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6.15 22:07

여행을!

조회 수 171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모든 책을 읽고 싶다. 모든 것을 보고 싶다. 모든 것을 경험하고 싶다...

 


눈을 뜨고 정신을 차리면 이 욕구들이 땀구멍 밖으로 슬슬 흘러나온다. 일에 정신을 집중하기 어렵다. 책을 보고 싶다... 이 책을... 저 책도... 제목만 봐도 숨막히는 유혹들. 저 제목 안에는 얼마나 놀랍고 깊은 세상이 들어 있을까! 알고 싶다... 전부를 느끼고 싶다...


낮 동안의 이런 무성한 생각들에 저녁이 되면 완전히 지쳐버리곤 한다.





책을 읽는 것은 여행을 하는 것과 같다. 뒷산을 걷는 기분 좋은 산책, 산을 넘고 사막을 건너는 힘든 여정도 있다. 지금까지 내 여행이 편안했듯, 내 책읽기도 그러했다. 나는 책에서 휴식과 안식과 도움을 구했다. 책은 현실의 피난처였다.





하지만, 이젠 긴 여행을 떠나고 싶다. 산을 넘고 사막을 건너, 완전히 낯선 곳을 경험하고 싶다. 편안하고 즐겁기만 한 여행이 되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가고 싶다. 저 너머를 보고 싶은 욕구가 나를 사로잡고 있다. 이성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느낌이다.





그래, 가자. 책은 이제 피난처가 아니다. 목적지에 이르는 수단도 아니다. 그것은 내 몸으로 딛고 나갈 낯설고 아름다울 땅이다. 그것을 느껴보자. 배낭을 쌀 필요도, 여권과 비행기표를 준비할 필요도 없다. 내 욕구에 모든 필요가 들어 있다.


오늘은 햇빛이 부드럽고 바람도 상쾌하다. 여행을 떠나기에 가장 좋은 날씨다. 이제 긴 여행의 첫 발을 내딛는다! 내 앞에 펼쳐진 끝없는 길. 온 몸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벅차다.

  • ?
    이상수 2007.06.15 22:07
    한편의 산문시 같네요. 덩달아 벅차 오르는 것 같습니다.
  • ?
    이상수 2007.06.15 22:07
    코스모스 한 귀절을 발췌하여

    게시판에 독후감을 올림으로써

    자신보다 그 책의 진가를 더 알아주기 바라는

    100북스클럽 독서가들의

    넉넉함을 배워보시지

    않겠습니까?

    독서의 길은 선의 길이요

    곧 도의 길입니다.

    마음을 다잡고 과학책에 몰입하면

    마음은 혹세에 흔들리지 않습니다.

    마음을 다잡고 시집에 몰입하면

    가슴은 용광로 같이 끓어 벅차오릅니다.

    모든 잡다한 유혹과 미련을

    명저로 끊어 버리고

    이 독서 여행에 동참해 보시지

    않겠습니까?

    100북스클럽에서 만납시다.



    ----------------- 위는 잠시 짬을 내어 작성한 아래글의 패러디 입니다. 하하하 --------------------



    해당화 한 가지를 베어

    서찰에 동봉함으로써

    겨룸없이

    서로의 실력을 가늠했던

    옛 무인들의 넉넉함을 배워보시지

    않겠습니까?

    검의 길은 선의 길이요

    곧 도의 길입니다.

    검을 잡고 호흡을 고르면

    마음은 호수와 같이 고요해집니다.

    일도양단의 기세로 검을 휘두르면

    가슴은 용광로 같이 끓어 오릅니다.

    모든 잡다한 유혹과 미련을

    한칼로 끊어 버리고

    이길에 같이 동참해 보시지

    않겠습니까?

    해동검도에서 만납시다.
  • ?
    송나리 2007.06.15 22:07
    두분다 이런표현이 어울리는지 싶지만 재기발랄한 표현들에 빠져듭니다. ㅎㅎㅎ 한 주를 웃고 시작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24 공지 [뉴욕] 3.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2 7 이정원 2007.11.06 1898
1023 공지 [뉴욕] 2.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1 8 이정원 2007.11.05 2002
1022 공지 [뉴욕] 1. 뉴욕현대미술관 (MOMA) 9 이정원 2007.11.01 2056
1021 공지 [뉴욕] 0. 뉴욕에서의 열흘 8 이정원 2007.10.31 2439
1020 [뉴스] 비둘기, 먹이 줄 사람 알아본다 변정구 2011.06.25 1418
1019 [뉴스] KAIST 조광현 교수 연구팀, 세포 신호 전달 네트워크의 최소 핵심구조인 커널을 밝혀 1 변정구 2011.06.22 1592
1018 공지 [뇌과학과 동서 정신의학의 만남] 심포지움 이정모의 발표자료 파일 연결 4 이정모 2009.02.05 2275
1017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4. 1 file 서지미 2010.02.11 1969
1016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3. 1 file 서지미 2010.02.05 2116
1015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2. 서지미 2010.02.03 2116
1014 [뇌과학]강연 녹음 파일 다운로드[패스워드 공개] 4 강혜정 2010.02.08 2233
1013 [뇌과학]mRNA의 유전 암호(codon) 2 강혜정 2010.01.24 2549
1012 [뇌과학] 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1. 1 file 서지미 2010.02.02 2062
1011 [뇌과학] 원숭이도 잘못된 선택 후회하고 대안 찾아 변정구 2011.06.03 2851
1010 [뇌과학] 강의 녹음 파일 전송했습니다 5 강혜정 2010.01.31 2078
1009 [뇌과학 강연 2/6] 간단 후기 + 오늘의 주 논문(PDF 링크) 2 김제원 2010.02.07 1833
1008 [뇌, 생각의 출현] 독서 감상문 대회가 있네요. 1 윤보미 2009.06.22 1800
1007 [뇌 생각의 출현]을 읽고 가입했습니다. 8 정만서 2009.10.19 1983
1006 [네이버기사]화학의 언어 1 서지미 2009.07.09 2561
1005 [네이버기사]제주도..불과 물의 섬 4 서지미 2009.08.08 20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