고 한다. 등산도중 불의의 사고로 한쪽 눈을 실명했으나 독서에 대한 열정은 식을 줄을 몰랐다. 한쪽 눈을 혹사하다보니 90세에 나머지 한쪽 눈마저도 잃게 되었다. 책을 읽을 수 없게 된 것이다. 두 눈이 안 보이게 되자 상실감에 한동안 우울증에 빠진 적도 있었지만, 실명이 책에 대한 열정을 막을 수는 없었다. 耳讀을 생각해 낸 것이다. 이때부터 소설을 녹음해 놓은 오디오 북을 구해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9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시각장애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3년 6개월 동안, 하루에 열 시간씩 하루도 거르지 않고, 수백권의 오디오 북을 읽었다고 한다.


이 분에게 인생의 가치는 讀과 講의 즐거움에 있다. 12살에 설정한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명제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책을 읽기 시작했고, 이제 후손들에게 인생을 어떻게 살 것인지 보여주기 위해 책을 읽고 있는 것이다. 책을 왜 읽느냐고 묻는 것은 바보스러운 질문이다. 영국의 전설적인 산악인 조지 맬러리(G.L. Mallory, 1886~1924)는 산에 왜 가냐는 질문에 “산이 거기 있어서(Because It is there!)"라고 하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좋아하는 것을 하는 데에는 이유가 따로 필요 없다.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 그 자체가 이유인 것이다. 좋으면 그냥 하는 것이다. 우리의 인생도 그저 좋아서 하는 일을 하면서 살 수 있다면 그 삶은 충분히 가치가 있는 것 아니겠는가?


며칠 전 정년을 얼마 남기지 않은 어느 여교수가 이런 말을 했다. “요즈음 인생이 허무하게 느껴진다. 남들은 부를 쌓든지 사회적 명예를 얻든지 뭔가 해놓은 것 같은데, 나는 아무것도 이렇다 하게 해놓은 게 없는 것처럼 느껴진다. 소위 돈도 명예도 없고, 학자로서 이렇다 할 학술적 성과를 낸 것도 없고, 공부한답시고 가족들에게도 소홀히 한 것 같고, 그렇다고 훌륭한 제자를 키운 것도 아니고...” 듣고 보니 나도 뭐 별다르게 이루어 놓은 것이 없는 것처럼 느껴졌다. 그렇다고 내가 실패한 인생을 살았다고는 생각해 본 적은 한 번도 없다. 사회통념으로 대학교수이면 그래도 뭔가 이룬 것 아니냐는 반문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정작 당사자들은 그렇게 느끼지 못한다. 왜 그럴까?


우리가 인생의 가치 기준을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나는 그 답을 정종 박사의 인생에서 찾아본다. 속세의 잣대로 우리의 인생을 재면 허무하기 그지없을 것이다. 하지만 나 자신이라고 하는 존재의 가치에 중심을 두고 우리의 인생을 바라보면 자신이 대견스럽고 인생이 행복하게 느껴질 것이다. 내가 좋아서 하는 강의, 내가 좋아서 하는 독서, 그것이 무엇이든, 어디에서 하든, 그저 그 행위가 좋아서 하는 것이라면, 그 자체로 충분한 가치가 있지 않을까? 다른 이유가 필요 없는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재우 2007.10.13 07:53
    '좋으면 그냥 하는 것이다.......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정말 멋진 말인 것 같습니다. 이 글 읽고 왜 이리 기분이 좋은지 모르겠습니다.^^
  • ?
    엄준호 2007.10.13 07:5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강 교수님의 글은 언제나 진실함이 느껴져 저는 참 좋아합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보다 더 좋을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나 제겐 쉬워 보이지 않네요. 그저 저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조금이라도 더 하는 삶"을 살아보려고 아둥바둥 할 뿐이랍니다. 그래서 이렇게 새벽에 우리 독서모임 사이트도 기웃거려 보네요...
  • ?
    조동환 2007.10.13 07:53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인생을 살았다면 그 자체로 훌륭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공감이 갑니다. 그리고 이렇게 좋은 강의를 들을수 있게 해주셔셔 감사합니다.
  • ?
    현영석 2007.10.13 07:53
    독일어로 인생, 삶이란 Das Treigen 추구하는 것, 직역하면 영어로는 Try, 시도하는 것.
    "내가 하고 싶은 일을 내 마음대로 하는 것" 일맥상통하는 것이 아닐까요 ?
    정종박사님의 우리 독서모임 강의를 동영상으로 나마 보고 적지않게 충격 받았습니다. 세상사에 의미를 부여하는 사고와 능력이 자기를 결정 짓는 다는 생각을 다시 합니다.
  • ?
    양경화 2007.10.13 07:53
    하고 싶은 것을 하는 인생. 이보다 더 행복한 삶이 있을까 싶어요. 해야 하는 것에 눌려 있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짧은 시간이라도 책을 읽을 수 있는 제가 참 복받은 인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정종 교수님의 반의 반이라도 따라갈 수 있을까 싶습니다.
  • ?
    김양미 2007.10.13 07:53
    강신철 교수님, 기창패에서 만났던 김양미입니다. 수통골 워크샵에서 뵈었었죠. (장애인보조기기 관련 창업준비한다고 소개했던 사람이었는데, 기억하실까요?) 교수님 글에 깊이 동감합니다. 어떤 기준에 의해 인생을 줄세우기하며 성공여부를 따지기 보다, '나 자신이라고 하는 존재의 가치에 중심을 두고' 사는 삶이 진짜 행복한 삶이겠지요? 이 글을 읽으니 기운이 나고 힘이 나네요.
  • ?
    김수연 2007.10.13 07:53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84 공지 생각의 도구 7 박문호 2007.10.15 1810
1183 공지 대단한 고등학생들!!! 인디고 서원!!! 4 송윤호 2007.10.14 2201
1182 공지 오늘 열리는 지식 네트워크 선포식 식순 입니다 !! 7 송윤호 2007.10.13 1813
» 공지 좋으면 그저 하는 것이다 7 강신철 2007.10.13 2029
1180 공지 자연과학독서 (박문호 공동운영위원장) 20 이정원 2007.10.11 5647
1179 공지 소설중독자 김탁환 교수 2 문경목 2007.10.11 3016
1178 공지 도정일 교수, 책 사회, 그리고 도서관 1 문경목 2007.10.11 2341
1177 공지 [10월 정기산행] 사진스케치 9 문경목 2007.10.11 2469
1176 공지 [기사]철학자 온버림 정종박사와 함께 10 박혜영 2007.10.10 2950
1175 공지 "열림: 시민 독서 프로젝트 선포" 시민지식네트워크 2007.10.10 1773
1174 공지 시민지식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프로젝트에~ 4 김연숙 2007.10.09 2078
1173 공지 [생각] 인터넷 언론 매체의 기사를 게시판에 퍼 올 경우... 2 송윤호 2007.10.09 2813
1172 공지 독서프로젝트 선정도서'부서진미래' 경향신문 기사 2 송윤호 2007.10.09 1808
1171 공지 토요일 시민 독서프로젝트 선포식 장소 변경 1 송윤호 2007.10.08 2201
1170 공지 책읽는 사회 만들기 국민운동 5 김홍섭 2007.10.08 3610
1169 공지 [알림] 10월 9일 (화) 127회 토론회 안내 6 송윤호 2007.10.08 1966
1168 공지 도정일 교수님과 '책읽는 사회 만들기' 4 박문호 2007.10.08 2550
1167 공지 100books 홈페이지 새로운 운영자 13 박문호 2007.10.08 2304
1166 공지 126회 토론회/독서산방 가을 잔치 사진 스케치 8 송윤호 2007.10.06 2119
1165 공지 '입자물리학'관련 좋은 사이트 소개 3 엄준호 2007.10.06 18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