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8.13 18:48

스토로마톨라이트

조회 수 2255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과학] 호주의 35억살 유기물, 미생물로 확인 [연합]







호주 과학자들이 지구상에서 가장 오랫동안 보존되고 있는 35억년 전 유기물 화석으로부터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호주 퀸즐랜드 대학 연구진은 '스트로마톨라이트'로 불리는 이 살아있는 화석으로부터 채취한 표본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생물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호주 서부 필바라 지역에 남아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간접 분석 방식으로만 이루어져 이것이 미생물로 이루어졌을 것이란 추정만 가능했을 뿐 실제로 확인되기는 처음이다.

연구진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고난도 전자 현미경 기술과 관찰을 결합시켜 스트로마톨라이트의 핵심부에서 채취한 표본을 분석한 결과 미생물의 흔적을 결론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많은 학자들은 필바라 지역이 지구 최초의 생명체가 탄생한 곳일 지 모른다고 믿고 있다.

필바라 지역의 얕은 바다 샤크만에 노출돼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선(先)캄브리아 시대(시생대)의 지층에서 식별되는 유일한 화석으로 미생물이 낮에는 광합성을 하고 물 속의 작은 모래 알갱이나 부유물 입자들과 합쳐지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돌같은 모양으로 굳어진 것이다.

이 연구는 '선캄브리아연구'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브리즈번<호주> UPI=연합뉴스)

 

 

=================================================

 

이진석 회원이 다음주에 발표할 "생명 최초의 30억년"과 관련된 기사입니다.

 
  • ?
    임성혁 2007.08.13 18:48
    호주 서부에 있는 35억 년 전의 와라우나 층군의 퇴적암은 지구 초기의 생명과 환경을 들여다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창이다. 와라우나 층군의 암석에는 스트로마톨라이트와 박테리아 화석으로 해석될 수 있는 미세구조가 존재하지만 이 해석은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화학흔적은 생명의 처음이 언제인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하지만, 그 흔적이 기록하고 있는 생물이 무엇인지는 불확실하다. 지구 초기의 생명에 대한 지질학적 탐사는 아직까지 어두운 유리창 속을 들여다보는 것과 같다. --- p.79 <==이부분이 과학적인 사실로 밝혀졌군요.역시100북클럽에서 선정도서가 될만한 책이네요.^^
  • ?
    이진석 2007.08.13 18:48
    박사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호주 서부 와라우나 층군에서 발견된 스토로마톨라이트가 미생물의 화석이 아니라 단순한 광물이라는등 [생명 최초의 30억년]가 쓰여질때만해도 의견이 분분했었는데 생명의 흔적으로 판명이 되었군요. 그렇다면 화학합성으로 물질대사를 했던 미생물은 35억년전 보다 훨씬이전에 활동을 했다는 추측과 함께 생명의 기원은 38억년전이라는 설이 힘을 얻겠군요. (본문 4장 참조)
  • ?
    이상수 2007.08.13 18:48
    다음 독서모임 선정도서인 <생명 최초의 30억년>에서는 임성혁님의 말씀처럼 독자들에게 질문과 의문, 호기심등을 많이 품게 해주고 있습니다. 지금 읽고 있는 중인데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 ?
    엄준호 2007.08.13 18:48
    위의 연합뉴스 기사는 바로 잡아야 할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Science Daily에 실린 UPI 인용기사와 인용 논문 초록을 확인한 바에 따르면
    1) 미화석은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아니라 해저 열수분출공에 인접했던 퇴적층에서 채취한 것임
    2) 따라서 이 미화석은 전자현미경을 사용한 분석을 통해 해저 열수 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 형태와 비교되었음
    3) 시료 채취 암석의 추정연대도 35억년이 아니라 32.4억년

    한편 "생명 최초의 30억년"에서도 와라우나 층군으로부터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후, 새로운 탐사 후보지로 해양 열수분출공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2000년 초 호주의 지질학자가 와라우나 층군보다 약간 더 나중인 32억년 전의 열수광상에서 생물임이 틀림없는 필라멘트 모양 미화석을 발견했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도 이번 연구 결과는 이 열수광상에 대한 추가 연구 결과인 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4 공지 인사^^드립니다!! 1 전수현 2003.10.09 2250
1023 공지 미술작품 감상 강신철 2005.01.04 2250
1022 공지 가슴이 따뜻해지는 글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3 손문성 2003.07.23 2251
1021 과학을 처음 시작하는 책들 - 나, 우리의 과거, 그리고 미래 6 고원용 2009.08.13 2251
1020 공지 [에세이] 저는 금일보다 오늘이 좋습니다 6 이정원 2009.02.14 2252
1019 몸학의 서재(*모든 관련 학문의 자리-도서 분류에 응용) 2 미선 2013.04.02 2252
1018 공지 게임 이론 2 오중탁 2003.07.28 2254
1017 공지 뇌과학을 공부하며... 1 문경수 2007.05.31 2254
1016 공지 Google Earth 프로그램 우주탐색 기능 추가 2 오화균 2007.08.23 2254
1015 공지 축하합니다! (수정 완료 : 사진 & 링크) 30 문경목 2008.06.14 2254
1014 공지 이 책 참 괜찮네요. 이중훈 2009.03.12 2254
» 공지 스토로마톨라이트 4 박문호 2007.08.13 2255
1012 공지 [re] 강연회 주제 송윤호 2007.08.22 2256
1011 공지 김미영님 ..어떻게 지내시는지 윤석련 2003.02.26 2257
1010 공지 56회차 모임! 10월 26일 화요일 입니다 .^^ 송윤호 2004.10.23 2257
1009 모임 뇌과학과 정신의학 그리고 학습상담 5 이일준 2015.11.29 2257
1008 공지 인생은 머리에서 가슴으로의 여정-고 김수환추기경 3 박성일 2009.02.20 2258
1007 공지 추석(秋夕)이 지나고..&건의 사항포함 2 송근호 2004.10.02 2259
1006 공지 60th..universal conversations.. 문경수 2004.12.30 2259
1005 공지 51회 독서클럽 토론회 발표자료 파라곤 2004.08.09 22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