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9.01 20:16

진화는 왜 하는 건가요?

조회 수 1476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생명은 왜 번성쪽으로 발전하는 것인지요?

 



질문을 자세히 하자면

시아노박테리아가 물에서 분자를 빼내는 능력을 갖게 되는 기능의 질문이 아니라

그렇게한 이유가 무었인지요?

 



왜 진화하는건가요.

소멸하지 않고 진화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판단은 누가?

아니 그런 결정을 선택을 하는 추구성이 왜?어디에서 나오는건지?

 



매미가 소수 3,5,7년 주기로 땅속에서 나와서

천적들에 대해서 인해전술로서 종족을 보존하는데

어떻게 그런 지혜가 생기는지?

 



기나긴 번식하는 생의 강줄기 중에서

여러 방향으로 무작위로 분포되어 살다가

살아남은 방향만 남아있는 단순 결과적인 특징일까요?

Who's 임성혁

?
♣얼어붙은 시간의 강. 자아는 내 느낌이 주는 그것은 아니며 만물은 아나로그가 아니라 디지털에 가까울거라는 생각이 들때면 심장박동이 빨라진다.
  • ?
    임성혁 2007.09.01 20:16
    사토이라는 교수 분이 이렇게 말하셨군요.그 결정을 누가 하는 건가? 매미나 나무가 IQ가 높아서 스스로 결정한 건가? 하나님이 하는 건가? 아닙니다. 그 결정을 하는 자가 바로 자연이라는 게 다윈의 진화론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입니다. 생명체와 무생물체를 전부 다 포함하고 있는 자연이라는 질서가 그러한 선택을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선택은 유전이 됩니다. 즉 매미가 땅 속에서 17년 만에 나오는데, 부모님이나 선생님이 가르쳐 주지 않아도 스스로 알아서 나온다는 이야기입니다.
  • ?
    임성혁 2007.09.01 20:16
    유전으로 인해서 스스로 한다는건 알겠는데 "자연이라는 질서가 선택을 한다"에서 새로운 굼금증이 생깁니다.자연이라는 질서의 원리가 궁금해집니다.
  • ?
    이정원 2007.09.01 20:16
    '17년 만에 나간다.'라는 지령은 유전자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그 유전자는 주위 환경에 적응하면 살아남아 계속 복제하고, 그렇지 못하면 자기복제 과정을 멈추게 됩니다. 유전자에게 살아남으려는 의지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우리가 복제에 성공한 유전자의 표현형들을 관찰할 수 있는 것이지요. 유전자 입장에서는 개체 밖의 자연환경이나 경쟁자 개체 뿐만 아니라, 개체 내의 다른 유전자까지도 적응해야 할 환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자연이나 그 밖의 환경도 특정한 유전자를 선택하고자 하는 의지는 없습니다. 다만 주어진 환경에서 동일한 자원(먹이, 영역, 짝)을 가지고 다투는 여러 생물체가 있을 경우에, 우연히 환경에 잘 적응하고 다른 종이나 개체보다 나은 방향으로 진화한 생물체가 살아남는 것입니다. 자연이 생물체를 똑똑한 방향으로 진화하도록 선택한 것은 아닙니다. 혹독한 환경은 오히려 박테리아와 같이 단순한 생물체에게 자리를 내어줍니다. 혹독한 환경의 박테리아에겐 경쟁자 종이 없으므로 환경에 적응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죠. 박테리아는 경쟁자가 없을 정도로 자연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종(들)입니다.
  • ?
    임성혁 2007.09.01 20:16
    강한 자 ,우월한자가 살아 남는게 아니라 환경에 적응 한자가 살아 남는 거군요.적응하지 못한자들은 죽고 적응한자들이 번성하고 그런 거군요.적응한자가 진정 강한 것이라 해야 하는 것 인지도 모르겠군요.고맙습니다.
  • ?
    임성혁 2007.09.01 20:16
    단일생의 시각과 여러세대를 사는 것과같은 두 시각의 관점은- 진화론을 이해 하는데 각각 전혀 다른 이해를 갖게 할 것 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24 공지 김기홍 교수님 이메일 주소 강신철 2004.08.12 2196
1123 공지 회원 중에 이름이 입력되지 않은 분이.. 3 관리자 2007.04.07 2196
1122 공부를 잘하는 법 이중훈 2009.04.08 2196
1121 가입인사드립니다. 1 공부자 2009.12.11 2196
1120 벙개모임 - 이병록 제독과 함께(만년동 소노래 6시) 9 강신철 2010.11.13 2196
1119 공지 책 덮고 창 밖을 보다 박문호 2005.05.23 2197
1118 공지 [사진] 153회 백북스 정기모임 - 저자 안철수 강연 7 이정원 2008.12.05 2197
1117 공지 서울 출장 그 후.... 1 송윤호 2004.01.16 2198
1116 공지 나는 지난 토요일에 스승들을 만났다. 14 박성일 2008.06.09 2198
1115 공지 [알림] 토요일(11월 22일) 34회 오프라인 토론회 송윤호 2003.11.16 2199
1114 공지 [송년특집]12월 3일 오프모임, 꿈과 뇌에 대해 2 송윤호 2003.11.26 2199
1113 공지 3월 9일 화요일 토론모임 안내 송윤호 2004.03.08 2199
1112 공지 차기 모임 도서 선정 및 장소 변경 송윤호 2003.08.29 2200
1111 뇌(과학) 지상주의 문화에 대한 반성: 최근 출간된 해외서적들과 관련된 생각 5 file 이정모 2011.08.29 2200
1110 공지 새로운 보금자리를 반기면서... 이선영 2003.07.03 2201
1109 공지 안녕하세요~ 처음인사드려요^^ 2 이소연 2004.11.19 2201
1108 공지 65회 모임, 3월 8일 화요일입니다. 2 송윤호 2005.03.07 2201
1107 공지 대단한 고등학생들!!! 인디고 서원!!! 4 송윤호 2007.10.14 2201
1106 <공부력>, 사토 덴, 2008, 이스트북스 이중훈 2009.12.13 2201
1105 공지 혁신을 주도하는 소비자 "User As Innovator" 현영석 2005.01.29 22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