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1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17회 독서토론회(원효의 대승기신론) 때 몇 권의 참고도서가 있었습니다.


 "하이데거와 화엄의 사유,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 원효의 대승철학"을 집필한 김형효 교수에 관한 기사가 있어 올려 봅니다. 발제를 해주신 박문호 박사님께서 주목할 만한 철학자라고 말씀하신 기억이 납니다.


----------------------------------------------------------


 

순수 집착하는 한국인의 이중심리

 


"한국인의 대표적인 심리유형은 이중성이다. 순수와 배타, 신바람과 광기는 동전의 양면과 같다. 근본주의를 추구하면서도 시류에 영합하고 동일성을 강조하지만 서로 분열한다"



김형효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가 '한국인, 심리학 그리고 문화'를 주제로 8-9일 한중연에서 열리는 학술대회에서 한국인이 공통적으로 지닌 심리유형의 부정적측면을 강하게 비판하는 논문을 발표한다.


 


김 교수는 미리 공개한 논문 '한국인의 공동심리 유형들과 그 양면성'에서 한국인의 대표적인 심리 유형으로 '순수성의 감정과 이중성', 신바람과 광기', '동일성의 병적 징후'를 꼽았다.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윤동주의 '서시'는 순수한 영혼의 애가다. 또 14세기 말 고려 충신 우탁부터 조선 중기 기생 송이에 이르기까지 150여 수의 시조를 분석한 결과 순수성을 은유한 시조들이 50여 수에 이른다.


 


이처럼 한국인은 예부터 순수의 가치를 지고의 것으로 높였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김 교수는 "이상적 순수와 불행한 현실의 괴리는 한국인의 무의식에이분화돼 자리잡았다"고 분석한다.


그는 막스 베버의 신념윤리와 책임윤리 개념을 빌려 순수와 불순의 괴리를 설명한다. 순수에 비견되는 신념윤리는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가름하는 기준이 된다. 반면 책임윤리는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윤리적 가치의 척도를 삼는다.


김 교수는 "베버의 말처럼 건강한 사회는 저 두 가지가 혼융돼 작용하는 것인데택일을 강요하는 사회는 구체적인 현상을 추상적 이념으로 증발시켜버린다"고 비판한다. 그렇다고 한국인이 사회를 보다 도덕적으로 운영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 김교수의 주장이다.


도덕적 동기의 순수성을 높이는 까닭에 한국문화에서는 정통성 논쟁이 끊이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한국 주자학의 사단칠정논쟁, 이기논쟁 등은 주자학적 정통성을건 싸움이었으며 권력의지로까지 확대됐다. 김 교수는 "순수성의 고집은 엄청난 편협성과 배타성을 낳는다"며 "한국인의 내면적 순수성이 오히려 사회성을 훼손한다"고 지적한다.


 

1907년 국채보상운동이나 1919년 3.1운동, 1997년 금모으기 운동, 2002년 월드컵 때의 응원열기는 한국인의 공동 무의식에 녹아있는 신바람의 기질이 작용한 결과다. 김 교수는 "이는 한국적 굴기의 한 가능성을 알려주는 사례"라고 평가하면서도 "그 집단적 신바람이 집단적 광기로 변하면 한국인은 도저히 이성적으로 통제가 안되는 종교적, 정치적 광기를 야기한다"고 경계한다.


세계에서도 유례를 찾기 어려운 종교적 광기가 한국인의 마음을 격정적으로 만들고 있으며 정치적 이념대립의 광기가 한국인의 마음을 갈라놓고 있다는 것. 김 교수는 "신바람의 광기가 순수성의 이념과 결부되면 '순수성의 악마'로 변용된다. 이는 더욱 한국문화를 끝없는 논쟁의 나락으로 추락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어 "한국의 공동심리유형은 동일성 일색으로 나아가려는 경향이 있다"고분석한다. 감정상 동류의식이 통하면 의기투합해 친근감의 극치를 이룬다. 2002년 월드컵 응원열기는 전 민족적인 동류의식이 작용한 결과인 셈이다. 동일성의 추구는 언뜻 보기에 강력한 단결력을 발휘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김 교수는 "그렇지 않다"고 주장한다.


사람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동일성이라는 것은 실체가 없는 허상일 뿐'이라는 지적이다. 오히려 같기를 바라는 마음이 큰 까닭에 차이를 목격하면 서운한 감정이 앞서게 된다. 김 교수는 "한국인은 모여 살면서 동질성의 정을 주고 싶어하지만 현실적으로 일체감이 잘 형성되지 않아 서로 분열한다"며 "역설적으로 한국인은 지금 지역적ㆍ정치적ㆍ이념적ㆍ종교적 배타심 등으로 자신의 동일성을 지키려 한다"고 비판한다.


 


그는 "어떤 차이도 감정적으로 싫어하고 오로지 대등의식이 평등인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허다하다"며 "감정적 동일성이라는 허상을 빨리 씻어내야 대등의식과 소모적 경쟁이라는 병을 넘어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4 영어 동화책 읽히면 이런 효과가 2 이중훈 2009.11.16 2139
3243 건강. 2(독소의 습격 해독 혁명 ) 이중훈 2009.11.13 2128
3242 발표 예정자 박문호 2009.11.13 2073
3241 제19회 희망의인문강좌 - 홍기빈과 함께 읽는 폴라니 2 손주영 2009.11.12 1918
3240 학습마라톤 현장사진 2 file 최정윤 2009.11.11 2040
3239 책으로 울린 "골든벨" 3 임석희 2009.11.09 1985
3238 백북스 177회 정기모임 안내(11월 10일 19시) 김홍섭 2009.11.09 1835
3237 묵점 기세춘 선생은 어떤 분인가? 2 강신철 2009.11.09 2091
3236 저도 뇌과학 모임 후기^^ 2 한정규 2009.11.08 1835
3235 짧은 시간동안 느낀 오늘의 후기 3 양초순 2009.11.08 1735
3234 온지당에 다녀왔습니다 5 함보현 2009.11.08 1788
3233 [학습마라톤] 사진/셔츠판매 수익금 관련 임석희 2009.11.07 1731
3232 [학습마라톤] 다시보는 서호주사진전 _인기상 모음 임석희 2009.11.07 1764
3231 [학습마라톤] 사진신청하신분(필독) 1 임석희 2009.11.07 1760
3230 자랑스런 과학자 표태수박사 소개(2)...동아일보(2005년기사) 서지미 2009.11.06 1784
3229 자랑스런 과학자 표태수박사 소개(1)...동아일보(2005년기사) 서지미 2009.11.06 1894
3228 <후원>표태수박사님감사합니다. 6 김영이 2009.11.06 1908
3227 저...강연회에 처음 가는데요 4 김기우 2009.11.06 1705
3226 선정도서를 미리 볼 수 있는 방법....있나요? 1 김희정 2009.11.05 1648
3225 오늘의 책 <뇌,생각의출현>...네이버기사 2 서지미 2009.11.05 19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