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억나세요?

지난 경주 답사 둘째날.

박문호 박사님의 설명으로 알게된 그 문화재에 대한 기사가 있어 올려봅니다.

잠시 스처가며 보았던 것인데 기억이 남네요.


문화재 보호에 대하여 다시한번 고민해 보게 된 있는 의미있는 답사였습니다.

과연 우리는 문화재 보호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기사 내용 전문:
(경주=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 조계종 11교구 본사 불국사(佛國寺)가 지정문화재인 석조(石槽.돌수조)를 수십년째 음수대로 사용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문화재 관리에 허점을 드러냈다.

3일 연합뉴스가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취재 결과, 불국사측이 지난 79년 1월 경북도유형문화재 98호로 지정된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석조'를 27년째 음수대로 사용해 온 사실을 확인했다.

이 석조는 불국사 입구 청운교 앞에 위치해 '토함산 옥로수'란 명칭으로 평소 사찰 관람객과 관광객들이 목을 축이려 찾고 있다.

석조는 커다란 돌의 내부를 파낸 너비 262㎝, 폭 130㎝, 높이 42㎝의 장방형(長方形)이며 각 모서리를 둥글게 다듬고 입구를 안쪽으로 살짝 말아 커다란 연꽃을 연상시킨다.

특히 부처에게 공양하려 바닥에 연꽃무늬 부조를 새겼으며 길쭉한 타원형을 둘러싸듯 좌ㆍ우ㆍ상ㆍ하에 하나씩 연꽃을 둔 독특한 형태이다.

그러나 사찰측은 문화재 지정 이후 27년간 석조를 음수대로 사용해 원형 보존은 커녕 훼손에 앞장서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화재해설 자원봉사자 강정근(44)씨는 "불국사 석조가 공주박물관의 보물 148호 석조보다 예술성에서 앞서는데 관리 소홀로 많은 부분에서 훼손이 진행돼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석조는 안쪽면 바닥과 옆 벽면의 연꽃무늬 부조가 계속되는 수압으로 마멸이 진행 중이며 바깥면 띠와 얕게 새겨진 안상(眼象) 등이 풍화를 겪고 있다.

이같은 사정에도 불구하고 사찰과 문화재 당국은 훼손사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불국사 종무소 관계자는 "문화재로 지정되기 전부터 석조를 30~40년간 음수대로 이용해 왔다"며 "현재 상태가 훼손됐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경주시 문화재과 관계자는 "석조는 석조로서의 기능이 있는데 문화재로 지정됐다고 무조건 덮는 것은 아니다"면서 "별다른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주지역 문화단체 관계자는 "석조 내부의 연꽃무늬는 다른 문화재에서 찾기 힘든 걸작"이라며 "문화재 당국이 서둘러 원형보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www.yonhapnews.co.kr/news/20050803/270300000020050803060205K9.html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24 강신주님의 철학얘기 - 다음을 기대하게 만드네요.. 1 조명주 2010.05.03 1969
823 [참여연대]아카데미 5월 개강강좌에 초대합니다. 느티나무지기 2010.05.03 1847
822 주환이네 텃밭에서 쑥개떡을 공수해 갑니다. 17 박영재 2010.05.06 1981
821 백북스 일정용 구글 캘린더 하나 만들어주시죠. 경민수 2010.05.06 1877
820 포인트 1 박주희 2010.05.06 1693
819 진해 사랑방'10.05.04 결과 보고<사진 첨부> 2 file 김상철 2010.05.07 2281
818 웹 마스터에게 박용태 2010.05.07 1840
817 [북파워인재프로젝트] '책 읽고!,일본여행가고!!,취업까지!!!' 대전지역독서경연대회 file 김철원 2010.05.10 1925
816 5월11일 강연자 김학민 원장과 대한민국 IT현실 최정원 2010.05.11 1848
815 5.14(금)이미지메이킹과인간경영 C.R.C오픈세미나에 초대합니다 김기욱 2010.05.11 1963
814 이 놀이의 이름은... 6 지석연 2010.05.16 2811
813 5월 29일 TEDx Daejeon 3 고원용 2010.05.16 2127
812 천문우주+뇌과학 5월 29일 모임 file 이은호 2010.05.24 2010
811 오늘은 저자특강 있는 날..조장희박사님 초청 서지미 2010.05.25 1812
810 <시> 가보지 않은 곳 16 박성일 2010.05.26 1892
809 행동유전학과 쌍둥이학의 대가들이 강연 하네요.. 5 장진부 2010.05.26 2070
808 어린이 철학교육 3 이중훈 2010.05.27 1809
807 조장희 박사님 강의를 듣고 (190회 정기모임) 2 손진경 2010.05.27 2001
806 [책]종의 기원:생명의 다양성과 인간 소멸의 자연학 by박성관 2 한정규 2010.05.28 1946
805 새벽을 마주하며... 8 홍종연 2010.05.28 18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