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5.15 23:00

제비야 네가 옳다

조회 수 1968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민복이는 언제나 이딴 얘기만 했다 -  김훈


 


함민복의 글은 삶의 갈피갈피에 깊이 스며들어 있다.


그는 삶의 고통이나 슬픔과 더불어 아름답고 강인한 친화력을 보인다.


이 친화력이 언어적 장식의 유혹을 뿌리치고 삶의 구체성을 향해 곧게 나아갈 때, 그는 <제비야 네가 옳다>또는 <눈물은 왜 짠가>처럼 짧고도 좋은 글을 쓸 수 있다.


함민복은 강화도 서쪽 바닷가에서 버려진 농가를 빌려 살고 있다. 나는 라면과 소세지를 장만해서 민복이네 집에 몇 번 놀러 갔었다. 부탄가스도 사다 주었다.


우리는 바닷가 갯펄에 앉아서 지는 해를 바라보며 라면을 끓여서 소주를 마셨다.


나는 민복이가 우리나라의 중요한 시인이라는 것을 아는데, 민복이는 이걸 전혀 모른다.


만복이는 취중에도 문학 얘기는 일절 하지 않는다. 민복이는 제비가 딴 집에만 집을 짓고 자기 집에 와서는 구경만 하고 갔다고 투덜거렸으며, 올 가을에는 망둥이가 살이 덜 올랐다고 걱정했다. 민복이는 언제나 이딴 얘기만 했다.


가난과 불우가 그의 생애를 마구 짓밟고 지나가도 그는 몸을 다 내주면서 뒤통수를 긁고있다. 그는 세상을 버리지 못하는 은자隱者이고, 숨어서 내다보는 견자見者이다.


                                                         


*******


제비야 네가 옳다



 




강화도 우리 동네에는 이십여 호의 집이 있다.


그 중 제비가 집을 짓지 않는 집은 빈집 두 집과


남자 노인이 혼자 사 는 집. 그리고 역시 남자 혼자 사는 우리 집 뿐이다.


재작년 봄, 제비가 날아와 집을 지으려고 거실까지 들어와


내 삶을 염탐할 때, 나는 몹시 마음이 들떴다.


그러나 사람이 살지 않는 빈 집에 집을 짓지 않는 제비는


딴 곳으로 날아갔다.


나 아닌 다른 생명체와 한 지붕 밑에 같이 살고 싶은 마음은 낙담이 컸다.


작년엔 제비를 속여보려고 노력도 했었다. 티브이를 크게 틀어


여자와 아이들 목소리도 내고 빨래를 널어보기도 했다.


그런 데 결과는 역시 마찬가지였다.


제비는 한 가정을 이루지 않고 살아가는 나의 삶을,


언제 떠날지 모르는 뿌리가 없는 삶이라고 결론을 내렸던것 같다.


 


 - 산문집 <눈물은 왜 짠가> 중에서


 


머리가 아파서 함민복 시인의 글을 찾아 읽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정화하는 박테리아처럼, 시인은 사람들의 때를 대신 닦아주는 일을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위의 시가 마음을 잔잔하게 하는군요...


 

  • ?
    이상수 2007.05.15 23:00
    저도 기사도 찾아보고 했는데, 함민복 시인에게 되게 친근감을 느낍니다. 작년에 무성산에서 살던 집이 선정도서 게시물에 올라온 집만큼이나 허술한 곳이었고.. 이곳 저곳의 기사에서 그는 가난하다라고 하는데 저도 가난해서 그런지 친근감을 느낍니다. 하하하
    대개는 가난하다는 것을 말하기 껄끄로울 때가 많은데 함민복 시인의 글 앞에서는 그냥 담담히 이야기 할 수 있네요.

    기대되어서 은근설쩍 설레이는 마음이 간혹 간혹 듭니다.
  • ?
    정영옥 2007.05.15 23:00
    저는 주말농장의 상추를 뜯어다 드리고 싶었습니다. 아무것도 아닐수 있지만 모든것일수 있는 무언가를 드리고싶은 마음이요.

  1. 여행 떠난 친구가 생각나는 날

    Date2010.07.10 By이연순 Views1973
    Read More
  2. 멜라닌이야기..생물관련

    Date2009.02.19 Category공지 By서지미 Views1973
    Read More
  3. 백북스회원 평산선생(음악치료)의 공연안내

    Date2010.05.01 By박성일 Views1972
    Read More
  4. 1 이 때는 우주년의 여름과 가을이 바뀌는 가을개벽기

    Date2009.08.22 By전영만 Views1971
    Read More
  5. [네이버기사]양자역학이란?

    Date2009.08.21 By서지미 Views1971
    Read More
  6. [소개] 6/15 조지 스무트 박사님의 대전 강연

    Date2009.06.14 By임석희 Views1971
    Read More
  7. 6월 10일 강연 문태준 시인과의 만남 그 후기

    Date2008.06.12 Category공지 By최정원 Views1970
    Read More
  8. 홀로 등반

    Date2007.04.16 Category공지 By한현철 Views1970
    Read More
  9. 오늘 토론회가 열립니다. ^^

    Date2004.12.14 Category공지 By송윤호 Views1970
    Read More
  10. 강신주님의 철학얘기 - 다음을 기대하게 만드네요..

    Date2010.05.03 By조명주 Views1969
    Read More
  11.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4.

    Date2010.02.11 By서지미 Views1969
    Read More
  12. [기사 스크랩] 서울대 도서관 대출 톱10 모두 소설ㆍ에세이

    Date2008.06.18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1969
    Read More
  13. 신희섭 박사님 뇌강연---전자통신연구원 대강당---

    Date2007.06.08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969
    Read More
  14. [알림] 7월 16-17일 경주 답사 여행 신청하세요.

    Date2005.07.01 Category공지 By송윤호 Views1969
    Read More
  15. [행사후기] Yuri's Night Korea 2013

    Date2013.04.09 By조수윤 Views1968
    Read More
  16. [대학교과서 읽기 모임 5회] 인체 생리학 (부산/영남)

    Date2011.08.16 By정광모 Views1968
    Read More
  17. 대전...북카페 "이데"

    Date2008.08.04 Category공지 By이동선 Views1968
    Read More
  18. 제비야 네가 옳다

    Date2007.05.15 Category공지 By양경화 Views1968
    Read More
  19. 8월 시민문화강좌 (대전동방문화진흥회)

    Date2010.08.14 By황인칠 Views1967
    Read More
  20. 조중걸 박사님의 저서들

    Date2010.08.16 By강신철 Views196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