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09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려, 조선 그리고 남북한의 영토


 


 


제가 친구로부터 들은 얘기가 하나 있는데, 생각할수록 의미가 새로운 것 같아서 이 글을 씁니다.

 
그 친구 얘기가


  "
넌 왜 조선의 영토에 신의주이북은 제외되었는지를 아는가? 고려나 지금의 남북한과 달리 말이야
..."

 
구체적인 답은 주지 않으면서, 의미심장한 뉘앙스를 풍기며 헤어졌습니다. 전 뭐 별스런 얘기겠거니 하고 말았죠...당연히 옛날에는 영토싸움을 했었을 테니까
...

 
근데 그 날 이후 문득문득 생각나는 것들이 있어서 아연실색할 때도 있습니다. 저도 지금 여러가지 가설을 놓고 한 편으로 고민중인데
...

<
제가 생각해 본 것들
>
1.
왜 조선은 명나라에 대하여 그렇게나 대의명분을 중요시하였나
?
2.
방원은 왜 왕권에 위협이 되지 않는 공주까지 죽였을까
?
3.
함흥차사는
?
4. '
위화도'는 또 어디에 있는 섬인가
?

5.
조선시대 史官의 지위는 정당한 것이었나
?
 
왕조차도 선왕의 기록까지만 볼 수 있었고, 자신의 치정에 대한 기록은 볼 수 없었다. 물론 올바르게 정치하라는 뜻이리라
.

    
한 번 쓰여진 역사는 되돌이킬 수 없다
.
                        
재해석 될 수 없다
.

6.
조선왕조실록의 역사적, 실증적, 객관적 가치는 얼마나 될까
?
 
사관이 왕의 가까운 곳에서 모든 정사를 기록했다면, 한 국가의 500년 동안 일어났음직한 훨씬 더 중차대한 문제들에 대한 왕과 대신관료 및 이해관계자들의 다양한 모습들(갈등과 대립, 의사결정과정)이 드러나야 되는 게 아닐까? 난 사실 세종실록지리지의 '독도'문제와 여자형사 '다모'를 제외하고는 조선왕조실록에 무엇이 쓰여져 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 그럼 그런 문제는 어디에 기록되어 있을까? '승정원일기'일까? 아예 기록하지 않은 걸까? 그럼 도대체 그토록 철저한 직업의식을 가졌던 사관은 왕의 가장 가까운 곳에서 무엇을 기록하고 있었던 걸까
?

7. 18
세기는 조선의 중흥기였나? 그럼 그 근거는
?
 
영조는 왜 사도세자를 뒤주속에서 죽게 하였을까? 미쳤기 때문일까? 왕족이 미치면 뒤주속에 가두어 죽이는가? 한 여름 뒤주속의 죽도록 갑갑함은 진정 누구의 아픔이었던가? 혜경궁 홍씨는 '한중록'에 자신의 속내를 모두 이야기했을까? 아니면 어떤 code라도 남겨 놓았을까? 정조는 왜 그리도 미친 아비를 그리워하였던가
?

8.
공민왕은 왜 이성계에게 군권을 상징하는 兩 牌를 모두 맡겼을까
?
 
역사상 전무후무하게도 어떻게 양 패를 다 맡길 수 있었을까
?
 
정말 이성계는 양 군사를 모두 이끌고 국경을 넘어 위화도까지 갔다가 회군했을까
?

9.
丹心歌

  
此身死了死了(차신사료사료)
  
一百番更死了(일백번갱사료
)
  
白骨爲塵土  (백골위진토
)
  
魂魄有也無  (혼백유야무
)
  
向主一片丹心(향주일편단심
)
  
寧有改理與之(영유개리여지
)

10.
何如歌

  
如此亦如何(여차역여하) - 이런들 또 어떠하며,
  
如彼亦如何(여피역여하) - 저런들 또 어떠하리
.
  
城隍堂後苑(성황당후원) - 성황당의 뒷담이

  
頹圮亦何如(퇴비역하여) - 무너진들 또 어떠하리
  
吾輩若此爲(오배약차위) - 우리들도 이 같이 하여
  
不死亦何如(불사역하여) - 죽지 않은들 어떠할까.


글쓴이 : 조기성(曹基成)


글쓴날 : 서기 2006년 4월 22


gscho20@hanmail.net

zau2@naver.com

http://blog.naver.com/zau2

 

 

<Post Script>

수수께끼입니다.

 

다음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야간자율학습

= 야근

= 야자타임

= 누구에게는 너무나 익숙하고 친숙한 그 때 그 순간

 

 

hint) Sphinx

 

 

 

 

- -

  • ?
    이상수 2007.04.28 03:24
    수수께끼 정답이 뭔가요? ^^
    좀더 고민해봐야 겠지만 일단 "저녁" 이라고 해봅니다.

    예전에 지금은 다 잊어 버렸지만 고려사에 관계된 책을 읽다가 답답한 심정이 들었던 적이 있습니다. 역사는 승자에 의해서 씌여진다고 하는데, 어째서 우리 고려사를 이야기 하는데 사기나 중국 사신이 다녀가서 쓴(책 제목이 생각이 안나네요) 것을 참고 있는것인지? 물론 참고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역사서 보다도 훨씬 많은 부분에서 참고되고 있는 것을 보니까 우리 고려사는 역사서가 없는 것인가 란 생각도 들더라구요.

    대조영이란 드라마를 보니까 당나라가 고구려 수도를 함락하고 제일 먼저 서고를 불태우던데... 그런 사건 때문인것 같기도 하고

    진시황의 분서갱유 사건은 어느 책에서 보니 역사의 뿌리를 찾아 보니 모두 한국(환국)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그것을 없애기 위해 사건을 저질렀다는 이야기 나오고...

    위의 내용중에 일부는 김진명 소설의 어느부분에 언급되는 것도 있더군요. 소설이긴 하지만..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24 뇌강의 후일담 8 한성호 2010.02.10 2062
923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4. 1 file 서지미 2010.02.11 1969
922 질문있습니다.도와주세요. 굽신^^;; 4 김상철 2010.02.12 1718
921 한국차가 시장을 선도 할 때다 1 박용태 2010.02.12 1729
920 즐거운 명절 되세요^^ 1 김홍섭 2010.02.12 1735
919 훈련병 부모님이 쓴 편지를 게시판에 올립니다. 3 이병록 2010.02.13 2581
918 철학과 삶의 조응 1 이중훈 2010.02.14 1984
917 Book Concert : five senses 양원석 2010.02.17 1757
916 둘째가 태어났습니다. ^^ 26 이정원 2010.02.18 2036
915 수학아카데미 2기, 시작합니다~~~~ 4 김영철 2010.02.19 2092
914 내가 주말마다 집을 나서는 까닭은... 6 홍종연 2010.02.19 1992
913 부산 백북스 창립 공지 10 박문호 2010.02.23 1806
912 '백북스' 학습효과, 검증받았음을 자랑합니다. ^-^ 19 윤보미 2010.02.24 2142
911 부산백북스 창립 장소 입니다.(대전출발 공지) 4 file 오창석 2010.02.24 1907
910 부산에도 백북스의 향기가... 한경진 2010.02.24 1658
909 수학아카데미 수강신청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2 서영석 2010.02.25 1683
908 감사합니다. 2 정수호 2010.02.25 1519
907 백북스 공간에서 빛을 발견하다 13 임은정 2010.02.25 1895
906 오랫만입니다 김학성 2010.02.27 1666
905 첫글인데요^^; 뇌 관련 사소한궁금증 하나 해결부탁드립니다 4 박종우 2010.02.27 17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