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4.15 07:21

토성 찾기

조회 수 3077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F=1000mm  D=102mm


Made In China


뭔진 모르지만 망원경 옆에 붙어 있던 글자다.


 


머리 위에 있다는 토성을 찾기 위해 저녁 8부터 언 한 시간을 추위에 떨며 하늘을 헤맸다. 하나 둘 모습을 나타내는 이름을 알 수 없는 별들과 또 별들. 그 속에 더욱 깊이 숨어버린 토성. 두명이 더 붙었다. 그러기를 10여분.


머리 위 지나치게 반짝이는 저 별은 초신성? 사이비 지식들이 먹이 달라는 둥지 속 새끼 제비

처럼 잠시도 입을 쉬지 않는다.   


 


찾았다!


흥분할 겨를도 없이 렌즈에 눈을 담그니 눈앞에 펼쳐진 윈도우 아이콘 같은 토성.


새끼 손톱보다 작은, 조그만 띠가 둘러진 반지름 60,160Km 의 귀여운 토성. 이렇게 길고 굵은 망원경으로도 이렇게 밖에 볼 수 없는 걸 보니 멀긴 먼가 보다.


 


저렇게 멀고 커다란 세상이 머리 위에 있고,


반대편 극단엔 저들과 대조할 수 있을 만큼의 작은 세상이 몸 속에 있다.


 


알면 알수록 신비롭고 아름다운 세상이다.


 


 

  • ?
    박문호 2007.04.15 07:21
    그렇게 시작하는 겁니다!

    15년전인가 어슬한 봄 날 하루 밤을 꼬박 지세우며
    솜베로우 갤럭시(남미의 창이 큰 모자 처럼 생긴 은하)를 기어코
    보았던 밤이 생각납니다.
    그 어슬 어슬하게 춥던 텍사스의 봄 밤을.
    하루 밤에 메시아 목록 110개 천체를 모두 관찰하는 대회를
    메시아 마라톤(국내에도 수 년전에 도입됨)이라 합니다.
    메시아 마라톤 안내 책자에 마지막 페이지는
    "Good morning!" 이란 문장입니다.(모두가 야외에서 철야)

    별과 친구가 된다는 것은
    무수한 밤을
    그 들과 함께 지새우는 것.

    온 밤을 별과 함께 보내고 여명과 더불어
    태양이, 바로 우리의 태양이
    별이구나! 라는 사실을
    온 몸으로 느끼는 것입니다.
    (당연한 사실을 본질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는 시각)
  • ?
    김주현 2007.04.15 07:21
    작년 이맘때 쯤 울루루 국립공원에 누워 하늘을 봤습니다. 그리고 별을 세었습니다. 에어즈락과 더불어 펼쳐진 은하는 너무 아름다웠습니다. 그리고 생각했습니다. 이 거대한 대자연을 있는 그대로 모두 받아드릴 수 있다면 얼마나 행복할 수 있을 지 말입니다.
  • ?
    정영옥 2007.04.15 07:21
    얼마전 박박사님의 우주에 관한 강의를 듣고 마치 "우주"군(양..?)과 소개팅을 한듯한 설레임을 느꼈습니다. 양파같은 매력이 있는 "우주"입니다.
  • ?
    Wilson Foreman 2007.04.15 07:21
    otiosely ichthyolatry heteromastigote adhibit vaginopexy osiandrian awkwardish caraunda
    Snider, Mike
    http://www.newadvent.org/cathen/01252a.htm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24 다시 올립니다. 2 이중훈 2010.03.23 1952
3423 교사 · 학부모 교육 저자초청 특별 3강좌^^* 이동선 2010.03.22 1849
3422 가천 뇌과학연구소 연구성과 최근자료..3/14일 중앙일보 서지미 2010.03.22 1990
3421 뉴트리노 2 이중훈 2010.03.22 2038
3420 뇌인지심포지움 김덕년 2010.03.22 1881
3419 늦둥이 보고서......... 1 이동선 2010.03.20 1722
3418 이 시대의 스승 법정스님 '뜻'을 기리며 5 서지미 2010.03.19 2080
3417 <궁궐의 우리 나무>를 기다리며. 10 문건민 2010.03.18 2000
3416 기형도... 4 조기영 2010.03.17 1803
3415 스무살에 사랑한 시... (이문동의 눈) file 조기영 2010.03.17 2194
3414 박문호 박사의 <137억년 우주의 진화> 강좌 및 등록 안내 79 박용태 2010.03.17 5563
3413 이강산 시 4편-23일 읽을 시 2 이강산 2010.03.16 2294
3412 기억 1 이중훈 2010.03.16 1854
3411 에너지보존되는 세계가 존재하나요? 2 정길호 2010.03.15 2022
3410 [New Scientist 2010] '산소' '미토콘드리아'를 쓴 닉 레인의 산소에 대한 글 2 고원용 2010.03.14 2170
3409 초정밀 뇌지도 1 이중훈 2010.03.14 1935
3408 <카메라로 펼친 천 개의 눈, 천 개의 이미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안내 1 임민수 2010.03.13 1980
3407 백북스 뇌 인지 과학 심포지움 등록안내 146 박용태 2010.03.09 5235
3406 화학 초보를 위한 책 소개부탁드립니다 6 남병호 2010.03.09 2570
3405 강좌: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느티나무 아카데미 홍시 2010.03.08 21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