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56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대전에 '뇌과학 박물관' 건립해 세계적 랜드마크로"
박문호 ETRI 박사, 대전시 희망아카데미 강연






 ▲ 박문호 ETRI 박사
 ⓒ 2007 HelloDD.com
"미국의 프리덤타워, 프랑스의 에펠탑, 호주의 오페라하우스 등 주요 선진국에는 국가를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건축물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브레인 뮤지엄(가칭)을 세워야 합니다."

박문호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사가 4일 대전광역시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하는 강연인 희망아카데미 강단에 올랐다. 그는 광소자그룹 책임연구원이라는 직책보다 '뇌과학 전문가'라는 타이틀이 더 어울리는 '컨버전스형 석학'. 박문호 박사는 이날 강연에서 '뇌과학'이라는 큰 테마 아래 ▲우주의 4가지 힘의 분화 ▲파인만의 이론 ▲에델만의 고차의식 모델 등을 소개했다.

그는 이날 강연에서 "개발도상국들도 경쟁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는 건물짓기에 열성인 가운데 유독 우리나라는 관심이 없다"며 요셉 E. 보겐(Joseph E. Bogen)의 '체험형 뇌박물관'(The giant brain museum) 컨셉을 소개했다.

체험형 뇌박물관이란 관람객들이 뇌의 내부를 실제로 탐험하는 구조로 된 초대형 구조물을 말한다.

박 박사는 "금세기 최고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뇌'와 국가적 상징물을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아이템"이라며 "뇌박물관기획위원회에서도 40층 규모의 체험형 박물관을 건립해 실제 뇌 속을 탐험하는 듯한 관람구조 적용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뇌 박물관 기획위원회는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와 공동으로 '뇌산업화 포럼'을 개최하는 등 지역 및 국가 역량을 모으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조장희 박사와 신희섭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사 등 국내 정상급 뇌과학자는 물론 정재승 KAIST 교수, 황농문 서울대학교 교수 등도 참여하고 있다.

박문호 박사는 "뇌에 관한 연구는 이미 자연과학으로부터 인문학으로 확산 또는 융합되고 있을 뿐더러 일반인들의 관심도 증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뇌'에 대한 정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정보전달 매개체가 없는 실정"이라 말했다.







▲체험형 뇌박물관 구상도 (요셉 E. 보겐)
ⓒ2007 HelloDD.com
그는 "아직까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뇌박물관을 설립할 경우, 국가적으로는 ▲관광수입 증대 ▲국내 뇌 유관 산업·과학 분야의 확장·발전 ▲범국민적 두뇌혁명이 기대되는 한편, 세계적으로는 뇌 연구·산업의 메카로서의 한국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덧붙였다.

박문호 박사는 이날 강연 말미에서 자신이 최근 출연하고 있는 불교TV 프로그램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

4월 첫 방송을 탄 그의 기획특강 '뇌와 생각의 출현'이란 프로그램에는 골수팬들이 하나 둘씩 늘어나고 있으며 '다음에 이어질 강의가 기대된다', '관련 서적을 추천해달라'는 시청자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박 박사는 "TV강연의 전체적 요지는 뇌 시스템이 어떻게 패턴 지어지느냐에 따라 우리의 운명이 결정된다는 것으로, 놀랍게도 이런 깨달음이 우리 인간을 진정 자유롭게 한다는 내용"이라고 전했다. 다시 말해 불교의 일체유심조 사상이 해탈의 경지를 열어주는 것과 비교된다. [불교TV '뇌와 생각의 출현' 재방송 보러가기]

특강에 참석한 한 대전시 관계자는 "강의가 매우 수준이 높아 다소 부담스러웠던 것이 사실이나 박문호 박사가 주장한 뇌과학 박물관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라고 말하고 "청소년과 일반인에겐 두뇌향상프로그램, 산모에게는 태교, 고령자에게는 뇌 노화 방지법 등 차별화된 체험 프로그램이 도입된다면, 세계 유수의 박물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2007 HelloDD.com
<대덕넷 노신영 기자> nsy1004@helloDD.com
2007년 09월 04일
  • ?
    가시연 2007.09.05 23:54
    아마도 대전시 관계자가 뇌과학이란 타이틀을 머리좋아지는 법 정도로 이해하신 것 같네요. 두뇌향상과 뇌의 노화방지라 참.....그 멋진 강의를 듣고서 울림이 없다니.....좀 안타깝네요.
  • ?
    현영석 2007.09.05 23:54
    아주 좋은 시도 외연확산입니다. 대전에 다한 우리 독서크럽에 대한 희망을 다시 발견합니다. 기대하고 또 필요한 힘을 미력하나마 보태겠습니다.

    오늘 부터 시작되는 김억중 교수님 건축전 [아래 1667 게시판 참조, 대전KBS 홀, 은행동 이안경원 이안게러리] 에도 많이 참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84 [2009학습마라톤] 참가/접수/등록 (현재 56명 접수) 43 임석희 2009.09.24 4512
3183 백북스 학습마라톤 대회 공지 9 file 강신철 2009.09.24 3092
3182 *하늘, 땅, 그리고 사람들*( 1부) 10 신현숙 2009.09.22 2306
3181 <불량직업잔혹사> 이중훈 2009.09.22 1931
3180 [공지] 174회 정기모임 안내(9월22일 19시) 김홍섭 2009.09.21 1780
3179 향기에 취한 과학자 이중훈 2009.09.21 1797
3178 [사설] 임석희 연구원의 눈물 - 9월 2일 부산일보 5 윤보미 2009.09.20 2658
3177 <무엇이 괴물일까>, 웅진주니어 이중훈 2009.09.19 1613
3176 [소개] 상상으로 여는 인문학 1 김홍섭 2009.09.17 1756
3175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 세기 1 이중훈 2009.09.17 1775
3174 위대한 선물 1 이중훈 2009.09.15 1604
3173 서지미 박사님 감사합니다♥ 13 민경기 2009.09.14 2054
3172 [공지]제 3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5) 강혜정 2009.09.12 1818
3171 마음에 드는 책 선정하세요 2 강신철 2009.09.12 1736
3170 강의자료 "지구의 생성과 진화" (2009) 2 고원용 2009.09.12 2121
3169 시의 현실적 도움 1 이중훈 2009.09.09 1647
3168 [공지]제 2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0) 강혜정 2009.09.09 1748
3167 3시간을 달려_2시간 강의듣고_다시 3시간 달려 도착하니!솟는 에너지! 2 강호구 2009.09.09 1715
3166 9.8 뒷풀이 인사 13 현영석 2009.09.09 2050
3165 '뇌과학과 마음'주제 격론(미디어 붓다) 4 안희찬 2009.09.08 17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