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826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아래 글은 이종상 화백님께서 박성일 원장님께 100books  초청에 응하기 위하여

중국 출장 일정을 연기하고 참석해주신다는 정성이 담긴 글입니다.


많은 느낌이 담긴 글이라 화백님의 허락도 없이 독서모임 회원들과 함께 하고픈 마음에서 공개합니다.




이종상 화백님을 초청해주신 박성일 원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발표하시는 분에 대한 최고의 예우는 그 분이 추천한 책을

철저히 공부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


메일 잘 받았습니다. 우선 강연에 초대해주셔서 감사 드립니다.
사실은 태백산맥을 쓰신 조정래씨의 벌교 "태백산맥문학기념관" 대벽화를 꼭 제작품으로 설치해야 된다고, 대전 전시장까지 건축가 김원선생을 대동하고 오시어 그동안 몇번 사양하다가 승락했습니다.  그래서 7월초에 제가 석재를 구하려고 1주일정도 중국 난주행을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중국행은 대전 강연을 마친 이후로 미루겠습니다.

제가 이제 나이를 먹은 탓인지 고향의 산자락만 보아도 공연히 눈시울이 뜨거워짐을 경험한답니다.

 

수구초심이라 했던가요, 주님 곁에 갈 날이 머지 않아서인지 저에게는 고향에서 불러주시는 것이 더 소중하게 생각되기 때문에 계획을 바꾸게 되었고 또, 박성일 박사님을 만난다는 일이 좋와서 입니다.

그날 걔획하신 일정대로 미리 내려가 뵙겠습니다.

 
변변치 못한 제 논문과 저서는 많으나 이미 절판되고 대전서는 구하시기도 힘드실뿐아니라 회원님들께 구해 보라고 하시는 것은 무리가 될 듯 싶습니다. 

 
지난 번 저의 전시 때문에 혹시 저에 관한 단행본연구서가 대전시립미술관 아트샵에 아직 남아 있을 수는 있을 것도 같습니다.


그 책은 재독평론가인 류병학씨가 백남준,이우환 연구에 이어 저의 작품을 연구분석하여 저서로 발행한  "이것이 한국화다'라는 제목의 단행본이며 대학 텍스트로도 쓰는 아트북 출판서 입니다.


경미출판사에서 나온 "화실의 창을 열고"와 민족문화문고발행의 "솔바람 먹내음"은 천경자,김기창,박내현,임직순, 이종상의 5권 씨리즈판으로 70년 대 베스트셀러였던 화문집으로 교보문고에 마지막 남은 한권의 책을 얼마전 고등법원 강의때 지금은 울산고등법원장으로 전근하신 김종구님이 사가시어 이제는 구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최근 아트북스사에서 나온 지상현 박사의 "이유있는 아름다움" 에 저의 -독도-기II-에 관한 수리과학적 미학분석이 나와 있습니다. 제가 서울시립미술관 운영위원장으로 재직시 시립미술관 개관전을 "학국의 색채문화"로 전시 기획을 했고 그 도록에 언어학적으로 본 "한국인의 색채 의식"이란 글이 있어 일어로도 번역되고 일본 전역을 순회전까지 했던 내용이 있어 보내드립니다.

 
제가 표준영전을 그린 것 중에 악기를 제작하고 작곡을 했던 악성 우륵상,  거북선을 설계한 최초의 조선설계가 나대용상이 있으며, 석굴암을 설계하고 감독한 김대성의 '석굴암축조도'와 고구려 '쌍영총벽화제작도' 등이 있고, 세종시대 천문학과 기후변화를 연구한 기상대인 '서운관도'에서 혼천 대간의를 고증하여 그려놓은
기록화가 세종대왕기념관에 전시되고 있습니다.
모두가 과학과 연관된 작품들입니다.

 
텅그스텐광산업에서 8.15직후 삼천리표(번개표)전구산업을 이어받으신 원예학전공의 선친과  한의사이셨던 외조부님의 피를 받아 지금도 제 생각에는 예술과 과학은 영원한 짝패일수밖에 없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21, 문화의 세기에 가장 첨단의 고부가를 창출할 수 있는 문화 인프라 구축의 중심도시가 대전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이번 저를 초대해주신 "한국현대미술의거장전"을 계기로하여 더욱 확신을 갖게 되었습니다.

 

지금 위정자들은 이런 대전의 인적구성 요인과 철학을 바탕으로
미래를 설계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박성일 박사님의 역할이 중차대하며
 

이번 강연을 미룰 수가 없었던 소이입니다.


박성일 박사님과 가정에 주님의 은총이 충만하시기를 빕니다.
                  
이종상
http://www.illang.com
  • ?
    이재향 2007.06.19 08:47
    소식 감사드립니다. 오늘 '뇌와 생각의출현' 유쾌하게 보았구요^^ 그리고 또 오늘 (아 어제가되었군요) 첫 계룡산 산행, 사람없는 월요일에, 정말 사람 딱 한분 마주쳤어요.쉬다가 멈추다가 암벽유격훈련 ㅎㅎ ,학봉삼거리에서 오후두시반,남매탑3.4km지점에서 오후여섯시,길도없는곳 미끄러지며 내려서 자연사박물관이란 곳에 무사히 도착 이상입니다.
  • ?
    이상수 2007.06.19 08:47
    이종상 화백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이유있는 아름다움", "이것이 한국화다" 이 두권은 쉽게 구할 수가 있는데, 다른 책은 메일 내용에서 말씀하신 대로 잘 구해지지가 않네요. 오시는 날까지 이 두권 열심히 읽어 가도록 하겠습니다.(뭔가 그럴싸한 질문좀 하고 싶은 욕심이 있긴 한데 그게 잘 안됩니다.)
  • ?
    이상수 2007.06.19 08:47
    이재향 선생님 즐거운 산행이 되셨는지요?
    다음 산행 모임에 같이 가시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하하
  • ?
    양경화 2007.06.19 08:47
    벌써부터 설레입니다. 지난주부터 질문 목록을 만들어두고 있는데 너무 유치한건 아닐지 걱정이예요. 책을 빨리 구해야겠어요.
  • ?
    이상수 2007.06.19 08:47
    질문을 미리미리 준비하시는 군요? 몇주전 부터 질문을 준비하시니 좋은 질문을 하시는 거군요.
  • ?
    천윤정 2007.06.19 08:47
    왠지 가슴이 뭉클해지는 글입니다. 꼭 참여토록 하겠습니다.
  • ?
    현영석 2007.06.19 08:47
    이런 지극한 정성들이 모여 우리100권독서크럽이 발전 융성해갑니다. 수고하심에 감사드립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84 공지 과학사 서적 추천 5 신효섭 2008.12.21 3092
2483 과학사상연구회 2012년 6월 독회/토론 책 소개 + A comment 1 이정모 2012.06.09 1423
2482 과학을 처음 시작하는 책들 #2 3 고원용 2009.10.17 2041
2481 과학을 처음 시작하는 책들 - 나, 우리의 과거, 그리고 미래 6 고원용 2009.08.13 2251
2480 과학의 눈으로 보는 세상 6 김영철 2010.06.15 1845
2479 과학의 어원 1 변정구 2011.05.19 4322
2478 공지 관점의 미학... 1 김세영 2007.05.18 1680
2477 관점의 차이 8 육형빈 2012.04.18 1477
2476 공지 광고 효과 만점 2 김주현 2007.04.24 1516
2475 광고천재 이제석님 글 6 이중훈 2010.10.06 1888
2474 공지 괴델의 농담 5 이기두 2009.03.29 1976
2473 공지 교과서에 대해 생각하기 이동선 2002.07.08 3690
2472 공지 교보문고에서 발행하는 웹진 11월호에 100권독서클럽 기사 1 강신철 2004.11.03 2291
2471 공지 교보문고에서 책을 기증했습니다. 1 강신철 2004.10.18 2192
2470 교사 · 학부모 교육 저자초청 특별 3강좌^^* 이동선 2010.03.22 1849
2469 공지 교사 정년 퇴임한 시인 김용택/중앙일보 2 이동선 2008.10.11 1640
2468 공지 교수님~!!!카풀이여~!! 유수연 2002.09.07 3478
2467 교실밖 수학여행 이중훈 2009.04.06 2282
2466 공지 교육의 목적 1 임해경 2007.12.03 1325
2465 구글에서 찾은 "백북스 호주학습탐사" 사진 오창석 2009.10.05 20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