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7.04.07 15:44

가지않은 길

조회 수 186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쓸데없을 글 같기도 하지만 어떤 책을 보다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제가 과학에 흥미를 갖게 된 것은 국민학교 시절이었던 것 같습니다.


좀 잘 사는 친구집에 놀러갔는데 계몽사에서 나온 백과사전이 있었습니다.


그 화려했던 총천연색 사진과 그림들...


무엇보다도 별, 행성, 우주선 등의 내용을 설명한 부분이 유독 흥미로워 한동안 그 친구집에 자주 놀러갔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그 시절 저도 다른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생활기록부의 장래희망란에는 ‘과학자’라고 당당히 적었습니다. 그 의미도 잘 모르면서 말입니다.





감수성이 예민했던 중,고등학교 시절 저는 온통 과학의 세계에 빠져 있었습니다. 하루에 전파과학사에서 나온 책들을 2, 3권씩 읽은 적도 있었으니까요. 용돈이 궁해 책을 살 수 없을 때에는 친구들을 꼬드겨 어린이대공원 옆 어린이회관(서울 건대앞)에 가곤 했습니다. 그곳에는 전파과학사에서 나온 책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과학책들을 공짜로 볼 수 있었습니다.


지금도 제 책장에 꽂혀있는 전파과학사의 ‘현대과학신서’, ‘Blue Backs' 시리즈들은 누렇게 고서처럼 변했지만(어떤 책은 정말 만지면 찢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서질 것 같아요) 죽을 때까지 간직하고 싶은 저의 아름다운 추억이자, 보물입니다.


그 시절에는 다양한 과학분야의 책을 닥치는데로 읽었지만 가장 많이 읽었던 책은 역시 물리와 생물 분야의 책이었던 것 같습니다.


무슨 책을 다 읽고난 밤이면 어김없이 집 옥상에 올랐습니다. 좁았지만 그 곳은 저만의 공간이었고 서성이면서 또는 의자에 앉아 밤하늘을 바라보면서(서울이었지만 그땐 겨울에 오리온 자리가 정말 선명하게 보았는데...) 사춘기 특유의 고독에 빠져 들곤 했습니다. 우주를 생각하며 일상의 모든 것을 하찮아 했습니다. 또 기억나는 추억 한가지는 양자역학을 소개한 책을 읽는데 그 책에는 모든 물질이 입자성과 파동성의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고 나와 있더군요. 그러면서 파동성을 표현하는 방정식이 하나 소개되어 있었는데 그 때 무슨 생각이 났는지 다른 책을 막뒤져서 그 방정식에 전자와 관련한 무슨 무슨 값들을 대입했어요 그랬더니 파동성을 설명한다는 그 방정식의 결과가 알려진 전자의 크기와 똑같은 값이 나오는 거에요. 너무 흥분되어서 가만히 있을 수가 있어야죠. 당연히 친한 친구에게 달려가서 막 설명했죠. 물론 그 친구는 제 말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오해마세요. 제가 무슨 천재성을 지녔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예요. 아마 그때 계산했던 값은 당연히 틀린 것이었을 겁니다. 열정의 시대였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죠.





이렇게 장광설을 늘어놓게 된 책은 지금 읽고 있는 ‘우주의 구조’라는 책 때문입니다. 저는 대학에서 생물학을 전공했습니다. 어린학창시절 저를 열정에 빠뜨렸던 물리와 생물 중 천재성이 필요할 것 같았던 물리를 포기하고 생물을 선택한 결과입니다. 저는 진심으로 생물학을 사랑하며 생물학은 진정으로 아름다운 학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우주의 구조’라는 책을 읽으면서 한편으론 어린시절의 감정도 되살아나고 다른 한편으론 전공이라는 울타리에 갇혀 그간 저 자신이 사고의 폭을 너무 제한한 것이 아닌가 하는 반성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하나의 길을 선택한 이유는 다르지만 프로스트의 시가 생각나네요.








가지않은 길





프로스트 (Robert Frost)


  


노란 숲 속에 길이 두 갈래로 났었습니다.


나는 두 길을 다 가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면서,


오랫동안 서서 한 길이 굽어 꺾여 내려간 데까지,


바라다볼 수 있는 데까지 멀리 바라다보았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아름다운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그 길에는 풀이 더 있고 사람이 걸은 자취가 적어,


아마 더 걸어야 될 길이라고 나는 생각했었던 게지요.


그 길을 걸으므로, 그 길도 거의 같아질 것이지만.


 


그 날 아침 두 길에는


낙엽을 밟은 자취는 없었습니다.


아, 나는 다음 날을 위하여 한 길은 남겨 두었습니다.


길은 길에 연하여 끝없으므로


내가 다시 돌아올 것을 의심하면서…….





훗날에 훗날에 나는 어디선가


한숨을 쉬며 이야기할 것입니다.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다고,


나는 사람이 적게 간 길을 택하였다고,


그리고 그것 때문에 모든 것이 달라졌다고








PS) 뇌과학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되진 않았지만 고흐, 크릭, 라마찬드란을 거쳐 저는 지금 에델만에서 좀처럼 나아가질 못하고 있습니다. 에델만의 고차의식이란? 으으...


“Pleae help me"


PS-2) 새벽에 책상앞에 앉았는데 어느덧 날은 밝고 신문던지는 소리가 나내요. 으.. 이제 아이들이 깰텐데 졸리면 어떡하란 말인가?




  • ?
    이소연 2007.04.07 15:44
    고등학교 때, 메모해 두었던 것이 생각나네요~ ^^
    길이 갈라지는 곳에서
    나는 인적이 드문 곳을 택했다.
    그 이후로 모든것이 달라졌다.
  • ?
    정영옥 2007.04.07 15:44
    저는 지금도 두길 사이에서 헤매는 꿈을 꾸곤 합니다.
    기회가 온다면 잡아야할지, 아니면 가던길을 끝까지 가야할지..
    사실 다른길인지..가던길인지..두길의 경계가 모호하긴 하지만..요..;;

  1. 웃음의 묘약

    Date2007.04.04 Category공지 By김주현 Views1844
    Read More
  2. 두뇌 실험실 역자인 신상규 교수님을 만나고 왔습니다.

    Date2007.04.04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2335
    Read More
  3. 강신철 교수님으로 부터 온 문자 메세지

    Date2007.04.04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285
    Read More
  4. [시론] 토플러가 매일 아침 신문 6~7개 읽는 이유

    Date2007.04.05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1783
    Read More
  5. 100권 독서클럽 회원님들에게 제 속마음을 털어 놓습니다.

    Date2007.04.06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3947
    Read More
  6. 황사에도 굴하지 않은 4월 등산현황

    Date2007.04.06 Category공지 By송나리 Views2388
    Read More
  7. 새봄 그리고 신제품개발

    Date2007.04.07 Category공지 By현영석 Views1749
    Read More
  8. 가지않은 길

    Date2007.04.07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1869
    Read More
  9. 생명 최초의 30억년

    Date2007.04.07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024
    Read More
  10. 축하맥주파티 4월10일 21:00 전민동 블루오션

    Date2007.04.07 Category공지 By현영석 Views2426
    Read More
  11. 회원 중에 이름이 입력되지 않은 분이..

    Date2007.04.07 Category공지 By관리자 Views2196
    Read More
  12. 다음 주 독서모임 내용 관련

    Date2007.04.08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573
    Read More
  13. 우주의 구조---추천의 글---

    Date2007.04.09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057
    Read More
  14. 벚꽃과 약속

    Date2007.04.10 Category공지 By양경화 Views1680
    Read More
  15. 태양의서커스 _ 퀴담

    Date2007.04.10 Category공지 By정영옥 Views1993
    Read More
  16. 도시,풍수 리뷰 이벤트 등록기간이요...

    Date2007.04.10 Category공지 By최윤배 Views1539
    Read More
  17. 사랑밖에 난 몰라

    Date2007.04.10 Category공지 By김주현 Views2296
    Read More
  18. 아들 밥 먹이기

    Date2007.04.10 Category공지 By한현철 Views1835
    Read More
  19. 우리는 한 식구니까

    Date2007.04.11 Category공지 By강신철 Views1945
    Read More
  20. 일.념.즉.시.무.량.겁.

    Date2007.04.11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94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