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24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대승기신론 소.별기의 현장 스케치는 다른 토론회에 비해 상당히 지연이 되어 올리게 돼었습니다. 지금의 기분을 표현하자면 웅덩이에 빠져 허우적 데다가 간신히 빠져 나온 기분입니다. 촬영 해온 동영상을 보면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거의 한자로 쓰여있고, 처음 접하는 불교 용어들이 저한테는 너무 낯설어 머리 속에 쉽게 들어오지 않았습니다.


 


고치고 또 고치면서 너무 늦어지면 안되겠다는 조바심에 급히 마무리 해서 완성 아닌 완성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한자는 우리 생활 곳곳에 자리 잡고 있는 우리 문화와 역사이거늘 그 동안 너무 등한시 한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무엇을 배웠으며 익혔는지 되돌아 보았습니다. 봐도 모르고 들어도 모르니 이처럼 답답할 노릇이 또 어디 있겠습니까?.


 


떠 먹여 주는 밥도 제대로 못 받아 먹고 있는 상태인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하면 쉽고 편하게 할까 머리만 굴리면서 편안하게 살 궁리만 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매번 스케치를 하며 느끼지만 전 아무것도 모르는 미숙한 성인이었나 봅니다.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가슴 한 켠에서 느껴지는데 그 느낌들을 표현할 수 조차 없으니 이보다  답답한 것이 또 있을까요.


 


백조가 우아한 자태를 뽑내고 있지만 그 이면에 물 아래로 열심히 물갈퀴질을 하듯 저 또한 스케치는 올리고 있지만 매번 무지함에 처절하게 발버둥 치고 있는 듯 합니다. 그렇다고 좌절만 하지는 않겠습니다. 제 그릇을 더 크게 만드는 방법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것 같습니다.  당분간은  처절하게 발버둥 쳐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화엄십찰(華嚴十刹)한 곳인 갑사에 갔습니다.


 


의상과 그 제자 悟眞(오진智通(지통表訓(표훈眞定(진정) 등에 의해 창건된 華嚴十刹(화엄십찰)은 각 방면의 지정학적 요충지에 위치하였다. 이들은 대부분 옛 백제나 고구려 지역의 중심지이면서 반 신라적인 곳이나 왜적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한 곳에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작년 이맘때쯤에도 갑사를 갔었습니다. 그때는 그냥 어디나 있는 그런 절이려니  생각하고 풍경만 즐기고 왔던거 같습니다.

 


다시 간 갑사는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 왔습니다.  알고 보는 것과  모르고 보는 것이 주는 느낌의 차이는 확연히 달랐습니다. 공부 방법 중 책 내용의 글씨가 작거나 어렵고 내용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을 크게 확대 복사 해서 휴대하며 수시로 보는 것이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아무래도 크게 확대해서 보면 눈에 잘 띄고 작은 글씨 보다는 쉽게 친숙 해 질 수 있어서가 아닌가 싶습니다.

 


저 또 한 기신론 구조도를 좀더 크게 확대복사 해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제 그릇이 언제 커질지는 기약 할 수 없지만 그 날이 올 때까지 달리겠습니다.

Prev 중청 대피소 중청 대피소 2007.05.17by 문경수 중청 대피소 Next 중청 대피소 2007.05.17by 문경수
  • ?
    양경화 2007.05.17 10:41
    전 현장 스케치를 보면서 좌절했어요. 강의때도 조사 빼고는 이해되는 게 없었는데, 혜영와 경수씨는 그 핵심을 요약할 수 있을 정도니 대단하다 싶었지요. 저야밀로 혜영씨가 떠먹여 주는 밥을 못 삼키고 있어요.
  • ?
    이상수 2007.05.17 10:41
    우주의 구조 다 읽어 가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는 듯 해서 당분간은 엘리건트 유니버스, 우주의 역사,평행우주(사놓고만 있는 책^^;)등 우주에 관한 책을 좀 더 읽어야 겠습니다. 집중할 필요가 있을 듯 해서요.
    그런데 게시판에 올라오는 독후감을 보면 이책도 읽고 싶고 저책도 읽고 싶어서 갈팡질팡 하네요. 혜영씨 글을 보니 불교서적부터 읽을까 하는 생각도 들어서 '우주에 관한 책을 읽자'하고 못을 박는 것입니다.^^;
  • ?
    정영옥 2007.05.17 10:41
    이책저책 읽는일이 아무래도 여러가지로 산만해지는것 같아 올해부터 한분야나 한작가의 책을 여러권 정해서 읽기 시작했는데 집중력과 독해력이 느는것같아요.

  1. 치자꽃 설화

    Date2007.05.30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338
    Read More
  2. 다음 100books 발표자들

    Date2007.05.29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188
    Read More
  3. 봄날 밤

    Date2007.05.27 Category공지 By현영석 Views2348
    Read More
  4. 5.27(일) 07:40 SBS TV 미래자동차 특집 현영석 TV대담

    Date2007.05.27 Category공지 By현영석 Views1639
    Read More
  5. 순수한 영혼 하나가 또 별이 되었습니다(피천득 선생 별세)

    Date2007.05.27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1697
    Read More
  6. [118회 독서 토론]'말랑말랑한 힘 '스케치 현장

    Date2007.05.26 Category공지 By박혜영 Views2437
    Read More
  7. 시 Apple

    Date2007.05.25 Category공지 By박성일 Views1605
    Read More
  8. 첫 토론참여~~

    Date2007.05.25 Category공지 By이현주 Views1751
    Read More
  9. 시인은 詩로 족하다

    Date2007.05.24 Category공지 By양경화 Views1650
    Read More
  10. 책을 사랑하는 어떤분의 사이트

    Date2007.05.23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1678
    Read More
  11. 어느 시인과의 만남(118회 토론회 후)

    Date2007.05.23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1691
    Read More
  12. 소립님 독후감 메뉴 아래 "My Life컬럼" 게시판 추가해 주세요.(냉무)

    Date2007.05.23 Category공지 By강신철 Views1643
    Read More
  13. 항우와 유방, 교차로 스터디 내용 정리

    Date2007.05.22 Category공지 By김주현 Views3303
    Read More
  14. 오는 6월1일(금) 5시, 앨빈토플러 박사와의 만남

    Date2007.05.22 Category공지 By김주현 Views1748
    Read More
  15. 부 부

    Date2007.05.22 Category공지 By박혜영 Views1769
    Read More
  16. 다마지오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스피노자의 뇌---

    Date2007.05.21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064
    Read More
  17. [알림] 5월 22일 118회 토론회 (저자 초청)

    Date2007.05.21 Category공지 By송윤호 Views1605
    Read More
  18. 관점의 미학...

    Date2007.05.18 Category공지 By김세영 Views1680
    Read More
  19. 중청 대피소

    Date2007.05.17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2451
    Read More
  20. 대승기신론 소. 별기 스케치를 올리면서

    Date2007.05.17 Category공지 By박혜영 Views224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