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5.05.11 09:00

KBS에서 보내온 편지

조회 수 22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100권 독서클럽을 전국에 알릴 수 있는 좋은 기회인 것 같습니다.

위 프로그램에 참여하실 분들은 송윤호 총무(011-888-9891) 에게 5월 12일 오후 1시까지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신철 교수님

아까 통화했던 'Tv 책을 말하다'에 오현숙PD입니다.
먼저 이렇게 도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Tv 책을 말하다'에서는 매주 독서클럽 회원분들을 방청객으로 모시고 있습니다.
이번주에는 '5.18 의 기억'에 관한 테마로 임철우 작가님의 '봄날' 황지우 작가님의 '오월의 신부' 그리고 최정운 작가님의 '오월의 사회과학' 에 관해 이야기 할 계획인데, 이에 100북스클럽 회원님들을 모시고 싶어 연락드립니다.

녹화는 내일 모레, 금요일(5월 13일) 저녁 8시부터입니다.
이번주에는 장정일 작가님를 비롯해서 임철우 작가님과 저희 북클럽의 김누리 김종휘씨가 나오십니다.
직접 오셔서 5.18에 관한 이야기, 책 이야기 나누시고 작가분도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 되시길 바랍니다.

참여해주시는 분들께는 감사의 마음으로 모든 분들께 6권의 책을 드릴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메일에 함께 보냅니다.
궁금하신 것은 02-781-1840으로 연락해주세요..

빠른 답장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제 161회
< 5.18 25주년 기획
‘5월의 책’(가제) >

▶ 녹 화 일 시 : 2005년 5월 13일 금요일 저녁 8시
▶ 연 락 처 : 02-781-1840
------------------------------------------------------------------------------

[기획의도]

해마다 5월이면 우리는 ‘광주’를 떠올린다. 80년 이후 유언비어에서 청문회로, 예술작품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수많은 광주와 5.18을 경험했다. 그러나 그 경험은 여전히 ‘나의 것’이 아닌 ‘남의 것’, ‘광주의 것’으로, 우리 살갗에 다가오지 않는다. 어쩌면 우리는 마음 속에 ‘불편함’을 간직한 채 ‘침묵’하고 있었던 게 아닐까? 그 침묵의 결과는 ‘책의 부재(不在)’로 드러난다. 2000년 이후 급격히 감소한 5월의 책. 누군가 ‘권력에의 투쟁은 기억에의 투쟁’이라고 말했다. 역사의 경험을 되새김질 못하는 사회는 같은 고통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 [TV 책을 말하다]에서는 25년째 5.18을 맞아 5월의 책을 찾고 기억하며, 그에 대한 명석한 해석과 새로운 의미를 담은 책 발간을 독려하고자 한다.


[테마 북]
임철우 “봄날”
황지우 “오월의 신부”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

[촬영내용]

1. 5.18의 기억 : ‘그 때 너는 어디에 있었느냐’

▶ 2005년 5월의 광주.

MC 장정일이 찾은 광주. 그에 대한 단상.

▶ 5월 광주.. 그 날을 기억하다!
작가 임철우와 나누는 소설 <봄날>에 대한 이야기.

1988년 한 계간지에 연재된 소설 <불의 얼굴>
작가 임철우의 광주에 대한 기나긴 탐구는 바로 여기에서 시작됐다.
1980년 당시 광주에서 5.18의 참극을 경험했던 임철우. 그가 소설 <봄날>을 통해 이야기 하는 생생한 당시의 이야기.
이 책은 1980년 광주를 경험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체험자의 간절한 목소리를 전하고 있다.

▶ 기억의 재생산

5.18을 기억하는 다양한 형식,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황지우 <오월의 신부>(희곡)를 중심으로 나누어보는 5.18에 대한 기억 이야기.

▶ 역사의 교훈 : ‘나의 것’으로서의 5.18

최정운 <오월의 사회과학>(사회과학서)
광주 오월 민중항쟁사료전집 이후 출판된 최초의 사회과학적 도서이다.
철학적 개념들로 5.18을 새롭게 해석하고 있는 <5월의 사회과학>. 저자 최정운과 함께 깊이있는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패널소개]
MC : 장정일, 김미화
북클럽 : 김누리, 김종휘
임철우 : ‘봄날’ 작가/ 한신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4 공지 인사~ 2 이동섭 2009.01.14 1408
3543 공지 인사^^드립니다!! 1 전수현 2003.10.09 2250
3542 가입인사 인사 드립니다. 1 고물 2015.11.01 1681
3541 공지 인사 1 황희석 2003.05.25 2630
3540 공지 인문학을 통해 인문학 벗어나기? 유명하다는 원전과 고전을 보자? 7 김원기 2008.10.03 1589
3539 인문학 혹은 과학에 대한 오해의 이유, 통섭 전에 무엇을 할 것인가 - 홍성욱 1 우성범 2011.05.18 1718
3538 홍보 인문포털(가칭) 기자단 제1기 『인문쟁이』 모집 file 곤주 2015.08.26 1522
3537 공지 인문사회과학출판인 선정 "2008 올해의 책" 5 문경수 2008.12.11 1789
3536 공지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만남 4 임말희 2009.01.02 1926
3535 공지 인도양에 넘실대는 태양을 맞이하며.... 5 file 송근호 2008.02.07 1284
3534 공지 인도로 가는 또 다른 문 고재명 2003.02.21 2661
3533 인공광합성- 대체에너지 개발 2탄 file 박경호 2011.04.05 1747
3532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김탁환 1 강신철 2010.12.14 1500
3531 공지 인간의 호기심 3 엄준호 2008.05.23 1785
3530 문학예술 인간의 뇌 속을 상징화시킨 판타지 <잠꾸니 루미> file 박철완 2009.04.14 2557
3529 공지 인간 없는 세상 4 박문호 2007.10.29 1553
3528 공지 익명의 후원 회원님께 감사드립니다. 4 송윤호 2008.08.15 1435
3527 공지 이해를 합니다만 . 윤석련 2002.11.22 2824
3526 공지 이필열 교수 "새만금 간척과 핵폐기장 건설" 전재 현영석 2003.07.28 2459
3525 이평래 교수님과의 뒤풀이 4 이정원 2009.08.26 19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216 Next
/ 216