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1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전·계룡·연기 내일신문 667호 15면 게재된 내용입니다.




 


황금연휴를 책과 함께



 


장인순(한국원자력연구원 고문)


 



시간을 창조하는 삶

책의 중요성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한 토마스 바트란의 말 “책이 없다면 신도 침묵을 지키고, 정의는 잠자며, 자연과학은 정지되고, 철학도 문학도 말이 없을 것이다.” 바로 책이 없는 사회는 배만 부르면 행복한 동물의 사회와 하나도 다를 것이 없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항상 독서의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멀리한다. 확실한 것은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하는 사람은 시간이 아무리 많아도 책을 읽지 않을 것이다. 아무리 바빠도 매끼니 식사를 거르는 사람이 많지 않듯이... 현대를 사는 직장인이나 사업을 하는 사람들이 바쁘지 않은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시간을 만드는 삶 다시 말하면 시간을 창조하는 삶을 위해서 우리가 얼마나 노력을 했는지 한번쯤 반성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황금알 이라는 독서

일년에 우리에게 주어지는 설날이나 추석 같은 황금연휴가 몇 번 있는데 이 황금연휴를 독서에만 활용한다면, 그야 말로 연휴가 황금알을 낳는 것이라면 과장된 것일까? 나는 이 황금연휴에는 어떤 일이 있어도 고향이나 멀리 여행을 가지 않는 나만의 생활 법칙이 있다. 이기간 동안은 집중적으로 책을 읽는다. 이런 연휴에 움직이면 많은 돈과 시간을 고속도로에 버리는 것이 너무나 아까울 뿐만 아니라, 긴 연휴 후에는 심신이 피곤하여 연구 업무에 지장이 많기 때문이다. 이런 연휴 기간에는 하루 평균 15시간 이상의 책을 집중적으로 읽음으로써, 연휴 끝자락에서 느끼는 행복한 지적 포만감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었다.


우리들은 왜 책을 읽어야 하는 걸까?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스승이나 친구나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삶이 바뀌듯이, 좋은 책과의 만남 또한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많은 책을 통해서 살아있는 사람이나 고인이 된 사람들의 심오한 철학과 학문을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언어의 생명력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생의 삶의 가치는 감격하는데 있다고 한다면, 생명력이 있고 살아 있는 글을 통해서 과거를 반성하고, 현재를 결단하고, 미래의 청사진을 그릴 수 있는 혜안을 기르는 것은 우리 자신의 존재 의미를 더욱더 확실하게 하는 것이 아닐까!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은 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자기만의 작은 시공간에 갇혀 살지만, 꾸준히 책을 읽어 지적 배고픔을 채워가는 사람은 시공간을 훌쩍 뛰어 넘을 수 있는 강한 지적체력을 가짐으로써 담대하고 정직하고 스스로를 제어할 수 있는 지혜로운 사람이 되는 것이다.

 


책을 추석선물로

우리가 삶을 살아가면서 책 읽는 것 같이 쉬운 일이 어디 있겠는가! 이 쉬운 책읽기를 위해서 우선 책사는 연습을 열심히 해야 한다. 나는 평소에 시간이 있거나 혹은 서울에 출장을 갔을 경우 시간만 있으면 대형서점에 들러서 책을 보고 많은 책을 산다. 그리고 출장 중에 남은 출장비는 언제나 책을 사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주위 사람들에게 책 선물을 많이 한다. 왜냐하면 책을 선물하는 것은 인격을 전하는 것으로, 존경하는 사람이나, 좋은 사람에게만 하는 것으로, 가격에 전혀 개의치 않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단돈 만원짜리 선물은 책 이외에는 할 수 있는 것이 없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책이 갖는 언어의 생명력 때문이다. 이 추석에는 책을 추석선물로 하면 어떨까? 많은 사람들은 선물을 고르면서 고민을 많이 한다.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들이 모두 기뻐할 수 있는 마음이 담긴 선물이란 과연 무엇일까? 우리를 기쁘게 하는 아름다운 꽃이나 맛있는 음식이 있을 수 있지만, 이것들은 잠시 우리 곁에 있다가 떠나지만, 좋은 책이라는 선물은 우리와 영원히 함께하기 때문이다. 내경험으로는 기관장 시절에 많은 축하 전문과 꽃을 받았지만, 지금도 내가 소중히 간직하고 있는 것은 그때 받은 마음이 담긴 축하 전문이다.


책을 읽지 않은 부모는 자녀들에게 공부하라고 말할 자격이 없는 것이다. 왜냐하면 부모의 삶의 모습이 자녀들에게 가장 훌륭한 교과서이기 때문이다. 이번 추석에는 가족과 함께 독서를 통해 썩지 않고, 도둑 걱정이 없는 황금알을 낳아보자. 책과 함께 하는 삶은 비록 물질적으로 풍요롭지 못하더라도 가장 행복한 삶이 아닐까 생각한다.


참고로 아래 책을 추석 도서로 추천하고 싶다.

 

1. 성취의 법칙(로버트 콜리에) 2. 시간을 지배하는절대법칙(앨런라킨.한근태 옮김)

3. 생각의 탄생(로버트루트번스타인/박종성 옮김)

4. 시의 숲을 거닐다(천양희) 5. 장영희의 영미시 산책(생일과 축복)

6. 시간여행자(로널드 몰렛/이창미 옮김)

7. 특이점이 온다(레이 커즈와일/김명남, 장시형 옮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44 공지 [생명 최초의 30억년] 역자 김명주 선생님의 메세지 3 이진석 2007.08.20 3080
1143 공지 [생각] 인터넷 언론 매체의 기사를 게시판에 퍼 올 경우... 2 송윤호 2007.10.09 2813
1142 [새책] 우리 시대를 이끄는 9명의 정치철학자들의 새로운 코뮤니즘 기획 ―『탈정치의 정치학』(본펠드, 네그리, 홀러웨이 외)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03.01 1369
1141 [새책] 에코페미니스트 마리아 미즈의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 여성, 자연, 식민지와 세계적 규모의 자본축적』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4.02.11 1288
1140 [새책] 가사노동, 재생산, 여성주의 투쟁 ― 실비아 페데리치의 『혁명의 영점』이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3.12.31 1410
1139 홍보 [새책] 『크레디토크라시 ― 부채의 지배와 부채거부』(앤드루 로스 지음, 김의연·김동원·이유진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김하은 2016.05.13 4438
1138 [새책] 『과학의 새로운 정치사회학을 향하여』 (스콧 프리켈 외 엮음, 김동광, 김명진, 김병윤 옮김) 갈무리 2013.12.09 1243
1137 [상상마당아카데미] (사)백북스 정회원을 위한 이벤트! <타인과 만나는 방법, 세상과 통하는 과학이야기> 1 상상마당아카데미 2011.12.16 2384
1136 공지 [산행]8월 산행 & 정영옥회원 환송회 알림 5 이진석 2007.07.23 2072
1135 공지 [산행]7월 산행 15일 2시에 합니다. 1 이진석 2007.07.06 1601
1134 공지 [산행]12월 산행 알림(둘째주 일요일-9일 10시) 2 이진석 2007.11.28 1503
1133 공지 [사회적독서] 리차드 도킨스의 <만들어진 신> 대중토론회 file 책읽는사회 2007.12.03 1501
1132 공지 [사진] 추사고택, 화순옹주홍문, 예산 화암사 10 이정원 2008.12.15 2457
1131 공지 [사진] 창.디. 윤증고택 답사 - 종학당 둘러보기 1 이정원 2008.10.13 1701
1130 공지 [사진] 창.디. 윤증고택 답사 - 윤증고택 둘러보기 3 이정원 2008.10.13 1483
1129 공지 [사진] 정영옥 회원님 환송회 후기 ~ 10 송윤호 2007.08.14 2357
1128 공지 [사진] 이주헌 100일입니다. 24 이정원 2008.05.20 2020
1127 공지 [사진] 오랜만에 주헌이 사진입니다. ^^ 8 이정원 2008.07.31 1398
1126 공지 [사진] 백북스 최연소회원 이주헌입니다. 9 이정원 2008.03.01 1692
1125 공지 [사진] <뇌, 생각의 출현> 서울 출판기념회 (10/31) 4 이정원 2008.11.03 1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